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부산항 컨테이너터미널 인력변화요인에 대한 내부이해관계자 인식 연구

A Study on Internal Stakeholder's Perceptions of Human Resource Factors at Busan Container Terminal

  • 조재규 (부산신항국제터미널) ;
  • 김율성 (국립한국해양대학교 물류시스템공학과) ;
  • 심민섭 (국립한국해양대학교 해양콘텐츠융복합협동과정 물류시스템전공)
  • 투고 : 2024.09.07
  • 심사 : 2024.09.29
  • 발행 : 2024.09.30

초록

컨테이너 작업 효율성은 대규모 시설과 장비들을 어떤 인력 및 시스템으로 운영하는가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컨테이너터미널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인적자원 관리가 필수적이다. 그리고 컨테이너터미널을 둘러싼 다양한 환경변화는 인력운영 방식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기존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컨테이너터미널 종사자를 사무직과 현장직으로 구분하지 않아 컨테이너터미널 인력변화에 대한 내부이해관계자별 인식차이를 파악하지 못하였다는 한계점이 있다. 컨테이너터미널 내 사무직과 현장직은 주어진 업무 특성이 다르므로 컨테이너터미널 인력변화요인이 인력운영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산항 컨테이너터미널 내부이해관계자를 사무직과 현장직으로 구분한 뒤 T-test 분석을 진행하여 컨테이너터미널 인력변화에 대한 인식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하여 컨테이너터미널 인력운영과 관련된 다양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Human resource management is essential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container terminals because container work efficiency is determined by the manpower and system in which large-scale facilities and equipment are operated. In addition, various environmental changes surrounding container terminals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way manpower is operated. Looking at the previous studies,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grasp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among internal stakeholders about the change in manpower at the container terminal because container terminal workers are not divided into office workers and field workers. Since office workers and field workers in container terminals have different given work characteristic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impact of the factors of manpower change at container terminals on manpower management. Therefore, in this study, after dividing the internal stakeholders of the container terminal into office workers and field workers, a T-test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the change in manpower at the container terminal. In additio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derive various implications related to the manpower operation of container terminals.

키워드

과제정보

본 논문은 해양수산부 제4차 해운항만물류 전문인력양성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참고문헌

  1. 강원.정무권(2020), ESG 활동의 효과와 기업의 재무적 특성, 한국증권학회지, 제49권 제5호, 한국증권학회, 681-707.
  2. 강혜원.심민섭.김율성(2021), 컨테이너 터미널 인력운영 변화요인의 탐색적 연구-부산항과 광양항을 중심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7권 제1호, 121-142.
  3. 강휘진.한상준(2022), 컨테이너 터미널의 위험성평가 및 산업안전 AI 챗봇기술 적용방안 연구,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제15권 제4호, 57-69.
  4. 김규봉.김율성.심민섭(2023), 부산항 컨테이너터미널의 ESG 중요도 평가에 관한 연구, 해운물류연구, 제39권 제2호, 217-238.
  5. 김선구.최용석(2012), 컨테이너터미널 인력구성의 효율성 평가, 산업경제연구, 제25권 제6호, 3697-3711.
  6. 김승철.최용석(2021), 광양항의 스마트항만 도입방안 연구: 광양항의 스마트항만 테스트베드를 중심으로. 해운물류연구, 제112권, 461-474.
  7. 김승환.최형림(2013),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 현장인력의 고도화가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제25권 제1호, 211-232.
  8. 김종수(2015), 조직의 문화와 특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책연구, 제15권 제1호, 1-17.
  9. 김진용.전경주.신용존(2009),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의 교육훈련에 관한 연구: 부산항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를 중심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5권 제2호, 201-230.
  10. 남도기.김종태.신용존(2010), 부산항 컨테이너터미널 현장인력의 교대근무제 현황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6권 제1호, 144-171.
  11. 박여진.심민섭.김율성.남형식(2022), 광양항 컨테이너터미널 통합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해운물류연구, 제115권, 353-373.
  12. 박재광(2020), 컨테이너 터미널 자동화 전환에 따른 항만노무공급체계 변화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물류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박호철(2021), 부산항 인센티브제의 환적경쟁력 강화 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45권 제3호, 117-129.
  14. 백인흠.김명재(2018), 컨테이너 터미널의 조직분위기가 직무만족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수산해양교육연구, 제30권 제5호, 1782-1791.
  15. 송용석.남기찬.허윤수(2006), 선박규모별 컨테이너 하역비용가치 평가,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0권, 465-470.
  16. 신재영.이장군.박형준(2020),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부산항 컨테이너터미널 통합운영 효과 분석,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44권 제6호, 477-487.
  17. 심민섭.이정민.김도연.김율성(2023), 항만하역업 안전관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47권 제1호, 37-48.
  18. 안기명.김성용.추연길.김인수(2008), 부산항터미널의 운영문제점과 경쟁력간의 관련성분석,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2권 제8호, 663-670.
  19. 원승환.조성우.이주호(2015), 컨테이너선 대형화에 따른 부산항의 대응 방안, 해운물류연구, 제31권 제2호, 249-274.
  20. 이정주(2006), 지방공기업에서의 조직문화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지하철공사의 사례, 지방정부연구, 제9권 제4호, 71-93.
  21. 이태휘(2020), 스마트항만의 해외사례 분석과 정책 시사점: 유럽과 싱가포르를 중심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6권 제1호, 77-89.
  22. 장원호.이정윤(2018), 인접한 컨테이너터미널 간 Yard Co-petition Area 활용 방안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42권 제6호, 501-506.
  23. 조대형(2021), ESG 글로벌 추진 현황과 사례 분석, 인문사회 21, 제12권 제3호, 인문사회 21, 2651-2662.
  24. 최용석.김선구.이재은(2016), 컨테이너터미널의 통합생산성 벤치마킹 모형에 관한 연구, 무역통상학회지, 제16권 제3호, 119-136.
  25. 추연길.안기명(2009), 부산항 컨테이너터미널 통합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5권 제3호, 207-228.
  26. Baik, J. S.(2017), The study on impacts of mega container ships on ports. Pan-Pacific Journal of Supply Chain Management: Applications and Practices, 1(1), 22-40.
  27. Ekolu, S. O. and Quainoo, H.(2019), Reliability of assessments in engineering education using Cronbach's alpha, KR and split-half methods, Global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21(1), 24-29.
  28. Estache, A., de la Fe, B. T. and Trujillo, L. (2004), Sources of efficiency gains in port reform: a DEA decomposition of a Malmquist TFP index for Mexico, Utilities policy, 12(4), 221-230.
  29. Francesco, M. D., Manca, A., Zanda, S. and Zuddas, P.(2016), Planning and optimising manpower management in a transshipment container terminal, European Journal of Industrial Engineering, 10(6), 777-793.
  30. Legato, P. and Monaco, M. F.(2004). Human resources management at a marine container terminal.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156(3), 769-781.
  31. Lin, Y., Yan, L. and Wang, Y. M.(2019), Performance evaluation and investment analysis for container port sustainable development in china: An inverse DEA approach, Sustainability, 11(17).
  32. Serra, P., Fadda, P. and Fancello, G.(2016), Evaluation of alternative scenarios of labour flexibility for dockworkers in maritime container terminals, Maritime Policy & Management, 43(3), 371-385.
  33. Wilmsmeier, G., Tovar, B. and Sanchez, R. J. (2013). The evolution of container terminal productivity and efficiency under changing econom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