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메타버스 플랫폼 서비스의 가치가 만족과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alues of Metaverse Platform Service on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Intention

  • 정종균 (숭실대학교 대학원 IT정책경영학과) ;
  • 이채현 ((주)소올아이티) ;
  • 윤소빈 (ALICe 컨설팅) ;
  • 신용태 (숭실대학교 컴퓨터학부)
  • Jong-Kyun Jung (Graduate School of IT Policy and Management Soongsil University) ;
  • Chae-Hyun Lee (SOARIT Firm) ;
  • Sou-Bin Yun (ALICe Consulting Firm) ;
  • Young-Tae Shin (Dept. of Computer Science, Soongsil University)
  • 투고 : 2024.09.30
  • 심사 : 2024.10.11
  • 발행 : 2024.10.31

초록

본 연구는 Virtual Worlds 속에서 메타버스 플랫폼 서비스가 가지고 있는 오락적 가치, 교육적 가치, 일탈적 가치, 심미적 가치, 경제적 가치, 기능적 가치, 경험적 가치, 사회적 가치, 만족과 지속사용의도의 주요 변수들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고객이 메타버스 플랫폼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느끼는 여러 가치에서 만족과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각 가치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지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R Programming 4.3.2 Ver의 'plspm' 패키지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성 분석, 타당성 분석, 경로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오락적 가치, 교육적 가치, 일탈적 가치, 심미적 가치, 기능적 가치, 경험적 가치, 사회적 가치는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적 가치, 심미적 가치, 경험적 가치, 사회적 가치는 지속사용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족은 지속사용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메타버스 플랫폼 서비스의 여러 가지를 세부화하여 연구한 것은 산업과 학계에 기여할만 방안으로 차별화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variables of the metaverse platform service's entertainment value, educational value, hedonic value, aesthetic value, economic value, functional value, experiential value, social value,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in Virtual Worlds. In addition,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on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e various values that customers feel while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service. In order to empirically analyze the influence of each value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easibility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plspm' package of R Programming 4.3.2 Ver.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entertainment value, educational value, hedonic value, aesthetic value, functional value, empirical value, and social value had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In addition, educational value, aesthetic value, empirical value, and social value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ontinuous use intention, and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continuous use intention. The study of various metaverse platform services in detail can be said to be a differentiated research as a way to contribute to the industry and academia.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광집(2021). 메타버스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현실과 가상 세계의 진화.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6(3), 10-19
  2. 한상열, 전이슬, 곽나연, 이슬기(2024). 메타버스 산업 분류체계 개발연구.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ISSUE REPORT, IS-171.
  3. 우성미, 장동련(2021). 트랜스미디어 환경의 메타버스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연구. (사)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9(2), 29-48.
  4. McKinsey & Company(2022). Value creation in the metaverse : The real business of the virtual world. https://www.mckinsey.com/
  5. 신석영(2023). 플랫폼을 넘어 생태계로 : Information Ecology Theory를 활용한 메타버스 산업 생태계연구. 경영정보학연구, 25(4), 131-159.
  6. 유혜린, 유승호(2021). 온라인 게임의 자아정체성 기여에 대한 탐색적 연구: 미드의 게임 이론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글로벌문화전략연구소, 9(2), 161-187.
  7. 이은정, 전지혜(2022). 패션브랜드 메타버스 가상현실매장 체험이 지각된 아바타 동일시성, 지각된 즐거움, 소비자-브랜드 자아 일치성에 미치는 영향. 국제문화기술진흥원, 8(4), 387-395.
  8. 서동기, 김현우(2021). 신입사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메타버스형 비대면 기업 교육훈련의 효과성 연구. 한국의사결정학회, 29(2), 119-139.
  9. 김상균, 최경아, 이세원(2022). 세대와 공간을 초월한 새로운 도시모델. 국토연구원, 9, 58-65.
  10. 박천호, 이채현, 정성미, 최정일(2023). 가상세계 메타버스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 22(2), 41-56.
  11. 송승원, 이정교(2024). 사용자 경험 극대화를 위한 메타버스 플랫폼 연구 : 어포던스 디자인을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9(1), 39-50.
  12. 김윤정(2021). 게임과 비게임 메타버스 콘텐츠에서 나타나는 유형의 융합화에관한 연구. 한국애니메이션학회, 17(3), 80-99.
  13. ASF(2007). Metaverse Roadmap: Pathway to the 3Dfuture of the world wide web. Acceleration Studies Foundationhttps://www.metaverseroadmap.accelerating.org/
  14. 이현정(2022). 사회적 성향과 행동 양상에 따른 현실과 메타버스 내 관계 맺기에 대한 태도 차이 탐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2(9), 375-387.
  15. 손창용(2023). 가치-태도-행동 프레임워크에서 금융마이데이터 사용자 행동연구 : 기관정보 투명성, 평판, 데이터 보안정책의 조절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Zeithaml, V. A(1988). Consumer perceptions of price, quality, and value: A means-end model and synthesis of evidence. Journal of Marketing, 52(3), 2-22.
  17. Fornell, C., Johnson, M. D., Anderson, E. W., Cha, J., & Bryant, B. E(1996). The american customer satisfaction index: Nature, purpose, and findings. Journal of Marketing, 60(4), 7-18.
  18. 최윤실, 이형룡(2019). 온라인 예약 채널 품질 속성이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기능적 가치의 매개 효과. 관광연구, 34(7), 103-120.
  19. 이정학, 임선영(2020). 체험경제이론에 따른 생활무용 참여자의 스포츠가치관, 지속적 참여의도의 구조적 관계. 체육과학연구, 31(2), 330-348.
  20. Sweeney, J. C., & Soutar, G. N. (2001). Consumer perceived value: The development of a multiple item scale. Journal of Retailing, 77(2), 203-220.
  21. Malone, T. W. (1981). Toward a theory of intrinsically motivating instruction. Cognitive Sciences, 5(4), 333-369.
  22. 류진승(2020). 서핑참여자의 체험경제이론에 따른 체험과 소비행동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Manthiou, A., Lee, A., Tang, L., & Chiang, L. (2014). The experience economy approach to festival marketing: Vivid memory and attendee loyalty. Journal of Service Marketing, 28(1), 22-35.
  24. 박수경, 박지혜, 차태훈(2007). 체험요소(4Es)가 체험 즐거움, 만족도,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Pine과 Gilmore의 체험경제이론(Experience Economy)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76(0), 55-78.
  25. 윤설민, 이충기(2017). 체험경제(4Es) 관점에 따른 축제체험, 지각된 품질, 지각된 가치, 그리고 정서적 몰입 간 영향관계 규명: 2016 서울빛초롱 축제를 중심으로. 관광연구, 32(5), 79-96
  26. 박진희, 윤지환(2019). 증강현실(AR) 기술을 활용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체험경제적 요인이 관광객의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학회, 43(1), 37-53.
  27. 하동현(2009). 테마파크에서의 체험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 19(1), 37-47
  28. Song, H. J., Ahn, Y. J., & Lee, C. K. (2015). Examing relationships among expo experiences,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and the effect of the Expo: The case of the Expo 2012 Yeosu Korea. Asia Pacific Journal of Tourism Research, 31(2), 455-470
  29. Pine, B. J., & Gilmore, J. H. (1998). Welcome to the experience economy. Harvard Business Review, 76(4), 97-105.
  30. 윤병국(2017). 한방의료 체험관광객의 의사결정연구. 관광연구저널, 31(2), 47-62.
  31. 이주희(2021). 박물관 실감콘텐츠(Immersiver Contents) 이용에따른 체험가치, 공동가치창출 태도및 행도 간구조관계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Zeithaml, V. A., Berry, L. L., & Parasuraman, A. (1996), The behavioral consequences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Marketing, 60(2), 31-46.
  33. Jones, T. C., & Riley, D. W.(1985), Using inventory for competitive advantage through supply chain manag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Physical Distribution & Materials Management, 15(5), 16-26.
  34. 축인혁(2021). 중국 노인의 관광체험가치, 관광만족, 행복감의 관계에 관한 연구. 가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5. Sheth, J. N. (1991). Consumption values and market choices: Theory and applications. South-western Publishing co.
  36. 이재훈, 허원무(2009). 한국경제의 새로운 동향: 통신서비스의 소비가치가 신뢰, 감정,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와이브로 서비스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35(3), 165-186.
  37. 구동우(2015). 패밀리 레스토랑 이용고객의 경험적 가치가 감정, 소비자-브랜드 관계, 그리고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서비스연구, 12(2), 55-80
  38. 임현정, 이화인(2015). 경험적 소비특성이 감정반응에 미치는 영향 : 호텔이용동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관광경영연구, 19(3), 267-291.
  39. Verhoef, P. C., Lemon, K. N., Parasuraman, A., Roggeveen, A., Tsiros, M., & Schlesingerm L. A. (2009), Customer experience creation: Determinants, dynamics and management strategies. Journal of Retailing, 85(1), 31-41.
  40. Holbrook, M. B. (2006). Consumption experience, customer value, and subjective personal introspection: An illustrative photographic essay.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9(6), 714-725.
  41. 조윤정(2014). 유서비스 사회적 가치 측정을 위한 평가모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2. 김정욱(2010). 순천시 농촌관광 연구: 생태체험관광을 중심으로. 한국농어촌관광학회, 17(3), 139-162.
  43. 최영규(2021). 사회적기업 종사자의 사회적 가치, 시장지향성이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 : 협조적 행동 매개효과와 변혁적 리더십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4. Howard, J. A., & Sheth, J. N. (1969). The theory of buyer behavior. John Willey & Sons, 145. New York.
  45. Rust, R., & Oliver, R. L. (1993). Service quality: new directions in theory and practice.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46. Westbrook, R. A., & Reilly, M. D. (1983). Value-percept disparity: An alternative to the disconfirmation of expectations theory of cons user satisfaction.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Association for Consumer Research.
  47. Tse, D. K., & Wilton, P. C. (1988). Models of consumer satisfaction formation: An extens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5(2), 204-212.
  48. Kotler, P. (2000). Marketing Management. 10th ed., New Jersey : Prentice-Hall.
  49. 박정기(2018). 렌탈서비스의 회복전략이 회복만족과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0. 조성완(2012).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의 딜레마. LG Business Insight, April, 17-23.
  51. 김지희, 김혜선, 윤설민(2012). 저가항공사의 지각된 가치, 만족도, 신뢰, 그리고 행동의도 간 영향관계 연구 : 감정적.금전적 가치의 역할을 중심으로. (사)대한관광경영학회, 27(4), 161-179.
  52. 문상정, 배현주(2013). 커피전문점 고객이 지각한 관계혜택이 지각된 가치, 만족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2(1), 120-128.
  53. 이청아, 윤혜정, 이충훈, 이중정(2015). 모바일 지갑의 가치와 지속사용의도의 영향요인 : VAM 모형을 기반으로. 한국전자거래학회, 20(1), 117-135.
  54. 송규태(2024). 외식 기술기반 셀프서비스 품질이 지각된 가치와 태도 형성,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개인의 다양성 추구성향의 조절효과.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5. 오재신(2015). 모바일 뱅킹 사용자의 지각된 유용성, 만족, 지속사용의도의 관계 : 인지욕구와 이지부조화의 조절효과.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15(1), 95-112.
  56. 이희민, 남궁영(2020). 인스타그램 음식콘텐츠 정보품질과 유용성, 만족도, 지속사용의도 관계에 관한 연구: 후기수용모델을 적용하여.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9(8), 195-212.
  57. 윤철호, 김상훈(2014). R을 이용한 PLS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튜토리얼: 예시 연구모형 및 데이터를 중심으로. Information Systems Review, 16(3), 89-112.
  58. Nunnally, J. C., & Bernstein, I. H. (1994). Psychometric theory, 3rd edition., New York: McGraw-Hill.
  59. Bagozzi, R. P., & Yi. Y. (1988).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6(1), 74-94.
  60. Fornell, C., & Larcker, D. F. (1981).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Algebra and statistic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3), 382-388.
  61. Leguina, A. (2015). A primer on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LS-SEM).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 Method in Education, 38(2), 22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