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경력단절여성의 사회 재진출을 지원하는 교육 플랫폼 서비스 디자인 제안 : 사용자 경험 향상을 중심으로

Service Design Suggestion of Education Application to support Career-Interrupted Women's Employment : focusing on improving user experience

  • 이유정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디지털미디어디자인전공) ;
  • 김승인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디지털미디어디자인전공)
  • You Jung Lee (Hongik University, International Design School for Advanced Studies) ;
  • Seung In Kim (Hongik University, International Design School for Advanced Studies)
  • 투고 : 2024.05.30
  • 심사 : 2024.08.16
  • 발행 : 2024.10.31

초록

여성의 경력단절 문제는 개인적, 사회적으로 큰 손실을 야기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경력단절여성의 사회 재진출을 지원하는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력단절여성을 위한 사회 재진출 교육을 에듀테크(Edutech) 기반의 교육 플랫폼을 통해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더블 다이아몬드 디자인 프로세스(Double Diamond Design Process)와 심층 인터뷰(In-depth Interview)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페인포인트와 니즈를 파악하고, 어피니티 다이어그램(Affinity Diagram), 퍼소나(Persona), 사용자 여정 지도 (User Journey Map)를 통해 런핏(Learnfit)이라는 새로운 교육 플랫폼을 구체화하였다. 해당 서비스는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을 통해 경력단절여성의 만족도를 충족시킬 수 있는 교육 플랫폼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시사점이 있으며, 궁극적으로 경력단절여성의 사회 재진출을 돕고자 한다.

The issue of career interruption among women causes significant personal and social losses, and various efforts have been made to address this problem. However, research supporting the social re-entry of career-interrupted women is still insufficient.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social re-entry education program for career-interrupted women through an Edutech-based educational platform. With the Double Diamond Design Process and In-depth interview, this study identifies user pain points and needs, and concretizes a new educational platform, Learnfit, through Affinity Diagram, Persona, and User Journey Map. The proposed service, employing service design methodology, has academic implications in suggesting an educational platform that can meet the satisfaction of career-interrupted women and ultimately aims to facilitate their social re-entry.

키워드

참고문헌

  1. 박정화(2022). 경력단절 기혼 여성의 재취업과정에서 자아정체감 변화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국내학술논문.(인문사회21, 13(4), pp.2343-2358)
  2. 전연숙.주영아(2016). 경력단절 여성의 도움추구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취업진로연구, 6(4), 45-70.
  3. 김난주(2016).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과 재취업 이후 고용유지 분석. 산업관계연구, 26(2), 1-27.
  4. 박수범.김난주.권희정(2014). 여성 경력단절예방 재정사업의 성인지적 분석.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115
  5. 김종숙.이지은(2012). PSM 방식을 이용한 경력단절 여성의 임금 손실 추정. 여성연구, Vol.82, pp.75-101.
  6. 오은진.이한나(2013). 기혼여성의 직업 이동에 관한 연구. 아시아여성연구, 52(1), 133-161.
  7. 계봉오.김영미(2014). 한국여성의 결혼, 출산 및 경제활동 참가 형태에 대한 연구. 사회연구, 25, 79-113 [35].
  8. 신하영.서정은(2018). 재취업 경력단절여성의 고용유지 현황과 정책지원방안.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1-222.
  9. 김영경(2007).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경력개발 계획과 재취업교육 요구분석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85-118 (34 pages).
  10. 김정원(2021).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영향 요인에 관한 메타 분석. 인적자원개발연구, 24(1), 55-84.
  11. 송영진(2020). 비대면 교육서비스의 수요 특성 및 시사점 : 온라인 교육을 중심으로. 산업연구원, 1-85.
  12. 여은정.김진백.한승희(2015). 대학 경영 교육에 서 혁신적 교수법 적용에 따른 학습 성과 및 수강생 만족도 분석과 시사점. Korea Business Review, 19(4), 181-202.
  13. 이지은(2020). 에듀테크로 촉발되는 고등교육의 위기와 기회. Korea Business Review, 24(신년 특별호), 151-171.
  14. 박진희.김수영(2021). 대학 원격교육 학사관리에 대한 사례 연구: 성인학습자 전담 학위과정 운영 대학을 중심으로. 평생학습사회, 17(3), 59-84.
  15. 명순영(2022). 경영계 새 키워드 '심리스 (Seamless)' 젊은 층에게 '끊김'은 惡...온.오프 '매끄럽게'. 매경이코노미, 66-68.
  16. 추예린(2021). 조건부 수강료 환급형 온라인교육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경험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