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hildhood Loss Experiences and Complex Grief

아동기 상실경험과 복합 애도에 관한 연구

  • Seok-Min Yoon (Dept. of Social Welfare, Daewon University College)
  • 윤석민 (대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24.09.28
  • Accepted : 2024.10.25
  • Published : 2024.10.31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to provide a deeper understanding of childhood loss experiences and the complex grief that follows. When children experience the shock of losing a parent, they often experience sleep disturbances, antisocial behavior, guilt, post-traumatic stress, depression, and fear. When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5 and 9 experience a loss, they may become confused, fearful, and anxious. They may also become aggressive or have difficulty concentrating when experiencing a loss. And when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9 and 12 experience loss, they may experience feelings of sadness, depression, and fear. Children may experience behavioral or academic decline due to the experience of loss. The severe trauma that occurs in complex grief is caused by persistently dominating painful emotions and preventing adaptation to reality. It also causes fear and escape from reality due to painful emotions. Complicated grief disrupts the normal grief process which involves accepting sadness, longing, shock and pain while moving forward with a new life.

본 연구는 아동기 상실 경험과 이에 따른 복합 애도에 깊이 있는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문헌연구를 하였다. 아동들은 부모를 사별했을 때 충격적으로 수면장애, 반사회적 행동, 죄책감, 외상 후 스트레스, 우울, 공포 증상이 나타난다. 5세-9세 때 아동이 상실을 경험하면 혼란스러움과 공포, 걱정을 하게 된다. 또한 상실을 경험했을 때 공격성이 나타나거나 집중력이 떨어질 수 있다. 그리고 9세-12세의 아동이 상실을 경험했을 때는 비애, 우울, 공포의 감정이 발생하게 된다. 아동은 상실의 경험으로 행동화 또는 학업 수행이 떨어지기도 한다. 복합 애도에서 나타나는 중상은 고통스러운 감정이 지속적으로 지배하고 현실에 적응하지 못하게 한다. 또한 고통스러운 감정으로 두려워하고 현실을 도피하게 한다. 복합애도는 슬픔, 그리움, 충격과 고통을 마음속으로 수용하면서 새로운 삶을 개척해 가는 과정인 정상적 애도 과정을 방해한다.

Keywords

References

  1. N, Wright, "트라우마 상담법", 금병달, 구혜선 역, 서울, 두란노서원, 2010, P.81-86
  2. 윤은영. 유금란, 아동 및 청소년의 상실 경험에 대한 이해와 학교 상담의 개입, 한국심리학회지, 10(2013), PP. 241-242.
  3. N, Wright, "트라우마 상담법", 금병달, 구혜선 역, 서울, 두란노서원, 2010, PP.390-399.
  4. 조애진, 132명 장애인 고아의 술전 심리적 간호, 간호학 잡지, 15(11), 2000, PP.687-688.
  5. 이국강, 정력, 120명 재학 고아의 공부에 영향된 심리 요소 조사연구, 심리과학, 27(2), 2004.
  6. 윤운영, 유금란, 아동 및 청소년의 상실 경험에 대한이해와 학교 상담의 개입,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0(1), 한국심리학회산하 학교심리학회, 2013, P.249.
  7. J. Fiorini & J. Ann Mullen, "슬픔과 상실을 겪는 아동. 청소년 상담 및 사례", 하정희 옮김, 서울:학지사, 2014, PP.80-84.
  8. J. Bowlby, "Loss: safness and Depression", Triviatock Institude, 1980, PP.214-224.
  9. J. William Worden, "Grief counseling and Grief Therapy"; a Handbook for Mential Health practitioner,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991, PP.57-75.
  10. Yorick spiegal, "The Grief process", London, Scm/Nashville: Abingdon, 1977, PP.11-12.
  11. Worden, "Grief counseling and Grief Therapy", New York: Springer Pub Co, 2018, PP.57-75.
  12. 안유숙, 기독교 여성 노인의 배우자 사별적응 경험 연구, 목회와 상담, 26, 2016, PP.203-233.
  13. David K. Switzer, "모든 상실에 대한 치유, 애도", 최혜란 역, 2011, PP.18-19
  14. H. Anderson & R. Mitchell, "상담과 치유", 2012, P.50.
  15. 장현아, 복합 비애의 개념과 진단, 한국심리학회, 일반, 28(2), 한국심리학회, 2009, PP.303-317.
  16. 문경희, 지속성 복합애도 장애 아동의 사례연구, 외상 중심 인지행동치료(Trauma Focused-CBT)의 관점으로, 인문사회21, 8(2), 2017, PP.139-166
  17. J. Fiorini & J. Ann Mullen, "슬픔과 상실을 겪는 아동. 청소년 상담 및 사례", 하정희 옮김, 서울:학지사, 2014. P.397.
  18. Prigerson, H. G., Horowitz, M. J., Jacobs, S. C., Parkes, C. M., Aslan, M., Goodkin, K., Raphael, B., Marwit, S. J., Wortman, C., Neime yer, R., Bonanno, G., Block, S. D., Kissane, D., Boelen, P., Mae rcker, A., Litz, B. T., Johnson, J. G., First, M. B., & Maciejews ki, P. K. Prolonged grief disorder: Psychometric validation of criteria proposed for DSM-Vand ICD-11. PLoS Medicine, 6(8), 2009, PP.1-12.
  19. Holland, J. M., Neimeyer, R. A., Boelen, P. A., & prigerson, H. G. The underlying structure of grief: A taxometric investigati on of prolonged and normal reaction to loss. Journal of psycho 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31, 2009, PP.190-201.
  20. 재난정신건강위원회편, "재난과 정신건강", 서울:학지사, 2015, P.322.
  21. 송민규, 김원, 애도와 복잡성 애도(Complicated Grief), 새로운 진단과 치료가 필요한가?, 대한우울조울병학회, 14(2), 2016, P.65.
  22. 이미라, 애도 개념개발-배우자 사별과정을 중심으로, 대한간호학회지, 37(7), 2007, P.1121.
  23. Wicks, S., Hjern, A., Gunnell, D., Lewis, G., & Dalman, C. Social adversity in childhood and the risk of developing psychosis: a national cohort study.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62(9), 2005, PP.1652-1657.
  24. 박은아, 윤명숙, 관계상실경험과 삶의 질의 관계에 미치는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43(1), 2015, PP.168-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