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중도입국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을 연속다중매개로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Immigrant Youth's Cultural Adaptation Stress on School Life via Constant Multiple Mediation of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 정보라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 박현승 (성산효대학원 대학교 효교육학과)
  • Bora Jung (Welfare at Kyonggi University) ;
  • Hyun-Seung Park (Department of Filial Duty Education Sungsan Hyo University)
  • 투고 : 2024.09.30
  • 심사 : 2024.10.21
  • 발행 : 2024.10.31

초록

본 연구는 중도입국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을 연속다중매개로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2기 2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중도입국 청소년 164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중도입국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도입국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사회적 지지를 거쳐 학교생활적응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도입국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자아존중감을 거쳐 학교생활적응관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도입국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는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을 연속하여 학교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개별 매개효과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중도입국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을 지원하기 위한 대착을 논의하였으며, 실천적·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cculturative stress on school performance of mid-career immigrant adolescents through the continuous multimodal mediation of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For this purpose, data from 164 mid-immigrant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econd year of the Multicultural Youth Panel Survey were utilized and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acculturation stress significantly influenced school adjustment; second, acculturation stress significantly influenced school adjustment through social support; and third, acculturation stress significantly influenced school adjustment relationships. Third, acculturative stres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school adjustment relationship through self-esteem. Fourth, acculturative stres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through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but there was an individual mediation effect.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authors discussed the interventions to support the school adjustment of immigrant adolescents and made practical and policy suggestion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영란.이자영. (2021). 중도입국 청소년이 지각하는 초기 사회 적응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에 관한 개념도 분석. 다문화와 평화, 15(3), 55-76.
  2. 김은경.김종남. (2016).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심리사회적 적응의 관계: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다문화교육연구, 9(4), 21-43.
  3. 김지혜. (2019).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우울과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시설환경, 17(3), 115-124.
  4. 노보람.정정화.최나야.이강이. (2019).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대한 외모만족도와 한국어능력의 종단적 영향 및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7(3), 407-417. 
  5. 박동진.김송미.박경아. (2022). 다문화 청소년의 이중 문화 수용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역량과 자아존중감의 연속다중매개효과.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5). 803-812.
  6. 서보준. (2017).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미래청소년학회지, 14(3), 111-133.
  7. 서은주(2022). 중도입국 청소년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매개효과와 성별의 차이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손은영.서호찬. (2022).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13(4), 1331-1341.
  9. 이명희.김기화.황진민.이재창.허은지. (2017). 다문화 예비학교의 역할과 개선과제-한국어 강사의 교육 경험을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3(4), 409-432.
  10. 이상균.박현선.노연희.이채원. (2012). 다문화가족 아동의 문화변용스트레스 및 문화자본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긍정적 자기개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긍정적 자기개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38), 235-264.
  11. 임선아. (2018). 다문화 청소년의 집단괴롭힘 경험과 학교적응: 자아탄력성과 도움을 주는 어른의 보호역할 검증. 아동과 권리, 22(2), 195-214.
  12. 장명선, & 송연숙. (2012). 서울시 중도입국청소년 현황과 지원방안.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연구사업보고서, 1-324.
  13. 전병주. (2012).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 및 문화변용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0(11), 29-38.
  14. 전수정.윤혜미. (2013).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방임, 문화변용스트레스 및 자아존중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교사회복지, 24, 153-179.
  15. 조혜영.양계민. (2012). 중도입국청소년 학업실태 및 진로포부에 대한 탐색적 연구. 청소년복지연구, 14(3), 141-168.
  16. 최경란.홍지영. (2018).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문화적응스트레스의 매개 효과, 한국청소녕연구, 29(1),347-374
  17.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2023). 통계연보. (https://www.immigration.go.kr)
  18. Berry, J, W., Kim, U., Minde, T., Mok, D. (1987). Acculturative Stress.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5, 235-257.
  19. Birman, D., Trickett, E., & Buchanan, R. M. (2005). A tale of two cities: Replication of a study on the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of immigrant adolescents from the former Soviet Union in a different community context.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5(1-2), 83-101.
  20. Curran, P. J., West, S. G., & Finch, J. F. (1996).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1(1), 16.
  21. ]Finch, B. K., & Vega, W. A. (2003). Acculturation stress, social support, and self-rated health among Latinos in California. Journal of immigrant health, 5, 109-117.
  22. Honey, J. D., Magana, C. G. (2002). Psychological Predictors of anxiety among immigrant Mexican migrant farm workers; Implication and treament. Cultual Diversity and Ethnic Minority Psychology, 8(3), 247-2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