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김광집(2021). 메타버스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현실과 가상 세계의 진화.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6(3), 10-19
- 한상열, 전이슬, 곽나연, 이슬기(2024). 메타버스 산업 분류체계 개발연구.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ISSUE REPORT, IS-171.
- 우성미, 장동련(2021). 트랜스미디어 환경의 메타버스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연구. (사)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9(2), 29-48.
- McKinsey & Company(2022). Value creation in the metaverse : The real business of the virtual world. https://www.mckinsey.com/
- 신석영(2023). 플랫폼을 넘어 생태계로 : Information Ecology Theory를 활용한 메타버스 산업 생태계연구. 경영정보학연구, 25(4), 131-159.
- 유혜린, 유승호(2021). 온라인 게임의 자아정체성 기여에 대한 탐색적 연구: 미드의 게임 이론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글로벌문화전략연구소, 9(2), 161-187.
- 이은정, 전지혜(2022). 패션브랜드 메타버스 가상현실매장 체험이 지각된 아바타 동일시성, 지각된 즐거움, 소비자-브랜드 자아 일치성에 미치는 영향. 국제문화기술진흥원, 8(4), 387-395.
- 서동기, 김현우(2021). 신입사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메타버스형 비대면 기업 교육훈련의 효과성 연구. 한국의사결정학회, 29(2), 119-139.
- 김상균, 최경아, 이세원(2022). 세대와 공간을 초월한 새로운 도시모델. 국토연구원, 9, 58-65.
- 박천호, 이채현, 정성미, 최정일(2023). 가상세계 메타버스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 22(2), 41-56.
- 송승원, 이정교(2024). 사용자 경험 극대화를 위한 메타버스 플랫폼 연구 : 어포던스 디자인을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9(1), 39-50.
- 김윤정(2021). 게임과 비게임 메타버스 콘텐츠에서 나타나는 유형의 융합화에관한 연구. 한국애니메이션학회, 17(3), 80-99.
- ASF(2007). Metaverse Roadmap: Pathway to the 3Dfuture of the world wide web. Acceleration Studies Foundationhttps://www.metaverseroadmap.accelerating.org/
- 이현정(2022). 사회적 성향과 행동 양상에 따른 현실과 메타버스 내 관계 맺기에 대한 태도 차이 탐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2(9), 375-387.
- 손창용(2023). 가치-태도-행동 프레임워크에서 금융마이데이터 사용자 행동연구 : 기관정보 투명성, 평판, 데이터 보안정책의 조절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Zeithaml, V. A(1988). Consumer perceptions of price, quality, and value: A means-end model and synthesis of evidence. Journal of Marketing, 52(3), 2-22.
- Fornell, C., Johnson, M. D., Anderson, E. W., Cha, J., & Bryant, B. E(1996). The american customer satisfaction index: Nature, purpose, and findings. Journal of Marketing, 60(4), 7-18.
- 최윤실, 이형룡(2019). 온라인 예약 채널 품질 속성이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기능적 가치의 매개 효과. 관광연구, 34(7), 103-120.
- 이정학, 임선영(2020). 체험경제이론에 따른 생활무용 참여자의 스포츠가치관, 지속적 참여의도의 구조적 관계. 체육과학연구, 31(2), 330-348.
- Sweeney, J. C., & Soutar, G. N. (2001). Consumer perceived value: The development of a multiple item scale. Journal of Retailing, 77(2), 203-220.
- Malone, T. W. (1981). Toward a theory of intrinsically motivating instruction. Cognitive Sciences, 5(4), 333-369.
- 류진승(2020). 서핑참여자의 체험경제이론에 따른 체험과 소비행동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Manthiou, A., Lee, A., Tang, L., & Chiang, L. (2014). The experience economy approach to festival marketing: Vivid memory and attendee loyalty. Journal of Service Marketing, 28(1), 22-35.
- 박수경, 박지혜, 차태훈(2007). 체험요소(4Es)가 체험 즐거움, 만족도,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Pine과 Gilmore의 체험경제이론(Experience Economy)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76(0), 55-78.
- 윤설민, 이충기(2017). 체험경제(4Es) 관점에 따른 축제체험, 지각된 품질, 지각된 가치, 그리고 정서적 몰입 간 영향관계 규명: 2016 서울빛초롱 축제를 중심으로. 관광연구, 32(5), 79-96
- 박진희, 윤지환(2019). 증강현실(AR) 기술을 활용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체험경제적 요인이 관광객의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학회, 43(1), 37-53.
- 하동현(2009). 테마파크에서의 체험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 19(1), 37-47
- Song, H. J., Ahn, Y. J., & Lee, C. K. (2015). Examing relationships among expo experiences,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and the effect of the Expo: The case of the Expo 2012 Yeosu Korea. Asia Pacific Journal of Tourism Research, 31(2), 455-470
- Pine, B. J., & Gilmore, J. H. (1998). Welcome to the experience economy. Harvard Business Review, 76(4), 97-105.
- 윤병국(2017). 한방의료 체험관광객의 의사결정연구. 관광연구저널, 31(2), 47-62.
- 이주희(2021). 박물관 실감콘텐츠(Immersiver Contents) 이용에따른 체험가치, 공동가치창출 태도및 행도 간구조관계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Zeithaml, V. A., Berry, L. L., & Parasuraman, A. (1996), The behavioral consequences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Marketing, 60(2), 31-46.
- Jones, T. C., & Riley, D. W.(1985), Using inventory for competitive advantage through supply chain manag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Physical Distribution & Materials Management, 15(5), 16-26.
- 축인혁(2021). 중국 노인의 관광체험가치, 관광만족, 행복감의 관계에 관한 연구. 가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Sheth, J. N. (1991). Consumption values and market choices: Theory and applications. South-western Publishing co.
- 이재훈, 허원무(2009). 한국경제의 새로운 동향: 통신서비스의 소비가치가 신뢰, 감정,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와이브로 서비스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35(3), 165-186.
- 구동우(2015). 패밀리 레스토랑 이용고객의 경험적 가치가 감정, 소비자-브랜드 관계, 그리고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서비스연구, 12(2), 55-80
- 임현정, 이화인(2015). 경험적 소비특성이 감정반응에 미치는 영향 : 호텔이용동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관광경영연구, 19(3), 267-291.
- Verhoef, P. C., Lemon, K. N., Parasuraman, A., Roggeveen, A., Tsiros, M., & Schlesingerm L. A. (2009), Customer experience creation: Determinants, dynamics and management strategies. Journal of Retailing, 85(1), 31-41.
- Holbrook, M. B. (2006). Consumption experience, customer value, and subjective personal introspection: An illustrative photographic essay.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9(6), 714-725.
- 조윤정(2014). 유서비스 사회적 가치 측정을 위한 평가모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정욱(2010). 순천시 농촌관광 연구: 생태체험관광을 중심으로. 한국농어촌관광학회, 17(3), 139-162.
- 최영규(2021). 사회적기업 종사자의 사회적 가치, 시장지향성이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 : 협조적 행동 매개효과와 변혁적 리더십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Howard, J. A., & Sheth, J. N. (1969). The theory of buyer behavior. John Willey & Sons, 145. New York.
- Rust, R., & Oliver, R. L. (1993). Service quality: new directions in theory and practice.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 Westbrook, R. A., & Reilly, M. D. (1983). Value-percept disparity: An alternative to the disconfirmation of expectations theory of cons user satisfaction.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Association for Consumer Research.
- Tse, D. K., & Wilton, P. C. (1988). Models of consumer satisfaction formation: An extens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5(2), 204-212.
- Kotler, P. (2000). Marketing Management. 10th ed., New Jersey : Prentice-Hall.
- 박정기(2018). 렌탈서비스의 회복전략이 회복만족과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조성완(2012).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의 딜레마. LG Business Insight, April, 17-23.
- 김지희, 김혜선, 윤설민(2012). 저가항공사의 지각된 가치, 만족도, 신뢰, 그리고 행동의도 간 영향관계 연구 : 감정적.금전적 가치의 역할을 중심으로. (사)대한관광경영학회, 27(4), 161-179.
- 문상정, 배현주(2013). 커피전문점 고객이 지각한 관계혜택이 지각된 가치, 만족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2(1), 120-128.
- 이청아, 윤혜정, 이충훈, 이중정(2015). 모바일 지갑의 가치와 지속사용의도의 영향요인 : VAM 모형을 기반으로. 한국전자거래학회, 20(1), 117-135.
- 송규태(2024). 외식 기술기반 셀프서비스 품질이 지각된 가치와 태도 형성,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개인의 다양성 추구성향의 조절효과.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오재신(2015). 모바일 뱅킹 사용자의 지각된 유용성, 만족, 지속사용의도의 관계 : 인지욕구와 이지부조화의 조절효과.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15(1), 95-112.
- 이희민, 남궁영(2020). 인스타그램 음식콘텐츠 정보품질과 유용성, 만족도, 지속사용의도 관계에 관한 연구: 후기수용모델을 적용하여.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9(8), 195-212.
- 윤철호, 김상훈(2014). R을 이용한 PLS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튜토리얼: 예시 연구모형 및 데이터를 중심으로. Information Systems Review, 16(3), 89-112.
- Nunnally, J. C., & Bernstein, I. H. (1994). Psychometric theory, 3rd edition., New York: McGraw-Hill.
- Bagozzi, R. P., & Yi. Y. (1988).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6(1), 74-94.
- Fornell, C., & Larcker, D. F. (1981).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Algebra and statistic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3), 382-388.
- Leguina, A. (2015). A primer on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LS-SEM).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 Method in Education, 38(2), 22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