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nges in Exhibitions on the History of Balhae in Russian Museum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Narratives - with the focus on the Federal State Budgetary Institution of Culture "The Vladimir K. Arseniev Museum and Reserve of Far East History" -

러시아 박물관의 발해사 전시 변화와 전시 내러티브의 특징 - 아르세니예프 V.K. 국립극동역사보호지구 통합박물관을 중심으로 -

  • JEONG Yoonhee (Digital Heritage Team,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정윤희 (국립문화재연구원 디지털문화재연구정보팀)
  • Received : 2023.12.29
  • Accepted : 2024.02.23
  • Published : 2024.03.29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ll the vacuum created by the tendency of bias towards China among the curators of Korean museums who plan exhibitions focusing on Balhae, and to share with researchers in the countries concerned various supplementary research materials that could deepen their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Balhae. These materials are based on analyses of the details of exhibitions about Balhae held in a particular Russian museum and the characteristics of and changes in the museum's operational policy. Thus, this research focuses mainly on the permanent and special exhibitions held by the Far East History Museum and Reserve, whose collection represents the archaeological achievements of Russia regarding the history of Balhae. The first part of the research focuses on the layout of the exhibitions presented by the museum and the museum's operational policy. It reveals that the museum's permanent exhibitions follow a diachronic arrangement of the local history, while the first and second special exhibitions featured exhibits that were selected from the collections of the Russian Academy of Sciences and arranged according to specific themes. It also examines the museum's policy for operating the exhibitions, focusing on the operational rules, the human resources deployed to run them, and the related educational and PR programs. The second part of the research examines such issues as local politics, economy, education and culture related to the exhibitions on Balhae's history, and connects them to the background and development of the exhibitions. This study reveals that the permanent exhibitions were intended to promote historical awareness of the local area by museum visitors, particularly those who visited the exhibitions while the city was hosting important events such as international summits. It also reveals that the museum's first special exhibition led to the promotion of Korea-Russia cooperation on exchanges in the fields of culture and tourism, whereas the second special exhibition involved no PR efforts or related events, which was probably due to the changes that have occurr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ussia and its neighboring countries since then. The final part of the study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exhibition narratives, and compares school textbooks on local history and history books for general readers with the contents of the exhibitions. The analysis of the narratives based on the development of time shows that the history of the Mohe (or Malgal) tribes has been combined with that of Balhae, while they are treated separately in school textbooks. As regards political history, the narrative was largely focused on officials in Balhae's central government rather than on Mohe warriors in the border areas. The maps of Balhae presented in the exhibition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accumulating empirical data. As for the exhibition of material culture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useums should obtain more archaeological floral and faunal remains related with agriculture and hunting. It also points out that the narrative on the theme of foreign relations deals with the archaeological relics of Unified Silla together with those of the Turkic tribes. As for the theme of philosophy and culture, the narrative focused on the state ceremonies and rituals of Goguryeo, a theme that has attracted little attention among Korean academic circles and which consequently requires further study. In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a number of research topics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exhibitions and exhibition narratives about the history of Balhae by a prestigious Russian museum that specializes in this subject.

본 연구는 한국의 발해학계에서 박물관 전시를 인식하는 논점이 중국에만 편중되어온 공백을 메우기 위해 작성되었다. 따라서 러시아 박물관에서 개최된 발해사 전시구성 및 운영정책의 특징과 변화를 분석하여, 국가 간 발해사 이해를 넓힐 수 있는 해석과 표출에 대한 자료를 공유하고자 한다. 이에 러시아의 발해사 전시를 대표하는 아르세니예프 V.K 국립극동역사보호지구 통합박물관의 상설전시 및 기획전시를 대상으로 시론적 연구를 시도해보았다. 우선 전시구성을 살펴보면, 상설전시는 지역사의 통시적 구성으로, 제1회 및 2회 기획전시는 러시아과학원 주요 소장유물을 포함한 발해사 주제별 구성으로 기획되었다. 전시 운영정책은 박물관 운영규정, 전시 운영인력, 전시 홍보전략을 통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전시가 개최된 배경과 역할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발해사 전시 개최 분기에 따른 지역사회의 정치·사회·문화적 이슈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상설전시 개편분기에는 국제정상회의 개최지역에 대한 역사인식을 제고하고, 제1회 기획전시 분기에는 다양한 정책주체들에 의해 한·러 합작 문화관광 현안을 견인하였으나, 제2회 기획전시 분기에는 국내외적 외교전략 변화 등과 맞물려 홍보 및 연계행사가 활성화되지 않은 것으로 추론해보았다. 마지막으로, 전시 내러티브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지역사 교과서 및 발해사 개설서를 분석틀로 삼고 전시 내용과 상호 비교해보았다. 그 결과, 시대별 내러티브에서는 교과서에서 분리되었던 말갈족과 발해국의 통합 연출이 확인된다. 주제별 내러티브 중 정치사 주제에서는 변방의 말갈족 전사 대신 발해의 중앙 관리로 연출된 변화를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발해 영역도는 실증적인 조사자료 축적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물질문화 주제에서는 농업·수렵을 보여주는 동식물유체 자료의 보강을 제안해보았고, 대외 관계 주제에서는 통일신라 교류와 투르크계 주민 구성을 시사하는 내러티브를 살펴보았다. 사상문화 주제에서는 고구려 국가제사의례와 관련된 내러티브가 나타나는데, 이는 한국학계에서 아직 주목하지 못했던 새로운 자료이므로 추후 논의가 필요함을 지적해보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러시아 박물관의 발해사 전시 연구에 대한 공백을 메우고, 전시가 변화해온 맥락과 전시 내러티브의 특징을 고찰하여 시사점을 제시했다는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욱, 2022, 「말갈자료를 중심으로 본 5~6세기 한반도 중부지역과 연해주」, 「고고학」 21, 중부고고학회.
  2. 강진원, 2017, 「고구려 국가제사 연구의 경향과 쟁점-한국학계의 동향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34.
  3. 권오영, 2023, 「발해유민 디아스포라의 고고학적 증거들」, 「인문논총」, 80(1).
  4. 채미하, 2022, 「국가제사로 고구려제사를 논하다-고구려 국가제사연구(강진원 2021)서평-」, 「고구려발해학회」 73.
  5. 국립문화재연구소, 2020, 「발해고고학 논문해제집-러시아편 I」.
  6. 국립문화재연구원, 2022, 「발해고고학 논문해제집-러시아편II」.
  7. 권기배, 2021, 「러시아 '신문화중심지'로서 블라디보스토크: 도시의 역할 변화에 대한 고찰」, 「노어노문학」 33, 한국노어노문학회.
  8. 김은국.A.L.이블리예프.E.I. 겔만.E.V. 아스따셴꼬바.Ya.E. 삐스까료바.M.S. 랴솁스까야.L.A. 간제이.S.V. 바쉬딴니끄.V.E. 오멜꼬.V.A. 라꼬프.O.A. 샤로바, 2017, 「발해 염주성 이야기」, 청아출판사.
  9. 김은국, 2014, 「한-몽 발해유적과 '고누 길'」, 「역사민속학」, 한국역사민속학회.
  10. 김봉숙, 2018, 「중국의 발해 인식에 대한 비판적 연구」,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김은국.구난희.정석배.이병건.김진광, 2020, 「발해유적의 국가별 발굴성과와 재해석」,
  12. 노현정, 2015, 「대한민국 역사박물관의 전시구성과 내용 분석-3전시실을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리아넌 메이슨.앨리스터 로빈슨.엠마 코필드(오영찬 역), 2020, 「한 권으로 읽는 박물관학」, 사회평론아카데미.
  14. 러시아과학원 극동지부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동북아역사재단.극동연방대학교, 2013, 「크라스키노 발해성 2012년도 발굴조사」.
  15. 러시아과학원 극동지부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동북아역사재단, 2011, 「연해주 크라스키노 발해성 2010년도 발굴조사」.
  16. 러시아과학원 극동지부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동북아역사재단, 2012, 「연해주 크라스키노 발해성 2011년도 발굴조사」.
  17. 러시아과학원 극동지부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동북아역사재단, 2014, 「연해주 크라스키노 발해성 2013년도 발굴조사」.
  18. 러시아과학원 극동지부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동북아역사재단, 2015, 「연해주 크라스키노 발해성 2014년도 발굴조사」.
  19. 러시아과학원 극동지부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동북아역사재단, 2018, 「연해주 크라스키노 발해성 2015년도 발굴조사」.
  20. 러시아과학원 극동지부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동북아역사재단, 2019a, 「연해주 크라스키노 발해성 2017년도 발굴조사」.
  21. 러시아과학원 극동지부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동북아역사재단, 2019b, 「연해주 크라스키노 발해성 2018년도 발굴조사」.
  22. 국립문화재연구소.러시아과학원 극동지부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2012, 「연해주 콕샤로프카-1성」.
  23. 러시아과학원 극동지부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국립문화재연구소. 2014, 「연해주의 문화유적IV」.
  24. 국립문화재연구소.러시아과학원 극동지부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2015, 「연해주 콕샤로프카 유적(1평지성.8석축구조물)」.
  25. 국립문화재연구소.러시아과학원 극동지부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2018, 「연해주 시넬니코보-1성」.
  26. 박지연.이병준, 2009, 「학습의 관점에서 바라본 미술관 전시 내러티브 탐구」, 「문화예술교육연구」, 한국문화교육학회.
  27. 배기동, 2016, 「한국의 고고학과 박물관」, 「한국고고학보」 100, 한국고고학회.
  28. 샤프쿠노프 E.V.(송기호.정석배 역), 1996, 「러시아 연해주와 발해역사(698-926)」, 민음사.
  29. 송기호, 1996, 「해제」, 「러시아 연해주와 발해역사(698-926)」.
  30. 송기호, 2011, 「발해 사회문화사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31. 아르테미예바 N.G.(정석배 역), 2010, 「연해주 여진의 주거 건축」, 학연문화사.
  32. 안금희, 2015, 「전시 내러티브 사례 분석 연구」, 「미술교육논총」 29(1), 한국미술교육학회.
  33. 양시은 2020, 「문화정책에 따른 중국 동북지역 박물관의 역할과 특징」, 「동북아역사논총」 69,
  34. 이나연, 2020, 「문화유산 해석 연구의 통시적 발전과 유산 해석(interpretation)의 개념」, 「문화재」 53(3), 국립문화재연구소.
  35. 이승용, 2018, 「박물관의 전시체계 및 내러티브 구조분석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박사학위논문.
  36. 이보아, 2002, 「박물관학 개론」, 김영사.
  37. 이춘근, 2008, 「러시아 박물관」, 민속원.
  38.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2016, 「박물관 및 컬렉션 보호와 증진, 다양성과 사회적 역할에 대한 권고(2015, 파리)」.
  39. 장세호, 2023, 「2010년대 이후 한러관계 평가와 한국 신정부의 러시아발 리스크 대응 전략」, 「동북아연구」 38-1, 조선대학교 동북아연구소.
  40. 정윤희, 2021, 「발해유적 출토 말갈패식의 검토와 그 의미」, 「고구려발해연구」, 고구려발해학회.
  41. 최정범, 2018, 「발해유적 출토 당식 대장식구의 기초적 검토와 의미」, 「한국상고사학보」 102, 한국상고사학회.
  42. 정석배, 2017, 「유물로 본 발해와 중부-중앙아시아 지역 간의 문화교류에 대해」, 「고구려발해연구」 57, 고구려발해학회.
  43. 정석배, 2021, 「VII.연해주의 발해고고학」, 「발해고고학」 (중앙문화재연구원학술총서 46), 진인진.
  44. 최종택, 2021, 「IV.유물」, 「발해고고학」 (중앙문화재연구원학술총서 46), 진인진.
  45. 최종호, 2010, 「화합하는 사회를 위한 뮤지엄 정책과 문화다양성 프로그램 연구」, 「박물관학보」 18·19.
  46. 최종호, 2019, 「뮤지엄 공동체의 유산 해석과 표출에 관한 연구」, 「박물관학보」 97.
  47. 하세봉, 2014, 「박물관에서 동아시아 역사의 전시」, 「기억의 정치공간 -박물관을 통해 본 동아시아의 역사교육과 민족주의」, 동북아역사재단. 
  48. Гельман Е.И., Кодзима Ё., 2013, Бронзолитейное производство бохацев в долине р. Илистой // Гуманитарные исследования в ВосточнойСибири и на Дальнем Востоке. №5 (25), ДВФУ, C. 49-57.
  49. Гельман Е.И., Асташенкова Е.В., Буравлев И.Ю. 2017. Бронзолитеное производство в Бохае (по данным археологических исс ледованийКраскинского городища) // Мультидисциплинарные исследования в археологии. Вып. 3. Ремесла и промыслы. В ладивосток: ИИАЭ ДВО РАН. C. 141-179.
  50. Ивлиев А.Л., Гельман. Е.И. Сун Юйбинь, (Ред.-сост.), 2013, Бохайские древности из Приморского края России(俄罗斯滨海边疆区 渤海文物集粹) Пекин, с.28.
  51. Ивлиев А. Л. Племя тели и Приморье в средние века // Средневековые древности Приморья. Вып. 4. Владивосток: Дальнаука, 2016. С.103-109.
  52. Минкультуры России(Министерство культуры РоссийскойФедерации), 2022, Устав федерального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бюджет ного учреждения культуры,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обьединенный музей-заповедник истории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имени В.К. Арс еньева>>, М, C. 536.
  53. Крадин Н.Н., Ивлиев А.Л., Шавкунов Э.В. Приморье в средние века (IV-XVII вв.) // История Российского Приморья (учебное по собие для 8-9-х классов общеобразовательных учреждений). Владивосток: Дальпресс, 2004.
  54. Клюев Н.А., Гридасова И.В. 2017. Свидетельства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о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и металлообработки на городище Кокша ровка-1 в Приморье // Мультидисциплинарные исследования в археологии. Вып. 3. Ремесла и промыслы. Владивосток: ИИ АЭ ДВО РАН. C. 67-75.
  55. Ланцевой Е.И, 2018, Пещеры Приморья как объект археологического и историко-культурного наследия// магистрант Департамент истории и археологии ДВФУ, C.44.
  56. Лещенко Н.В. 2011. Промыслы в системе жизнеобеспечения населения Константиновского-I селища в Приморье // Труды III (XIX) Всероссийского археологического съезда. Ин-т истории материальной культуры РАН (Великий Новгород). C. 177-186.
  57. Лещенко Н.В., Прокопец С.Д., 2015, "Средневековые музыкальные инструменты (по материалам памятников Приморья), " Р оссия и АТР, No. 3, Владивосток,) 
  58. Никитин Ю.Г. 2005. Тан, Бохай и «восточные варвары» (Восточная периферия Бохая) // Российский Дальний Восток в древности и средневековье: открытия, проблемы, гипотезы.
  59. Стоякин М.А., 2022, О принадлежности когурёского сосуда из музея Арсеньева// Средневековые древности Приморья. Вып. 5. - Владивосток: Дальнаука, С.443-452. 
  60. 주블라디보스톡 대한민국총영사관 누리집, (2019.12.13.), 공관활동소식, <한.러 세미나'신북방정책의 역사적 여정-과거, 현재, 미래'개최> overseas.mofa.go.kr/ru-vladivostok-ko/brd/m_7806/view.do?seq=1342041, (접속 2023.10.30.)
  61. 국제박물관협의회 한국위원회 누리집(2022.6.20.) https://icomkorea.org/icom-museum/, (접속 2023.12.31.) 
  62. ICOM 러시아연방위원회 누리집-임원, icom-russia.com/data/rukovodstvo/, (접속 2023.10.11.)
  63. ICOM 러시아연방위원회 누리집-프로젝트, icom-russia.com/data/proekty/proekt-inklyuzivnyy-muzey/, (접속 2023.10.30.)
  64. ICOM 러시아연방위원회 누리집-행사-국제박물관의 날, icom-russia.com/data/rukovodstvo/, (접속 2023.10.11.)
  65. 아르세니예프 V.K. 국립극동역사보호지구 통합박물관 공식유투브(2020.11.3.), <안젤리카 표트루카가 전하는 '발해왕국의 자취를 따라서' 기획전시 해설>, www.youtube.com/watch?v=ziGMED_3xPI, (접속 2023.10.30.)
  66. 아르세니예프 V.K. 국립극동역사보호지구 통합박물관 누리집-박물관 소개-조직연락망, arseniev.org/contacts/, (접속 2023.10.30)
  67. 아르세니예프 V.K. 국립극동역사보호지구 통합박물관 누리집-소식, (2019.12.13.), <아르세니예프 V.K. 국립극동역사보호지구 통합박물관과 한국 경기문화재단과의 협력 체결 및 한.러 세미나>, arseniev.org/press/primorskij-muzej-i-kulturnyj-fond-kyongirespubliki-koreya-podpisali-soglashenie-o-sotrudnichestve/, (접속 2023.10.30.)
  68. 아르세니예프 V.K. 국립극동역사보호지구 통합박물관 누리집-박물관 소개-연혁, arseniev.org/about-museum/history/, (접속 2023.10.30.)
  69. 아르세니예프 V.K. 국립극동역사보호지구 통합박물관 누리집-소식, (2018.5.28.), <국제박물관의 날 연계프로그램 안내>, primgazeta.ru/news/ot-vystavki-oruzhiya-do-vladivostoka-glazami-eleonory-prej-top-meropriyatij-nochi-muzeevprogramma-07-05-2018-05-28-48, (접속 2023.10.30.)
  70. 아르세니예프 V.K. 국립극동역사보호지구 통합박물관 누리집-소식, (2023.6.23.), <극동지역에 박물관 네트워크가 있다는 것은 이 지역을 러시아연방의 일부로 보존하는 열쇠입니다>, arseniev.org/press/nalichie-razvitoj-muzejnoj-seti-na-dalnem-vostoke-zalogsoxraneniya-etix-regionov-v-sostave-rossijskoj-federacii/, (접속 2023.10.30.)
  71. 아르세니예프 V.K. 국립극동역사보호지구 통합박물관 누리집-소식, (2023.3.10.).<다시 돌아온 발해 -관람객들이 사랑한 기획전시에 신 소장품을 추가하다>, arseniev.org/press/boxaj-vozvrashhaetsya-lyubimaya-posetitelyami-muzeya-arseneva-vystavkapopolnilas-novymi-artefaktami/, (접속 2023.10.30.)
  72. 아르세니예프 V.K. 국립극동역사보호지구 통합박물관 누리집-소식, (2018.4.24.), <발해왕국의 자취를 따라서>, arseniev.org/events/10287/, (접속 2023.10.30.)
  73. 나홋카의 노동자(2022.9.9.) <중세의 역사 - 스테클랴누하-1 성곽> nr-citynews.ru/история-средневековья-городище-ст/, (접속 23.12.30.)
  74. 노바야가제타, (2018.5.17.), <발해의 비밀>, novayagazeta-vlad.ru/441/kultura/bohajskie-tajny.html, (접속 2023.10.30.)
  75. 러시아박물관연합총회 상임위원회, 「러시아연방박물관 발전전략 2030」 (2016제정, 2018개정), (www.souzmuseum.ru/index.php?option=com_content&view=article&id=22197:strategiya-razvitiya-deyatelnosti-muzeev-v-rossijskoj-federatsii-naperiod-do-2030-goda&catid=10589&Itemid=176), (접속 2023.10.30.) 
  76. 러시아연방정부, 「러시아연방 박물관 및 러시아연방 박물관 수장고에 관한 법률」 (1996제정, 2021개정), 제26.1조, www.consultant.ru/document/cons_doc_LAW_10496/ca87cfd187048d9e8949248e19b86b9273a38778/, (접속 2023.10.30.)
  77. 러시아연방정부, 「극동 및 바이칼지역 사회경제적 발전전략 2025」 (2009제정, 2023개정), www.consultant.ru/document/cons_doc_LAW_96571/a32c1a8e738bb4f5a0588fad4a7a3d943994aac6/), (접속 2023.10.30.)
  78. 베스티 프리모리예, (2022.11.17.), 영상보도<연해주 고고학자 손 위의 1500년>, vestiprim.ru/news/ptrnews/129486-poltorytysjachi-let-umestilis-na-ladoni-arheologa-iz-primorja.html?ysclid=lakt9fy0un547403903, (접속 2023.10.30.)
  79. 베스티 프리모리예, (2019.12.26.), <아르세니예프 V.K 박물관의 명칭이 변경되고, 연방지위로 격상되다>, vestiprim.ru/news/ptrnews/84973-muzej-imeni-arseneva-smenil-nazvanie-i-poluchil-federalnyj-status.html, (접속 2023.10.30.)
  80. 베스티 RU, (2011.9.27).<발해의 성터가 연해주에서 발견되다>. www.vesti.ru/article/2151983, (접속 2023.10.30.)
  81. 블라디뉴스, (2018.5.5.), <블라디보스톡의 수장은 발해국의 자취를 따랐다>, vladnews.ru/2018-05-05/130545/glava_vladivostoka, (접속 2023.10.30.)
  82. 아크노브APEC, (2019.12.13.), <러시아-한국:과거, 현재, 미래>, www.oknovatr.ru/articles/international-life/rossiya-respublikakoreya-proshloe-nastoyashhee-i-budushhee/, (접속 2023.10.30.)
  83. 인테르팍스, (2020.4.20.), <극동역사박물관장 샬라이 V.A 인터뷰 -아시아 관광 흐름의 교차점에서 일하는 것은 흥미롭고 책임감이 막중한 일>, www.interfax-russia.ru/far-east/exclusives/direktor-muzeya-istorii-dalnego-vostoka-b-viktor-shalay-b-rabotatna-peresechenii-aziatskih-turisticheskih-potokov-interesno-i-otvetstvenno), (접속 2023.10.30.)
  84. 프리마미디어, (2018.5.5.), <발해왕국의 발자취 전시가 성대하게 개막되다>, (primamedia.ru/news/690912/), (접속 2023.10.30.)
  85. 프리마미디어, (2023.7.21.), <특별전시 '연해주의 두 가지 이야기'>, https://primamedia.ru/news/1547658/?from=37, (접속 2023.10.30.)
  86. 프리마미디어, (2023.8.29.), <블라디보스토크 요새는 러시아인 개척자들이 어떻게 이 바위에 부딪혔는지에 대한 이야기>, primamedia.ru/news/1572487/?from=37(접속 2023.10.30.)
  87. 프리마미디어, (2012.9.5.)., , primamedia.ru/news/226040/?from=37, (접속 2023.10.30.)
  88. 프리마미디어, (2010.2.15.)., primamedia.ru/news/146891/?from=37, (접속 2023.10.30.)
  89. 프리마미디어, (2023.7.20.)., <클류예프 N.A. 인터뷰-고고학은 우리의 조상을 자랑스러워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primamedia.ru/news/1546795/, (접속 2023.10.30.)
  90. 프리마미디어, (2023.7.21.), <니키틴 Yu.G.-연해주의 중세 역사는 중요합니다>, primamedia.ru/news/1591005/, (접속 2023.10.30.)
  91. 프림프레스, (2018.5.7.), <아르세니예프 박물관에서 발해국의 자취를 따라가볼 수 있습니다>, (primpress.ru/article/25850), (접속 2023.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