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ublic Participation Policies in Urban Open Space Planning - Focused on Park and Green Space Master Plans of Seoul, Incheon, Gwangju, and Daegu -

도시 오픈스페이스 계획 과정의 시민참여 정책 분석 - 서울, 인천, 광주, 대구 공원녹지기본계획을 중심으로 -

  • Park, Yeongseok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
  • Pae, Jeong-Han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Rural Systems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 박영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
  • 배정한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Received : 2024.06.24
  • Accepted : 2024.08.12
  • Published : 2024.10.31

Abstract

Urban open spaces are crucial public areas that ensure the safety and comfort of citizens. Effective creation and management of these spaces require consensus and cooperation among stakeholders, emphasizing procedural rationality. Open spaces are not just physical structures but cultural artifacts that reflect the desires and values of the citizens and require public participation. This study explores the institutional and policy frameworks for public participation in the creation of urban open spaces. It analyzes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by examining relevant laws, executive orders, and initial studies on public participation in the Urban Comprehensive Planning and the Park and Green Space Master Plan. The study then analyzes the public participation policies in the Park and Green Space Master Plan of Seoul, Incheon, Gwangju, and Daegu. The basic plan of the park and green space in the four cities includes the concept of public participation. However, the public participation policies have two limitations. First, from a procedural standpoint, the public participation mandated by current laws is only a monotonous, one-time project. Second, from a content perspective, the communication materials directed at the target class and the step-by-step process for facilitating public participation are insufficient. Overall, while the policies for creating open spaces are improving, there is a pressing need for a comprehensive strategy to enhance both the process and content of citizen participation in the future.

오픈스페이스는 도시의 정체성을 드러내고 삶의 질을 높이는 대표적인 공공 공간이며, 지역 주민의 안전하고 쾌적한 삶을 위한 중요한 기반시설이다. 오픈스페이스 조성 과정은 주민을 포함한 이해관계자들 간 시민참여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오픈스페이스 조성 시 시민참여를 보장하는 법령을 정리하고 서울, 인천, 광주, 대구 공원녹지기본계획의 시민참여 정책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든 사례 도시의 기본 구상에 시민참여 개념이 탑재되어 있으나, 시민참여 관련 정책은 두 가지 한계를 갖는다. 첫째, 과정적 관점에서 현행 법령에서 보장하는 시민참여는 단조롭고 수동적인 방식이며 이벤트 중심의 단발성 사업에 그친다. 둘째, 내용적 관점에서 시민참여를 수행하기 위한 대상 계층, 단계별 소통 내용과 방식이 미비하여 실질적인 내용의 참여가 이루어지기 어렵다. 전반적으로 오픈스페이스 조성 관련 시민참여 제도와 정책이 개선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향후 시민참여의 과정과 내용의 측면에서 구체적인 전략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고하정(2020) 서울시 도시공원조성예산 변동 추세 - 예산서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48(3): 1-11. 
  2. 고하정(2022) 국내 도시공원 유형변경에 따른 시설변화 연구 - 서울시 공원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50(2): 76-88. 
  3. 공원녹지기본계획 수립지침(국토교통부 훈령 제1102호). 
  4. 광주광역시(2017) 2030년 광주광역시 공원녹지기본계획. 광주광역시. 
  5.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법률 제19117호). 
  6.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대통령령 제34319호). 
  7. 김민재, 이영성(2017) 공원녹지 편익의 외부효과.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9(2): 111-132. 
  8. 김병수(2003) 도시공원 및 녹지제도 개선방안. 국토 295: 105-110. 
  9. 김연금, 최정민(2012) 영국 공원녹지 정책의 최근 경향과 특성. 한국조경학회지 40(2): 86-96. 
  10. 김용기(1994) 서울시 공원녹지제도 및 정책의 외국과의 비교. 한국조경학회지 22(3): 184-191. 
  11. 김원주(2007) 시민참여를 통한 생활권 공원녹지 조성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2. 김은희(2012) '마을만들기는 운동이다,' 우리, 마을만들기. 나무도시: 10-39. 
  13. 김정화, 김용국(2019) 영국의 포용적 도시재생을 위한 공원녹지 정책 사례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47(5): 78-90. 
  14. 대구광역시(2017) 2030년 대구광역시 공원녹지기본계획. 
  15.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법률 제17893호). 
  16.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대통령령 제33321호). 
  17.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법률 제19225호). 
  18.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시행령(대통령령 제34321호). 
  19. 도시재정비 촉진을 위한 특별법(법률 제17893호). 
  20. 도시재정비 촉진을 위한 특별법 시행령(대통령령 제33858호). 
  21. 박인재, 이재근(2002) 서울시 도시공원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4): 105-117. 
  22. 박율진(2010) 최근 통계현황으로 본 도시공원녹지 변천 특성.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4(1): 7-16. 
  23. 박청인(2010) 주민의 공원녹지의식에 따른 도시공원녹지확충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4(3): 29-37. 
  24. 서울특별시 도시계획 조례(서울특별시조례 제9270호). 
  25. 서울특별시(2015) 2030년 서울특별시 공원녹지기본계획. 
  26. 서울특별시(2021) 서울특별시 도시공원위원회 운영 매뉴얼. 
  27. 손상락, 윤병구(2002) 도시민의 공원녹지의식에 의거한 공원녹지정책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7(4): 59-81. 
  28. 심준영, 김유일, 이시영(2010) 공공서비스로서 도시공원녹지평가. 한국조경학회지 37(6): 19-27. 
  29. 양재섭, 김태현(2011) 서울의 도시계획 수립과정에서 시민참여 실태와 개선방향. 서울시정개발연구원. 
  30. 이다예, 최정윤, 김중은, 서형주(2021) 시민참여 도시계획 실현을 위한 커뮤니티 보드 도입.운영 방안. 국토연구원. 
  31. 이상대, 정유선(2015) 시민참여 도시계획의 제도화 방안. 경기연구원. 
  32. 이승종, 김혜정(2018) 시민참여론. 박영사. 
  33. 이양주(2007) 중국의 공원녹지정책 사례연구. 경기개발연구원. 
  34. 이양주(2009) 지방정책 연구자가 본 공원녹지 정책의 패러다임. 환경논총 48: 135-155. 
  35. 인천광역시(2016) 2030년 광주광역시 공원녹지기본계획. 
  36. 장철호, 한상연(2004) 행정과 시민참여. 경희대학교 출판국. 
  37. 전경숙(2009) 지속가능한 도시 재생 관점에서 본 광주광역시 폐선부지 푸른길공원의 의의.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2(3): 1-13. 
  38. 정정화(2018) 공론화를 통한 사회적 합의형성의 성공조건.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2(1): 101-124. 
  39. 주성수(2004) 시민참여와 정부정책, 시민참여 시리즈 1. 한양대학교 출판부. 
  40. 채진해, 조경진, 김승주, 허윤경, 황주영(2014) 공원녹지기본계획의 운영체계 및 계획내용에 관한 연구 - 런던, 뉴욕, 베를린, 시드니, 서울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42(2): 91-102. 
  41. 하혜경(2005) 서울시 공원녹지행정에 있어서의 주민참여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2. 하혜경(2020) 공원녹지계획에 있어서 시민참여정책의 변화: 서울, 인천, 대구, 울산, 부산을 중심으로. GRI 연구논총 22(4): 1-24. 
  43. Creighton, J. L.(2005) The public participation handbook, John Wiley & Sons. 
  44. Cilliers, E. J. and W. Timmermans(2014) The importance of creative participatory planning in the public place-making process. Environmental and Planning B: Planning and Design 41(3):413-429. 
  45. 산림청 홈페이지 '국민의 숲 개요' https://www.forest.go.kr/kfsweb/kfi/kfs/cms/cmsView.do?cmsId=FC_001331&mn=AR02_03_03_01 
  46. 시민의소리(2014. 6. 4.) "폐선부지의 재탄생, 운영 실태와 대안을 찾다 [2]" https://www.siminsori.com/news/articleView.html?idxno=77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