• Title/Summary/Keyword: "지하수법"

Search Result 48,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The Study on Constructing Underground Wall to Prevent Seawater Intrusion on Coastal Areas (지하수댐 물막이벽 시공법과 해안지역 염수침입 방지기술 개선 방안)

  • 부성안;이기철;김진성;정교철;고양수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12 no.2
    • /
    • pp.215-234
    • /
    • 2002
  • Groundwater Dam is one of the reliable techniques to get huge amount of groundwater abstraction for municipal, agricultural, drinking, industrial water supply system. It can be a major technique to solve water shortage problems when it based on the sufficient watershed, proper topology, and adequate aquifer distribution and pollution control, Groundwater Dam had initiated its construction by RDC(former KARICO) in early eighties in Korea and 4 of it in total were added more until late eighty. However, this technique has shrunken its application due to gradually decreased yield rate after sever years of construction. After we studied several existing sites precisely, we concluded that the main reason of decreasing yield rate was come form engineering roughness on construction in early nineties. Theoretically, the technique itself seemed to be little detectives however, there were a little application in the fields in Korea. With the recent advance in engineering fields, those defects in construction would be no longer obstacle to construct underground wall and the technique could be a one of major ground water production technique in the future. It is essential to study following items thoroughly before select the appropriate site. The topography and the site of the underground wall, aquifer distribution, the specific technique for wall construction to block groundwater flow effectively and strict quality control during construction are critical. The surface and ground water monitoring data should be collected. Sustainability of the Groundwater Dam with huge groundwater abstraction in long term should be based on the long-term water balance analysis for each site. The water quality, environmental effect analysis and maintenance achedule should be also analyzed and planned in prior. It is suggested that the two consecutive underground wall in the coastal area to prevent seawater intrusion beneath a single wall.

Estimation of the Available Amount of Groundwater in South Korea: 1. Development of the Method (우리나라 지하수 개발가능량 추정: 1. 개념 정립과 기법의 개발)

  • 박창근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oundwater Environment
    • /
    • v.3 no.1
    • /
    • pp.15-20
    • /
    • 1996
  • The potential and the available amount of groundwater are defined precisely based on the hydrologic concept, of which terms are prescribed but not defined in the groundwater law. A simple method to estimate the available amount of groundwater is proposed by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previous methods. The proposed method is based on separations of the groundwater components from the hydrograph for the recession period and the recharge period, and may be applied to the hydrograph analysis consistently.

  • PDF

Method of estimating potential amount of groundwater development by administrative district (시군구단위의 지하수 개발가능량 산정방안)

  • Chung, Il-Moon;Yoo, Sang-Yeon;Lee, Jeong-Woo;Kim, Nam-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924-1928
    • /
    • 2008
  • 우리나라 지하수 관리 정책의 기조는 지속가능한 미래 청정 지하수의 체계적인 보전 및 관리 기반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하수의 지속적인 조사, 관측 및 체계적인 개발, 이용이 이루어지도록 추진중에 있다. 한편, 현재 우리나라의 지하수 개발가능량은 10년빈도 갈수시 소유역의 연간 함양량으로 정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기준은 1996년 지하수 관리 기본계획시 정해진 기준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지하수 함양량 산정은 기저유출분리법, 물수지 분석법, 지하수위 강하곡선법, 분포형 수문모형기법 중 한 가지를 사용하도록 기초조사 지침에 명기되어 있으며 함양량으로부터 개발가능량을 추론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결과는 주로 유역 규모의 연단위 대표 함양량을 추정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어 개정지하수법 6조 2항에 의해 시군구 단위에서 수행하는 지역 지하수 관리 계획 수립과 같은 세부계획에는 활용이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포형 지표수-지하수 결합모형인 SWAT-MODFLOW 모형을 이용하여 10년 빈도 갈수년에 해당하는 함양량으로부터 시군구별 개발가능량을 산정하고 이를 지역의 이용수량과 비교하여 과부족을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GIS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서울시 1/5,000 수문지질도 작성방안연구

  • 김윤종;이석민;원종석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8 no.1
    • /
    • pp.101-116
    • /
    • 2000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MG) as well as the other local governments should have a role in managing groundwater according to the Groundwater Law. As a guidance of the management and control of groundwater use, this study emphasizes the necessity of the construction of 1 ; 5,000 hydrogeological maps and proposes possble usages of the maps. As expected to be a part of the groundwater GIS database constructed by SMG, the maps can be used as base maps to facilitate the whole processes related to the groundwater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For the purpose of the construction of the 1 ; 5,000 hydrogelogical GIS database, we develop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hydro-geological entities and their attributes.

  • PDF

The recent trend of the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policy and the role of geophysical exploration technology (최근의 토양${\cdot}$지하수환경 정책동향과 물리탐사기술의 발전과제)

  • Kim Young-Woong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0.09a
    • /
    • pp.5-18
    • /
    • 2000
  • 토양${\cdot}$지하수환경분야와 관련된 제도들이 최근 개정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시점에서 조사단계 및 처리단계이후의 유지관리분야에서 지구물리탐사분야의 중요성이 점차 인식되고 있다. 특히 토양${\cdot}$지하수오염과 관련하여 오염유발가능시설의 $80\%$가 농촌지역에 산재되어 있으나, 그 규모와 오염정도에 대한 조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따라 지하수의 수질은 점차적으로 저질화 되어가고 있으나 비가시적인 이유로 인하여 그동안 소홀히 다루어져 왔다. 또한 오염조사 및 오염복원 등이 제도적으로 뿌리내리지 못해 오염원의 범위, 정도 등을 확인하는데 많은 한계점을 드러내고 있는 현실이다. 최근 관계법령의 개정을 통해 보다 엄격하고 강화된 규제 및 책임을 법제화하는 일은 현재와 미래의 환경보전을 위해 다행한 일이라 하겠다. 특히, 지하수오염 등은 국가적인 불행한 일이므로 향후 토양${\cdot}$지하수환경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오염인자에 대한 정밀실태조사가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현재 개정을 추진하고 있는 토양환경보전법과 지하수법의 개정취지를 제대로 살리면서 환경오염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지구물리탐사분야와 지질조사분야에서의 다양하고 정밀한 조사를 위한 방법들과 내용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또한 이와 더불어 오염부지 특성조사를 위한 절차 및 방법들이 구체적으로 법제화되어 할 것이다.

  • PDF

남원지역 지하수 수위/수질 특성

  • 조민조;조성현;하규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9a
    • /
    • pp.435-439
    • /
    • 2004
  • 남원에서 2002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총 2년에 걸쳐 수행된 ‘남원지역 지하수 기초조사’는 ‘지하 수법’과 ‘지하수관리 기본계획’에 의하여 추진하는 ‘정밀 지하수 기초조사’로서 주요 조사 내용 중 세부지하수 조사에 속하는 장기적인 지하수 수위 변동 특성 및 지하수 수질 특성 규명을 위한 지하수 수위/수질 관측망 조사ㆍ분석이 실시되었으며 남원지역의 수위/수질 특성은 다음과 같다. 지하수 수위는 '02 년 6월부터 9월 사이에 수위가 급격히 상승하고 이후 수위가 점차 하강하다가 '03년 6월부터는 다시 수위가 상승하는데, 이는 강수의 영향을 받아 수위가 변동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지역적으로 상승 및 하강 양상이 크게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는 주변 관정에서의 양수나 관개수로로부터의 영향이 반영되는 것으로 보인다. 지하수 수질을 살펴보면, pH는 5~8 범위에 분포하고 있으며 EC는 주로 500$\mu$S/cm 이하이다. 수질유형은 절반 이상의 시료가 Ca-HCO$_3$ 유형을 보이고 나머지는 농업활동에 의한 오염의 영향으로 대부분 Ca-Cl유형을 보인다. 암반지하수와 충적층/풍화대 지하수의 수질 특성 차이는 크지 않다.

  • PDF

Analysis of Ground Water used for Agriculture in Kyonggi Province (경기지방 농업용 지하수 수질 현황)

  • Kim, Jin-Ho;Lee, Jong-Sik;Kim, Bok-Young;Hong, Seung-Gil;Ahn, Seung-Ku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18 no.2
    • /
    • pp.148-153
    • /
    • 1999
  • We conducted this survey to find out the quality of ground water used for agriculture. Water samples mainly collected from plastic film houses which were located at Yongin City, Pyungtaek City, Hwasung Kun and Suwon City in Kyonggi Province. We measured EC, COD, ammonium, nitrate, sulfate, chlorite etc., and sampled three times in 1998. According to our survey, the ground water was suitable for irrigation purpose, but nitrate concentrations in ground water used in the intensive plastic film houses were high enough to require a special consideration or. the water and fertilizing management. On occasion of Pyungtaek, these results showed us specific. There are many differences among regions but aren't among periods on the part of nitrate concentrations. We found ground water quaky got worse as EC and nitrate value were going up. And there was high correlation between them.

  • PDF

Water Quality of Agricultural Groundwater in Western Coast Area and Eastern Mountain Area of Jeollabuk-do (전라북도 서부 해안지역과 동부 산악지역 농업용 지하수 수질 평가)

  • Jo, Jae-Yeong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54 no.3
    • /
    • pp.218-224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water quality of agricultural groundwater well located in Buan-gun, Jinan-gun, Sunchang-gun, and Jangsu-gun of Jeollabuk-do. The groundwater samples were collected at 328 sites (Buan-gun: 158, Jansu-gun: 45, Sunchang-gun: 32, Jinan-gun: 93, respectively). We measured 4 kinds of general contaminants (pH, $NO_3-N$, $Cl^-$, and COD) and 10 kinds of specific contaminants (Cd, As, $CN^-$, Hg, phenol, Pb, $Cr^{+6}$, organophosphorus, trichloroethylene, and tetrachloroethylene). Generally, the level of general contaminants and specific contaminants in the agricultural groundwater was suitable for water quality standard in all sites for agricultural irrigation water. Exceptionally, chloride concentrations were exceeded water quality standard of agricultural groundwater at some sites in western coast area of Jeollabuk-do. Although water quality standards in agricultural groundwater have been suitable, the water contaminants of agricultural groundwater in western coast area were gradually increased than eastern mountain area.

Analysis of groundwater level change using groundwater monitoring network in Miryang area. (지하수관측망을 이용한 밀양지역의 지하수 변화 분석)

  • Baek, Mi Kyung;Sim, Gyu Sung;Kim, Sang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21-221
    • /
    • 2019
  •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대비가 상시체제가 된 요즈음, 농업용수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하여 가뭄 등의 비상시 지표수는 물론이고 지하수의 공급 가능량에 대해서도 국가적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지하수관리를 위해 국가 최상위 계획인'지하수관리기본계획(2012~2021)'이 수립되었고, 지하수의 장기적인 수량, 수질 관리를 위해 국가지하수관측망, 지역지하수관측망(보조지하수관측망), 수질측정망, 해수침투관측망 등 광역과 지역단위로 크게 나누어 지하수관측이 이루어지고 있다. 국가지하수관측망은 지하수법에 의거하여 전국의 주요지점(2016년 말 기준 412개소)에 관측소를 설치하여 수위 및 수질의 변동실태를 광역적으로 분석함이 목적이며, 보조지하수관측망은 국가지하수관측망과 연계하고 보완하기 위한 기능으로서, 지역별 주요 관측지점의 수위, 수질자료를 획득하며, 2018년 9월 현재 3,429개소가 설치되어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지하수 관측망 중 경남밀양지역에 설치된 관측정 31개소에 대해 수위와 수질을 장기 분석하였다. 밀양지역의 보조지하수관측망 설치는 지하수관리계획의 하부계획인'경상남도 지하수관리계획(2015~2025)'에 의거 2012년에 6개소의 관측공이 설치를 시작으로, 2013년 7개소, 2014년 10개소, 2015년 8개소를 설치하여 총 31개소의 설치를 완료하였고, 2016년부터 2019년 현재까지 전체 관측정 31개소에 대하여 관측 운영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3년 1월~2019년 1월까지 지역의 누적강수량과 지하수위 및 수질변화를 관측하였다. 전 관측정에 대해 수위(GL.m), 수질(온도, EC)은 1시간 주기로 관측하였으며, 연 2회 생활용수 기준(19항목)의 수질검사를 실시하고, 지하수성분의 지질학적 기원분석을 위한 양음이온 분석을 연 1회 실시하였다. 관측정의 양수능력 변화관측을 위해 대수성 시험을 연 1회 실시하였고, 관측정의 특성상 장기간 미사용 관정이므로 최적의 상태유지를 위해 연1회 공내세척을 실시하였다. 또한, 관측정의 지형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관측정의 설치위치를 산악, 강변, 기타 지역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대표관정에 대해 지형에 의한 서로 다른 영향을 분석하였고, 관측정의 심도별 변화를 알기위해 동일지역에 충적, 안반 관측정을 따로 설치하고 관측하여 지표수와 지하수의 심도별 영향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동일지역의 관측결과 평균 5m이하의 수위변화를 보이나, 5m 이상의 수위변동을 보이는 관측망은 15년 14개소 17년 19개소로 증가추세를 보이며, 이는 주로 밀집된 시설하우스 단지의 수막재배를 위한 겨울철 지하수 사용량 증가가 원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밀양지역은 강변지역에 밀집된 시설하우스단지의 동절기 수막재배를 위한 지하수 과다사용으로 수위급감 및 수량부족현상이 반복되고 있어, 예방과 대책강구를 위해 지표수의 함양과 지하수사용량의 상관관계 분석과 자료축적 및 추가연구를 위한 장기관측이 요구된다.

  • PDF

Consideration of Trends and Applications of Groundwater Vulnerability Assessment Methods in South Korea (지하수 오염취약성 평가 기법 동향과 국내 적용성 고찰)

  • Kim, Gyoo-Bum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13 no.6
    • /
    • pp.1-16
    • /
    • 2008
  • There are generally two types of groundwater vulnerability assessments. Intrinsic vulnerability is based on the assessment of natural climatic, geological and hydrogeological attributes and specific vulnerability relates to a specific contaminant, contaminant class, or human activity. Several methods to assess groundwater vulnerability, which are based on hydrogeologic setting and socio-economical environment, have been developed in USA and Europe. A Modified-DRASTIC model including a lineament factor has been developed in South Korea, but it still has some limitations. To develop a solid and applicable method in this country, many data of quality, hydraulic features, GIS data, and pollution source, produced from a Basic Survey based on Article 5 of the Groundwater Act and other research projects, need to be collected, analyzed and verified introducing the previous meth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