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scholarly advancements and research trends of living labs, highlighting their role as a strategic approach for addressing community challenges and driving innovation in public services through a systematic investigation of domestic academic research. A total of 510 research papers published between 2012 and 2024 were analyzed, focusing on unstructured data such as titles, abstracts, and keywords.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the underlying themes were systematically extracted and refined through Latent Dirichlet Allocation(LDA) topic model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leading to the identification of five core themes: 'Smart cities and participatory innovation', 'Community welfare and social innovation', 'User-driven field-Based innovation', 'Educational innovation linked to community issues', and 'Enhancement of quality of life, culture, and youth welfare'. Each theme was named based on high-frequency terms within topic clusters and further verified through a detailed literature review, ensuring the thematic categories accurately reflect the focus of the papers. Semantic network analysis further revealed the structural interconnections between keywords, adding depth to the understanding of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The findings present a comprehensive view of the research landscape in living lab studies, highlighting thematic convergence and divergence across various scholarly focuses. This study provides actionable insights for academics and policymakers, suggesting that living labs can serve as a strategic framework for solving regional challenges, enhancing community resilience, and integrating digital solutions into public services and lays the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and policy initiatives aimed at leveraging living labs for sustainable community innov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과 공공서비스 혁신의 주요 도구로서 리빙랩이 학문적으로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 고찰하기 위해 리빙랩 관련 국내 학술연구의 연구 주제 및 학문적 동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2012년부터 2024년까지 발간된 논문 510편의 제목, 국문초록, 주제어의 비정형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처리 과정을 거치고, 텍스트 마이닝,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알고리즘 기반 토픽모델링, 의미 연결망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스마트 도시와 참여적 혁신', '지역사회 공동체와 복지 혁신', '현장 기반 사용자 주도 혁신', '지역사회 문제 연계 교육 혁신', '삶의 질과 문화 및 청소년 복지 증진'의 5개 주요 연구 토픽군을 도출하였다. 토픽명은 각 토픽군의 단어 주머니에서 비중 높은 단어들과 문헌 고찰을 통해 결정하였다. 주요 키워드 간의 구조적 연결 관계를 탐색하기 위해 의미 연결망 분석기법을 활용한 시각화로 토픽별 차별적 특성을 식별하고, 리빙랩 연구의 각 주제 간 상호작용의 양상과 학문적 통찰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리빙랩 연구의 현재 연구 지형을 종합적으로 조망하여, 지역 및 도시 문제 해결, 지역사회 회복력 강화, 공공서비스의 디지털 혁신 통합을 위해 리빙랩을 활용하려는 정책결정자나 연구자들에게 유의미한 학문적 기초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