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risis Management System of Child Care business by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유보통합에 따른 보육사업의 위기관리체계에 대한 연구

  • JinSuk Song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aiChai University)
  • 송진숙 (배재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24.09.30
  • Accepted : 2024.10.22
  • Published : 2024.10.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 for the crisis management system facing various crisis in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and analyze crisis management's condition and child care business. The sub-variables of the crisis management system in child care business were crisis prevention, crisis response, crisis overcome, and opportunity discover based on various literature review. The results of analyzing data were as follows. First, child care business have to response systematically for crisis prevention establishing crisis management team. Child care business must establish distinguished strategy considering scale and characteristics, because of company situation and environment change. Second, child care business have to minimize its management negative side effects when crisis situation broke out. If child care business is being carried on effectively, it would lead to establish the optimism and mutual agreement. Third, it is very important that manager in child care business have to do decision making systematically and quickly for minimizing damage. Fourth, Korea child care business has been facing hard time for more than a decade, but Korea child care business must be watchful over to make the next big leaps to sustainable society

본 연구는 유보통합시대를 맞이하여 저출산과 보육사업의 문제를 고찰하였고, 보육사업이 직면한 위기관리의 상황을 분석하고 위기관리체계의 해법을 모색하였다. 다차원적인 문헌연구를 토대로 연구설계를 하였으며, 보육사업 위기관리체계의 하위 변인들은 위기 예방, 위기 대응, 위기 극복, 기회 탐색 및 도출 등으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보육사업체는 위기관리팀을 구성하여 위기 예방에 체계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위기의 원인은 기업 내부뿐만 아니라 대외적인 환경변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보육사업체의 규모와 특성 등을 고려하여 차별화된 전략을 수립해야한다. 둘째, 위기상황이 발생하면 보육사업체는 적절하게 대응하며 경영상의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 보육사업체의 위기대응이 적절하게 이루어지려면 자사에서 발생하는 사고들에 대한 유형화가 필수적이고 위기상황을 돌파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공감대가 형성되어야 한다. 셋째, 경영환경의 변화 속에서 보육사업체가 피해를 최소화하며 위기를 극복하려면 경영자의 신속하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중요하다. 넷째, 초저출산국가인 대한민국의 보육사업은 위기상황에 10년도 넘게 직면해 있지만 지속가능한 사회로 도약할 수 있는 기회를 찾아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Wilson, D. T. "An Integrated Model of Buyer Seller Relationship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23(Fall), 335-345, 1995.
  2. 박근완.배지원.유승호. "기업의 위기관리 유형에 따른 성과 분석: 고객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생산관리학회지』, 30(3), 227-250, 2019.
  3. 김은설.신나리.최혜선.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에 관한 의견 분석: 유치원.보육시설 원장과 교사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8(4), 197-208, 2007.
  4. 박은혜.장민영. "통합 요소별로 살펴본 8개국의 유아교육과 보육 통합 현황 비교". 『교육과학연구』, 45(1), 149-180, 2014.
  5. 한지원.곽은복. "빅데이터를 활용한 유보통합에 대한 사회적 인식 분석", 『영유아교육과정연구』, 14(3), 24-38, 2024.
  6. 문병호. "저출산, 지역소멸의 사회경제적 구조와 법적 대응방안", 『공법연구』, 52(4), 117-166, 2024.
  7. 홍한국.이봉구.임병학. "기업규모별 위기관리 차이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3(2), 391-400, 2023.
  8. 이일주. "유아교육과 보육 이원화 체제의 문제점과 대안", 『김세연.김태년 의원 주관 토론회 자료집』, 317-332, 2013.
  9. 이정욱. "영유아 교육 및 보육 정책의 방향: 유보통합과 유아 공교육 실현", 『교육비평』, 39. 444-464, 2017.
  10. 손흥숙. "유보통합정책 형성과정의 비판적 담론분석", 『유아교육학논집』, 21(5), 399-419, 2017.
  11. 강혜정.송효진. "저출산 문제에 대한 인식과 대응: 일본의 저출산 대책이 주는 정책적 시사점", 『Crisisonomy』, 13(2), 1-16, 2017.
  12. 김성희. "보육산업의 발달과 아동의 모성접촉으로부터의 소외", 『한국생활과학회지』, 19(6), 933-943, 2010.
  13. 정병모. "한국의 풍속화", 서울: 한길아트, 1-463, 2001.
  14. 신영희 외. "아동간호학", 서울: 양서원, 1-324, 2009.
  15. 김지영. "보육교직원 권리보호를 위한 '보육사업' 개선방안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9), 683-697, 2021.
  16. 이남정. "서울시 생태친화 보육사업-놀이, 생태 유아교육으로 풀다: 유아교육기관 생태 컨설팅사례",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71-87, 2020.
  17. 김동성.우종무. "AI와 디지털시대의 효과적인 위기관리", 한국PR학회 봄철 정기학술대회, 2024(3), 39-55, 2024.
  18. Lerbinger, O. "The crisis manager: Facing risk and responsibility", Lawrence Associate, 1997.
  19. Coombs, W. T. "Ongoing crisis communication-planning responding", Thousand Oaks, CA: AGE, 1999.
  20. Cuskelly, G. & Auld, C. J. "Retain, reduce, transfer or avoid?", The Achper National Journal, 23, 17-20, 1989.
  21. 서병석.신도형. "공항운영기업의 전사적 위험관리체계 분석 연구",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17(2), 1-11, 2015.
  22. 정재희.안연식. "리스크관리 체계 및 리스크관리 요인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IT서비스학회지』, 14(3), 117-129, 2015.
  23. Carmeli, A & Schaubroeck, J. "Organizational crisis-preparedness: The importance of learning from failures", Long Range Planning, 41(2), 177-196, 2008.
  24. 권대원.최수형.강희경. "기업의 위기관리체계가 위기대비에 미치는 영향: 실패경험 학습과 위기모니터링의 다중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20(4), 169-184, 2022.
  25. 권대원. "조직의 위기관리역량이 위기단계별 전략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위기 모니터링과 실패경험 학습 행동, 명성의 다중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2.
  26. 최진혁. "기업 위기관리(Crisis Management)전략에 관한 연구: 해외 Pandemic Planning 사례를 중심으로", 『기업경영연구』, 17(4), 149-169, 2010.
  27. 이영관. "코리안 리더십: 세종에 묻다", 서울: 대왕사, 1-333, 2010.
  28. Tsharane, J. & Bussin, M. "Exploring Financial Risk Management Oractices in Selected Tshwane School", South African Journal of Education, 42(1), 1-9, 2022.
  29. 이윤석. "저출산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결혼과 육아에 관한 조사 연구: 일본사례를 중삼으로", 『Crisisonomy』, 12(6), 115-124, 2016.
  30. 안현미.김현실. "서울시 보육교사 근로환경 개선방안 연구: 서울시보육교사지원전담기구(안)설립을 중심으로", 서울: 서울시여성가족재단, 1-214, 2013.
  31. 김현경.김신영. "인권친화적 학교문화가 청소년의 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 『시민교육연구』, 47(2), 29-52, 2015.
  32. Tucker, A. L. & Edmondson, A. C. "Why Hospitals Don't Learn from Failures : Organizational and Psychological Dynamics that Inhabit System Change",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45(2), 55-72, 2003.
  33. Fink, S. & American Management Association. "Crisis Management: Planning for the Inevitable", New York: AMACOM, 1986.
  34. 백지혜. "영아의 보육의 안정성, 시작시기, 양과 애착안정성 간의 관계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1), 195-212, 2009.
  35. Wooten, L. P. & James, E. H. "Linking crisis management and leadership competencies: The role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Advances in developing human resources, 10(3), 352-379, 2008.
  36. 김건. "호텔기업의 조직 문화와 커뮤니케이션이 위기관리에 미치는 영향", 『관광경영연구』, 21(6), 575-593, 2017.
  37. 홍기선. "커뮤니케이션론", 서울: 나남, 1-610. 1997.
  38. 김진현.송영지.김새봄. "양성평등과 일.가정양립이 자녀필요성에 미치는 영향", 『Crisisonomy』, 16(6), 17-35, 2020.
  39. 권영인. "미혼 및 기혼 무자녀 남성과 여성의 출산 의사 고찰과 미래 예상 출산 자녀수 관련 변인 탐색", 『한국생활과학회지』, 23(2), 251-268, 2014.
  40. 이지선.정혜선. "직장여성의 연도별 출산 계획변화 및 관련요인 분석", 『지역사회간호학회지』, 30(3), 357-367, 2019.
  41. 선민정.조상미. "기혼 취업여성의 일과 가정 관련 요인이 둘째 자녀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 직장 내 성차별 문화에 대한 일.가정 양립 갈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논총』, 35(2), 5-35, 2019.
  42. 박희봉.이희창. "사회자본과 양성평등: 사회자본의 성별 특성과 양성평등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0(4), 91-116, 2006.
  43. 이영환.이수재.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주부와 전업주부의 생활시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학회지』, 10(1), 19-25, 2007.
  44. 박병민. "자연친화적 요소를 도입한 보육시설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45. 홍은주.조형숙.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자연환경 구성활동의 교육적 의미", 『유아교육학논집』, 7(2), 157-180, 2003.
  46. 김천권.정진원. "한국사회의 저출산 현상, 재앙 인가 기회인가?", 『국가정책연구』, 33(3), 1-41, 2019.
  47. 허선.이재완. "보육서비스 전달체계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21, 183-208, 2000.
  48. 신현석.정주영.김진미. "보육서비스 전달체계 분석을 통한 보육의 공교육화 방안 탐색", 『교육정치학연구』, 17(2), 35-64, 2010.
  49. Zhan, L. & He, Y. "Understanding luxury consumption in China: Consumer perceptions of best-known brand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5(10), 1452-1460,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