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지구온난화로 인한 세계적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탄소 흡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국내 주거유형의 63.5%를 차지하는 아파트 외부 공간의 환경친화적인 설계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파트 외부 공간의 탄소흡수량 증대를 위한 식재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다. 이는 기후위기 대응과 국내 건설업계 탄소 대응의 현실적인 해결책 제시를 목표로 공간 유형에 따른 식재설계 전략을 제시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탄소흡수량 산출을 위해 교목은 수목 탄소계산기를, 관목 및 초화는 선행 연구자료를 활용하였고, 아파트 외부공간 관련 법령 및 건설사별 조경설계 가이드라인을 기초로 주요 조경공간을 추출하여 중앙광장, 외곽숲, 수변공간, 어린이놀이터 및 주민운동시설, 소규모 정원으로 분류하였다. 탄소흡수량 분석의 표본 대상지는 '살기좋은 아파트상'의 2021년 이후 수상작중 서울, 수도권에 있는 아파트 단지로 선정하고, 위의 5개 공간이 포함된 1,000세대 이상 아파트를 대상으로 공간별 조경수 탄소흡수량을 산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탄소흡수량 증대를 위한 공간별 식재 가이드라인을 작성하였고, 표본 대상지에 식재 가이드라인을 적용한 결과, 기존 설계보다 탄소흡수량이 약 5-63% 증가하여 목표 탄소흡수량에 수렴하였다. 이는 식재 가이드라인의 적용시 탄소흡수량이 증가함을 확인한 결과였다. 본 연구는 조경수의 탄소흡수량 데이터를 정리하여 설계 가이드라인을 수립한 것에 의의가 있으나, 추후 조경 분야의 탄소저감 설계를 위해서는 수목뿐 아니라 조경 자재 전반에 대한 데이터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아파트 단지 외부 공간의 식재 설계 및 시공시 탄소흡수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질적인 식재 데이터 및 설계 가이드라인을 제시함으로써, 추후 탄소흡수 관련 설계의 지표 및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기초연구로써 의의가 있고 이에 따라 도시 환경에서의 기후변화 대응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As interest in carbon absorption increases to respond to the global climate crisis,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design of exterior spaces of apartments, which account for 63.5% of all residences in Korea, is required. In this study, a planting design guideline for increasing the amount of carbon adsorption in the space outside apartments was developed. This is meaningful in suggesting a planting design strategy according to the type of space with the aim of presenting a realistic solution to respond to the climate crisis and carbon output in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A carbon calculator was used for the calculation of carbon absorption for trees, and previous research data was used for shrubs and flowers. Based on the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the exterior space of apartments and design guidelines for each construction company, major landscape spaces were extracted and categorized into central plazas, peripheral forests, waterfront spaces, play and exercise spaces, and small gardens. Apartment complexes in Seoul and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mong the 2021 and later winners of the 'Livable Apartment Award' were selected, and the carbon uptake of landscape trees by space was calculated for more than 1,000 apartments. Based on this, a guideline for planting by space was prepared to increase carbon adsorption. As a result of applying the planting guidelines to the sample target site, the carbon adsorption amount increased by about 5-63% compared to the existing design, and it converged toward the target carbon adsorption amount. This was determined by confirming that the amount of carbon adsorption could increase when planting guidelines were applied. This study is significant for establishing design guidelines by summarizing the carbon absorption data of landscape trees, but it is necessary to secure data on all landscape materials, not just trees, for future carbon reduction design in the landscape field. By presenting practical planting data and design guidelines that can improve carbon absorption in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exterior space planting in apartment complexe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basic research that can be utilized as indicators and guidelines for future carbon absorption-related design and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climate change response in urban environ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