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대구 불로동 고분군 일대의 관속식물상 및 관리방안

The Management Plan and Vascular Plants of Ancient Tombs in Bullodong, Daegu

  • 유주한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조경.정원디자인학부)
  • You, Ju-Ha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Garden Design, Dongguk University-WISE)
  • 투고 : 2024.08.12
  • 심사 : 2024.09.30
  • 발행 : 2024.09.30

초록

본 연구는 특이하고 특수한 경관과 생태계가 형성된 대구 불로동 고분군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을 조사 및 분석하여 문화유산과 환경을 보전하기 위한 생태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관속식물은 76과 237속 326종 4아종 17변종 3품종 1잡종 1재배변종의 352분류군이며, 식재종은 45분류군으로, 주차장 및 주변 시설지는 11분류군, 자연마당은 12분류군, 농경지 및 기존 재배수목은 13분류군, 과거 경관식재된 것은 10분류군이다. 희귀식물은 솜양지꽃, 애기자운, 모감주나무, 개지치, 멱쇠채, 솔붓꽃 6분류군이며, 한국특산식물은 외대으아리, 백운산원추리 2분류군이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18분류군으로, V등급 1분류군, IV등급 2분류군, III등급 3분류군, II등급 1분류군, I등급 10분류군이다. 침입외래식물은 54분류군이며, 생태계교란 생물은 환삼덩굴, 애기수영, 도깨비가지, 돼지풀, 가시상추, 미국쑥부쟁이 6분류군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cological information to preserve cultural assets and the environment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vascular flora distributed in the ancient tombs of Bullodong, Daegu, which have a unique and special landscape and ecosystem.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are summarized as 352 taxa of 76 families, 237 genera, 326 species, 4 subspecies, 17 varieties, 3 forms, 1 hybrid and 1 cultivar., the planted species are 45 taxa including 11 taxa of parking lot and surrounding facilities, 12 taxa of natural yard, 13 taxa of agricultural land and existing cultivated trees and 10 taxa of trees planted as landscaping inside in the past. The rare plants are 6 taxa including Potentilla discolor, Gueldenstaedtia verna, Koelreuteria paniculata, Lithospermum arvense, Scorzonera austriaca and Iris ruthenica, and Korean endemic plants are 2 taxa including Clematis brachyura and Hemerocallis hkuunensis. The floristic target species are 18 taxa including 1 taxon of grade V, 2 taxa of grade IV, 3 taxa of grade III, 1 taxon of grade II an 10 taxa of grade I. The invasive alien plants are 54 taxa, and ecosystem disturbing species are 6 taxa including Humulus scandens, Rumex acetosella, Solanum carolinense, Ambrosia artemisiifolia, Lactuca seriola, and Symphyotrichum pilosum.

키워드

참고문헌

  1. 서효진(2022). 가야 문화권 고분군 박물관 전시와 교육프로그램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이주헌(2013). 고도경주의 문화재보존과 활용-경주 월성과 쪽샘지구 신라고분을 중심으로-. 고문화. 81: 61-85. 
  3. 덩베이지아, 김영훈, 정재현, 허상현(2020). Virtual Walkthrough를 이용한 경주 대릉원지구의 경관이미지 및 시각적 특성 분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8(2): 108-117. 
  4. 임원현, 유주한, 손호기, 도후조(2009). 생태적 측면에서 본 신라고분 주변의 식생환경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2): 72-79. 
  5. 김명신(2012). 조선왕릉 태릉의 역사경관림 변화와 관리방안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이경재, 오구균, 우종서, 송근준(1990). 왕릉의 식생경관구조 및 관리대책에 관한 연구(II)-헌인릉식물군집의 천이-. 한국조경학회지. 17(3): 35-47. 
  7. 이경재, 류창희, 우종서(1993). 왕릉의 식생경관구조 및 관리대책에 관한 연구(III)-융․건릉식물군집의 천이-. 한국조경학회지. 19(3): 41-54. 
  8. 조아영(2007). 조선왕릉의 식생관리기준에 관한 연구-동구릉, 광릉, 서오릉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이수정(2013). 대한제국 황제릉의 식생구조 특성 및 관리방안 연구-경기도 남양주 홍유릉을 대상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건옥, 홍선희, 이용호, 나채선, 강병화, 손요환(2010). 서울시 생태․ 경관보전지역 헌인릉의 관속식물 분포.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3(1): 60-78. 
  11. 오현경, 김은옥, 유주한(2018). 조선왕릉 순강원과 휘경원의 관속식물상. 한국자연보호학회지. 12(1): 24-34. 
  12. 김은경, 배준규(2019). 조선왕릉 조성 및 관리에 따른 식재유형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7(1): 33-40. 
  13. 오현경, 김은옥, 유주한(2019). 조선왕릉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의 특성-광릉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7(1): 41-55. 
  14. 안상주(2022). 함안군 말이산고분군과 성산산성의 관속식물상 분포와 외래식물 유입에 관한 연구.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정수, 남궁형, 남상준, 남은희(2020). 대구 불로고분 자연마당 조류군집 및 서식지 이용 특성.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23(5): 15-27. 
  16. 김태운, 서장미, 박유진, 문현식, 강미영(2018). 합천군 오도산자연휴양림의 관속식물상. 환경영향평가. 27(2): 139-151. 
  17. 문화재청(2022). 역사문화권 역사문화환경 가치증진을 위한 디자인 가이드 개발 연구. 문화재청. 
  18. 기상청(2022). 기상연보. 기상청. 
  19. 이창복(2003). 원색대한식물도감. 향문사. 
  20. 김진석, 김태영(2012). 한국의 나무. 돌베개. 
  21. 김진석, 김종환, 김중현(2018). 한국의 들꽃, 돌배개. 
  22. 국립수목원(2017). 국가표준식물목록(개정판). 국립수목원. 
  23. 국립수목원(2016). 국가표준재배식물목록(개정). 국립수목원. 
  24. 국립수목원(2009). 한국 희귀식물 목록집. 국립수목원. 
  25. 정규영, 장계선, 정재민, 최혁재, 백원기, 현진오(2017). 한반도 특산식물 목록. 한국식물분류학회지. 47(3): 264-288. 
  26. 국립생태원(2018). 한국산 최신 식물구계학적 특정종. 국립생태원. 
  27. 국립수목원(2019). 국가외래식물목록. 국립수목원. 
  28. 국립생태원(2022). 한국의 생태계교란 외래생물. 국립생태원. 
  29. 송진헌, 변경열, 길희영, 장계선(2023). 경기도 파주시 박달산․명봉산의 관속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37(1): 35-58. 
  30. 최병기, 임정철, 이창우(2015). 도동 측백나무군락지의 식물상 및 보전방안.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3(3): 72-83. 
  31. 김태규, 나정화, 임원현(2019). 입지현황 특성에 따른 팔공산 자연공원 갓바위 지구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차이 분석. 한국자원식물학회지. 32(1): 72-85. 
  32. 유주한(2024). 대구광역시 금호강 주변의 3개 습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가남지, 안심습지, 점새늪을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27(2): 67-90. 
  33. 이승연, 홍용식, 정헌모, 이응필, 김의주, 박재훈, 정영호, 조규태, 유영한(2019). 장도습지보호지역의 식생 특성과 관리방안. 환경생물. 37(1): 109-118. 
  34. 김명현, 어진우, 권순익, 송영주(2017). 대관령 산지초지의 식물상 및 식생 특성. 환경생물. 35(3): 398-412. 
  35. 이혜정, 김주영, 남경배, 안지홍(2020). 식생정보에 기초한 백두대간 지리산권역 내 훼손지 유형별 실태조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34(6): 558-572. 
  36. 이정아, 김종원(2017). 잔디-애기자운군집(신칭): 애기자운 최남단 분포 개체군의 군락분류와 군락지리. Weed Turf. Sci. 6(1): 40-54. 
  37. 정순주(2012). 가야 고분의 입지와 경관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박지영(2023). 서울숲의 경관과 자연성 증진을 위한 식재수종의 현황분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41(2): 19-25. 
  39. 이정아(2019). 대구광역시 희귀식물군락의 다양성과 보전 방안.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0. 박인환, 조광진, 이혜영, 장갑수(2010). 경북대학교 내에 생육하는 애기자운(Amblyotropis verna) 자생지의 식생특성과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3(5): 51-58. 
  41. 박병주, 김재진, 이동진, 주성현(2015). 대구 도동측백나무림의 식생군집 분류 및 임분 특성 분석. 한국임학회지. 104(4): 519-526. 
  42. 김종원, 엄병철, 박정석, 김윤하, 최병기(2023). 식물구계학적 특정종 분류에 관한 고찰-식물구계의 역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37(5): 318-326. 
  43. 박지원, 김의주, 박재훈, 김미희, 이정민, 김윤서, 조경미, 김세희, 이응필, 유영한(2022). 천연기념물 모감주나무군락의 생태학적 특성과 보전관리 방안.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8(2): 53-72. 
  44. 김준수, 조준희, 김학윤, 조현제(2019). 대구시 자생 모감주나무군락의 종조성, 구조 및 동태. 한국산림과학회지. 108(2): 168-176. 
  45. 유주한, 김영훈, 서필숙(2018). 영덕군 도로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4(1): 9-25. 
  46. 추연수, 김중권, 이효혜미(2017). 도로개발 사업이 외래식물 유입에 미치는 영향.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4(3): 156-168. 
  47. 곽수빈, 이혁재, 유주한(2023). 경주국립공원 주차장에 분포하는 침입 외래식물의 현황 및 특징.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9(4): 283-299. 
  48. 이정민, 김의주, 이효혜미, 조규태(2021). 외래식물의 서식처 유형에 따른 분포특성-한국 경상권을 대상으로-. 생태와 환경. 54(2): 142-150. 
  49. 송임근, 박선주(2019). 경주시 주요 사적지 및 도시공원의 귀화식물 분포. 환경생물. 37(2): 144-154. 
  50. 이종원, 이수홍, 강신호(2021). 무등산국립공원 담양 지구의 식물상과 생태계교란식물에 관한 연구. 한국자원식물학회지. 34(1): 103-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