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익명 고민상담 애플리케이션 사용 경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using an anonymous counseling application

  • 임연주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디자인경영전공) ;
  • 김승인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디지털미디어디자인전공)
  • Yeon Ju Lim (Hongik University, International Design School for Advanced Studies) ;
  • Seung In Kim (Hongik University, International Design School for Advanced Studies)
  • 투고 : 2024.06.10
  • 심사 : 2024.08.20
  • 발행 : 2024.10.31

초록

본 연구는 익명 고민상담 애플리케이션 사용 경험에 대한 분석과 개선 방안을 탐구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이를 위해 사용자 만족도를 높이고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시스템 사용성 척도(System Usability Scale)와 심층 인터뷰(In-depth Interview)를 실시하여 익명 고민상담 애플리케이션의 특성과 사용자의 부정적인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사용자들은 고민상담 애플리케이션을 주로 무분별한 광고로 인해 사용하는 데 불편함을 겪는다고 하였다. 둘째, 사용자들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때 복잡하고 많은 메뉴들을 단순화하고 고민상담이라는 목적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하였다. 셋째, 고민상담의 전문성이 떨어져 전문적으로 원하는 답변 내용을 받지 못한다고 하였다. 넷째, 사용자들은 애플리케이션의 품질 향상을 통해 지속적인 업데이트 및 신규 기능 추가를 통해 사용자 경험 개선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더 효과적인 고민상담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서비스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를 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ser experience of an anonymous counseling application and explore ways to improve it. To this end, a System Usability Scale and an In-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anonymous counseling applications and the factors that affect users' negative experiences in order to increase user satisfaction and derive specific improvement measur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users are uncomfortable using the application mainly because of the indiscriminate advertisements. Second, users said that the application should simplify the complex menus and focus on the purpose of counseling. Third, the lack of professionalism in the counseling service prevents users from getting the answers they want. Fourth, users said that the quality of the application needs to be improved to improve the user experience through continuous updates and new features. Based on these findings, we would like to suggest ways to develop a more effective counseling application and improve the service.

키워드

참고문헌

  1. 이예지, 김서연, 박소현, 전수진. "비대면 멘탈헬스 서비스 사용자 경험 연구 - 국내 2030대 스트레스 및 불안을 중심으로", 한국HCI학회,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제2021권 1호 pp.243-248, 2021.
  2. 안순태.이하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기분 관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질적 평가: Mobile Application Rating Scale의 적용", 기본간호학회지, 제30권 제2호, pp.180-192, 2023.
  3. 고화곤, 집단 및 개인상담을 위한 스마트혼 상담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전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47, 2018
  4. 서기슬.June Kyong Trondsen.이원재.도영임. "SNS 상에서의 익명성 디자인 요소가 사용자의 감정 표현에 미치는 영향", HCI학술대회, pp.225-228, 2014.
  5. 박선영, 코로나19 전.휘의 우울증호나자 유병률 변화,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61, 2022.
  6. 노은비. "청소년 자살예방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및 기능 분석", 대한보건연구 제46권 4호, pp.1-10, 2020.
  7. 조은호.이지원.신미라.장탁명.김현경.백준상. "대학생의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서비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 또래지지 프로그램을 통하여", 한국HCI학회, Proceedings pf HCI KOREA 2020 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pp.338-343, 2020.
  8. 이영주.유미혜.임영화.라수현. "비대면 심리상담의 내담자 경험에 대한 탐색:원격상담 모바일 앱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2권 9호, pp.707-732, 2022.
  9. 이상일. "온라인 심리상담 플랫폼의 기능적 요소들에 대한 상담자들의 인식 조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24권 제1호, pp.71-82, 2023
  10. 김석웅. "심리서비스에 대한 대국민 설문조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제9권 제3호, pp.547-562, 2023.
  11. 최혜라.한수미.이상일.김환, "온라인 심리상담 플랫폼 개관: 중개형 플랫폼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웰니스학회, 한국웰니스학회지 제17권 4호, 통권57호, pp.143-152, 2022.
  12. 이은영. "2030대 우울, 불안감 완화를 위한 자기대화 기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p1-49, 2020.
  13. 박철형, 김영근, 송현구, 라수현. "국민 마음건강 증진 서비스 법제화 관련 용어 사용 현황에 대한 텍스트마이닝 분석 '심리상담', '심리서비스', '심리사' 키워드를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제23권 5호, 통권 131호, pp.1-19, 2022.
  14. 한수미, 이상일, 이경란, 이미옥, 이혜일, 김환, "온라인 상담에 대한 상담자들의 경험과 인식 조사", 한국산학기술학회, 제.22권 11호, pp.581-595, 2021.
  15. 이예지, 김서연, 박소현, 전수진. "비대면 멘탈헬스 서비스 사용자 경험 연구- 국내 2030대 스트레스 및 불안을 중심으로", 한국HCI학회, Proceedings pf HCI KOREA 2021 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pp.243-248,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