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1961년 문화재보존위원회 활동 재평가

Re-evaluation of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Committee Activities in 1961

  • 오춘영 (국립문화유산연구원 디지털문화유산연구정보팀)
  • OH Chunyoung (Digital Heritage Team,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투고 : 2024.03.11
  • 심사 : 2024.05.10
  • 발행 : 2024.06.28

초록

문화재위원회는 1962년부터 지금까지 60여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대한민국의 문화재 보존에 관한 중요한 일들을 심의하고 있는 중요한 기구이다. 1961년에 활동한 문화재보존위원회는 1년 정도의 짧은 활동 기간이었지만, 다음과 같은 의미가 있었음을 당시에 작성된 회의록으로 확인하였다. 우선 법률적으로, 우리나라에서 문화재나 무형문화재의 개념을 법령에 처음 사용했다는 점과 전문위원 제도와 위원의 임기 규정을 최초로 사용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 이런 사항들은 현재의 문화재보호법과 문화재위원회 운영의 기초가 되었다. 다음은 활동과 관련하여, 기존에 알려진 것과 다르게 당시의 정치적 격변에도 불구하고 활발히 활동을 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당시의 급격한 정권 교체에도 불구하고 위원회는 구성원의 변동이 없었고, 회의도 중단 없이 계속되었다. 그리고 당시 문화유산 보존과 관련하여 서로 다른 집단들의 배타적 관계가 있었고, 이 관계는 이들 집단들을 통합한 문화재관리국이 세워지면서 사라지게 되었음도 회의록으로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당시 작성된 회의록의 형태는 당시의 문서 작성 형태를 보여주는데, 여기에서는 전통적으로 이어오던 문서 작성 양식이 새로운 형태로 바뀌고 있는 현상이 확인된다. 근현대 서지학 측면에서 좋은 연구자료가 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것처럼, 1961년의 문화재보존위원회는 법률적 측면이나 실제 활동적 측면에서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들을 가진다. 이 위원회의 활동이 낮게 평가된 이유는 당시에 작성된 회의록이나 관련 서류들이 관련 행정 체계의 미비로 잘 정리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문화재보존위원회의 회의록에는 당시 문화유산 정책과 결정에 관한 여러 사실들을 기록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 내용들에 대한 분석 연구로 당시 문화유산 정책과 인식에 대한 여러 사실들을 더 많이 밝혀낼 수 있다.

The Cultural Heritage Committee is an important organization that has been deliberating on important matters related to the preservation of cultural properties in the Republic of Korea for more than 60 years since 1962. The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Committee was active in 1961, which was a short period of about a year, but the minutes prepared at the time confirmed that it had the following meanings. First of all, legally, it was meaningful in that the concept of cultural property or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was us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in laws and regulations on the term of office of professional members. These matters became the basis for the operation of the current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and the Cultural Heritage Committee. The following confirms that, unlike previously known activities, they were active despite political upheaval at the time. In spite of rapid regime change at the time, the committee had no change in its members, and the meetings continued without interruption. At that time, there was an exclusiv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groups in relation to the pre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and this relationship was confirmed by the minutes that disappeared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Bureau, which integrated these groups. Finally, the form of the minutes prepared then shows the form of documentation at the time, where it is confirmed that the traditional documentation format is changing into a new form. It can be good research material in terms of modern and contemporary bibliography. As discussed earlier, the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Committee of 1961 has historical significance in terms of legal and actual activities. The reason why the committee's activities were low valued is presumed to be that the minutes and related documents prepared at the time were not organized well due to the lack of a related administrative system. The minutes of the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Committee record various facts about cultural heritage policies and decisions at that time. Therefore, analysis and research on these contents can reveal more facts about the cultural heritage policies and perceptions of that time.

키워드

참고문헌

  1. 노현식, 2018, 「한국 문화재보호법 제정과정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민속생태과 석사학위논문.
  2. 김종수, 2019, 「1945~1960년 문화재 관련 입법 과정 고찰 -1962년 문화재보호법 전사(前史) 관련-」, 「문화재」 52(4), 국립문화재연구소.
  3. 김종수, 2020, 「한국 문화재 제도의 탄생」, 민속원.
  4. 문화재청, 2011, 「문화재청 50년사(본사편)」.
  5. 수요역사연구회, 2014, 「곁에 두는 세계사」, 석필.
  6. 심광주, 1992, 「미국의 문화재보호법 해설 - 문화재위원회를 중심으로」, 「문화재」 25, 문화재관리국.
  7. 오세탁, 1997, 「문화재보호법과 그 문제점」, 「문화재」 30, 문화재관리국.
  8. 오춘영, 2018, 「일제강점기 문화재 정책 형성과정 연구: 위원회 구성과 목록 변화를 중심으로」, 「문화재」 51(1), 국립문화재연구소.
  9. 이용식, 2020, 「문화재 지정과정과 문화권력의 작용」, 「한국민속학」 60, 한국민속학회.
  10. 이의상, 2022, 「해방 이후 한국의 문화재보호활동과 문화재보호법 제정」, 전북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11. 임장혁, 2022, 「1950년대 일본 문화재보호법과 1960년대 한국문화재보호법의 성립」, 「문화재」 55(1), 국립문화재연구원.
  12. 정재훈, 1985, 「문화재위원회 약사」, 「문화재」 18, 문화재관리국.
  13. 林會承, 2011, 「臺灣文化資産保存史綱」, 遠流. 
  14. 국가기록원 아카이브(관보), https://theme.archives.go.kr
  15. 국가기록원 (기록물 열람), https://www.archives.go.kr
  16.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s://www.law.go.kr 
  17. 문화재보존위원회 회의록(국립문화유산연구원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