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ultivation and use of bottle gourd (Lagenaria siceraria) in ancient Korea

한반도 선·역사시대 박의 재배와 이용

  • KIM Sebin (Mokpo National University Museum) ;
  • KIM Minkoo (Dept. of Anthropology, Chonnam National Univeristy)
  • 김세빈 (목포대학교박물관) ;
  • 김민구 (전남대학교 문화인류고고학과)
  • Received : 2023.12.27
  • Accepted : 2024.02.27
  • Published : 2024.03.29

Abstract

Although the bottle gourd (Lagenaria siceraria) is a crop with a cultivation history of about 10,000 years in the Old and New Worlds, archaeological considerations on the cultivation and use of bottle gourds on the Korean Peninsula are extremely rare. Accordingly, we reviewed previous reports on bottle gourds and examine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eeds and rind fragments from the Korean Peninsula. The investigation yielded several conclusions. First, bottle gourd cultivation likely began during the Bronze Age alongside the introduction of so-called southern crops. Evidence suggests that bottle gourd remains were more prevalent during the Three-Kingdoms period, indicating its significance as a crop during the historical era. Second, bottle gourd seeds from the Three-Kingdoms period exhibit characteristics of both African and Asian subspecies, showcasing a high level of morphological diversity. Third, rind thickness indicates that bottle gourds found at the Bongseon-ri site were of varieties with large fruits. Taken together, it is concluded that the bottle gourd was introduced to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Bronze Age, and people cultivated a range of bottle gourd varieties during the Three-Kingdoms period.

박(Lagenaria siceraria)은 구·신대륙에 걸쳐 재배 역사가 약 만년에 이를 정도로 오래된 작물이다. 하지만 한반도로 유입된 시기나 이용 방법에 관한 고고학적 고찰은 극히 드물다. 이에 한반도 소재 유적에서 출토된 박의 식물유체(종자와 열매껍질)를 검토하여 유입 시기, 경로, 형태적 특징에 관한 시론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검토 결과, 다음의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박 재배는 청동기시대에 이른바 남방계통 작물의 유입과 함께 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박 식물유체가 발견된 유적은 삼국시대에 증가하며 이는 역사시대에 이르러 박이 중요한 작물로 자리 잡았음을 나타낸다. 둘째, 삼국시대에 출토된 박 종자는 장폭비와 형태로 보아 아프리카·아메리카 아종과 아시아 아종이 혼재한다. 삼국시대 종자의 형태적 다양성은 높으며, 역사시대에는 다양한 변종의 박이 재배되었을 것이다. 셋째, 박의 재배 여부를 판단하는 중요한 근거는 열매껍질의 두께인데, 서천 봉선리 백제 목곽고 출토품으로 볼 때 삼국시대에 이르면 박열매가 대형화하였다. 이를 종합하면 박은 청동기시대에 한반도로 유입된 후 역사시대에 이르러 재배가 활성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아시아 재배종 박의 아메리카 전파설을 뒷받침할만한 고고학적 증거는 한반도와 인근 지역에서 찾기 힘들다.

Keywords

References

  1. 안승모, 2008, 「한반도(韓半島) 청동기시대(靑銅器時代)의 작물조성(作物組成) -종자유체(種子遺體)를 중심(中心)으로-」, 「호남고고학회」, 28. 
  2. 구자옥.김창석.오찬진, 2015, 「식물의 쓰임새 백과 1, 2」, 자원식물연구회.
  3. 국립문화재연구소, 2015a, 「동아시아 고고식물 선사시대 일본편」.
  4. 국립문화재연구소, 2015b, 「동아시아 고고식물 선사시대 중국편」.
  5. 국립문화재연구소, 2015c, 「동아시아 고고식물 선사시대 한국편」.
  6. 국립민속박물관, 2017, 「한국 의식주 생활 사전-식생활」.
  7. 국사편찬위원회, 2006, 「자연과 정성의 산물, 우리 음식」.
  8. 이창복, 1982,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9. 조민제.최동기.최성호, 2021, 「한국 식물 이름의 유래」, 심플라이프.
  10. 한태호.김병문.박용서.유용권.장흥기.김영철.허북구, 2006, 「원예식물 이름의 어원과 학명 유래집」, 전남대학교출판부.
  11. Paleo Labo, 2008, 「佳同遺蹟에서 出土된 大型植物化石」, 「부산 정관신도시 개발지구내 유적 기장 가동유적 I」, 울산대학교박물관.
  12. 경남대학교박물관, 2016, 「밀양 금천리 유적」.
  13. 경담문화재보조연구소, 2007, 「식물종자류 분석」, 「광주 동림동유적 I」, 호남문화재연구원.
  14. 고환경연구소, 2009, 「천안 백석동 고재미골 유적(자연과학분석)」, 충청문화재연구원.
  15.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07, 「함안 성산산성 제12차 발굴조사 현장설명회 자료집」.
  16. 국립광주박물관, 1997, 「광주 신창동 저습지유적 I」.
  17.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10, 「나주 복암리유적」.
  18.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01, 「궁남지 II -현 궁남지 서북부 일대-」.
  19. 국립역사민속박물관, 2016, 「밀양 금천리 유적」, 경남대학교박물관.
  20. 김민구, 2019, 「서천 봉선리유적 백제시대 목곽시설 출토 식물유체 분석연구」, 「서천 봉선리유적II」,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1. 김민구, 2023, 「옥천 이성산성 목곽고 출토 식물유체」, 「옥천 이성산성」, 한국선사문화연구원.
  22. 나영왕, 2009, 「종자분석 의뢰 결과」, 「창원 신방리 저습유적」,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23. 대가야박물관, 2007, 「고령 쾌빈리 433-11번지 유적」.
  24. 동양대학교박물관, 2010, 「안동 저전리 유적」.
  25. 류춘길.최미경.김성현.김세진, 2018, 「영동 신흥리 유적 통일신라시대 우물 출토 종실유체 분석」, 「영동 신훙리 유적」, 한국선사문화연구원.
  26. 목포대학교박물관, 1997, 「무안 양장리유적」.
  27. 목포대학교박물관, 2000, 「영광 학정리.함평 용산리 유적」.
  28. 안소현.佐々木 由香.Sudarshan Bhandar.鈴木 茂, 2018, 「김해 퇴래리 7-1·1078·1057번지 유적 C구역 고환경조사」, 「김해 퇴래리 7-1, 1078·1057번지 유적」, 우리문화재연구원.
  29. 안소현.허경화, 2021, 「월성 내부건물지군 식물유체로 본 고대 식물이용」, 「경주 월성 시.발굴조사 보고서」, 경주문화재연구소.
  30. 안소현.Paleo Labo, 2016, 「식물유체로 본 울산 이화일반산업단지 조성부지 내 유적의 고환경」, 「울산 중산동 이화유적 II」, 울산발전연구원문화재센터. 
  31. 이경아, 2004, 「마전리 유적 식물유체분석」, 「마전리 유적 -C-지구」, 한국고고환경연구소.
  32. 이경아, 2009, 「김해 관동리 삼국시대 유적 출토 식물유체 보고」, 「김해 관동리 삼국시대 진지」, 삼강문화재연구원.
  33. 이희경, 2012, 「강릉 강문동 저습지 유적 출토 식물유존체」, 「강문동저습지유적」, 강릉원주대학교박물관.
  34. 이희경.이준정, 2010, 「부여 쌍북리 602-10번지 유적 출토 식물유존체」, 「부여 쌍북리 602-10번지 유적」, 백제문화재연구원.
  35. 이희경.이준정, 2011, 「부여 쌍북리 280-5 유적 출토 식물유존체」, 「부여 쌍북리 280-5 유적」, 백제문화재연구원.
  36. 전남문화재연구원, 2018, 「나주 회진리 동촌유적」.
  37. 충청문화재연구원, 2019, 「공주 옥룡동 418번지 일원 유적」.
  38. 한국선사문화연구원, 2014, 「고양가와지 볍씨 (1): 조사와 연구」.
  39. 한울문화재연구원, 2018, 「의정부 신곡동 유적」.
  40. 허문회.이융조, 2001, 「청동기시대 유구 출토 곡물분석」, 「충주 조동리 선사유적(I)-1,2차 조사보고」, 충북대학교박물관.
  41. 호남문화재연구원, 2012, 「광주 선암동유적 I, II, III」.
  42. 辻誠一郞.野中理加, 2007, 「아산 갈매리(III지역) 유적」, 고려대학교 고고환경연구소.
  43. 국립생물자원관, 2022, 「생물다양성 디지털 정보 구축 및 관리」 (species.nibr.go.kr).
  44. Burtenshaw, M. K., 2003, The first horticultural plant propagated from seed in New Zealand: Lagenaria siceraria. New Zealand Garden Journal, 6, 10~16.
  45. Decker-Walters, D. S., W.-E. Mary, S.-M. Chung & J. E. Staub, 2004, Discovery and Genetic Assessment of Wild Bottle Gourd [Lagenaria Siceraria (Mol.) Standley; Cucurbitaceae] from Zimbabwe. Economic Botany, 58, 501~508.
  46. Erickson, D. L., B. D. Smith, A. C. Clarke, D. H. Sandweiss & N. Tuross, 2005, An Asian origin for a 10,000-year-old domesticated plant in the America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2, 18315~18320.
  47. Fuller, D. Q., L. A. Hosoya, Y. Zheng & L. Qin, 2010, A Contribution to the Prehistory of Domesticated Bottle Gourds in Asia: Rind Measurements from Jomon Japan and Neolithic Zhejiang, China. Economic Botany, 64, 260~265.
  48. Hayden, B., 1990, Nimrods, piscators, pluckers, and planters: The emergence of food production. Journal of Anthropological Archaeology, 9, 31~69.
  49. Heiser, C. B., 1973. Variation in the bottle gourd. In Tropical forest ecosystems in Africa and South America: A comparative review, eds. B. J. Meggers, E. S. Ayensu & W. D. Duckworth, 121-128. Washington: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50. Kistler, L., A. Montenegro, B. D. Smith, J. A. Gifford, R. E. Green, L. A. Newsom & B. Shapiro, 2014, Transoceanic drift and the domestication of African bottle gourds in the America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11, 2937~2941.
  51. Kuzmin, Y. V., 2006, Paleoeconomy of the Russian Far East (Stone age complexes). In Archaeology of the Russian Far East: Essay in Stone Age prehistory, ed. S. M. Nelson, 167~173. Oxford, England: Archaeopress.
  52. Kuzmin, Y. V., 2013, The beginnings of prehistoric agriculture in the Russian Far East: Current evidence and concepts. Documenta Praehistorica, 40, 1~12.
  53. Matsui, A. & M. Kanehara, 2006, The question of prehistoric plant husbandry during the Jomon period in Japan. World Archaeology, 38, 259~273. 
  54. Riley, C. L. & Society for American Archaeology. 1971. Man across the sea: problems of pre-Columbian contacts. xvii, 552 p. Austin: University of Texas Press.
  55. Sergusheva, E. A. (2014) Cultivated Plants of the Bohai Population of Primorye According to Archaeobotanical Data1. Archaeology, Ethnology and Anthropology of Eurasia, 42, 111~118.
  56. Sergusheva, E. A., C. Leipe, N. A. Klyuev, S. V. Batarshev, A. V. Garkovik, N. A. Dorofeeva, S. A. Kolomiets, E. B. Krutykh, S. S. Malkov, O. L. Moreva, I. Y. Sleptsov, D. Hosner, M. Wagner & P. E. Tarasov (2022) Evidence of millet and millet agriculture in the Far East Region of Russia derived from archaeobotanical data and radiocarbon dating. Quaternary International, 623, 50~67.
  57. Smith, B. D. 2000. Guila Naquitz revisited: Agricultural origins in Oaxaca, Mexico. In Cultural evolution: Contemporary viewpoints, eds. G. M. Feinman & L. Manzanilla, 15~60. New York: Kluwer Academic/Plenum Publishers.
  58. Whitaker, T. W. 1971. Endemism and pre-Columbian migration of the bottle gourd, Lagenaria siceraria (Mol.) Standl. In Man across the sea: problems of pre-Columbian contacts, eds. C. L. Riley, J. C. Kelley, C. W. Pennington & R. L. Rands, 320~327. Austin: University of Texas Press.
  59. Yen, D. E. 1977. Hoabinhian horticulture? The evidence and the questions from northwest Thailand. In Sunda and Sahul: prehistoric studies in Southeast Asia, Melanesia and Australia, eds. J. Allen, R. Jones & J. Golson, 567~599. New York: Academic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