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racteristics of Pedagogical Design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Using Science Teacher's Guides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를 활용한 초등 예비교사의 교수 설계에서 나타나는 특징

  • Received : 2024.08.02
  • Accepted : 2024.09.06
  • Published : 2024.10.31

Abstract

In this study,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haracteristics of pedagogical design using science teacher's guides were analyzed. Eleven pre-service teachers at the University of Education in Ko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were provided with three types of teacher's guides and were asked to use them to design a science lesson.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obtain specific information on how the guides were implemented. The analysis of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y primarily used the guides to classify the learning content for each lesson and establish connections between the content of the particular lessons through the unit learning system. The teacher's guides mainly featured knowledge-based learning objectives, and most pre-service teachers accepted them without considering the attitudinal aspects. In the process of designing the assessments, the teaching goals written down by the pre-service teachers were used as the main sourc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were supplemented by evaluating the activities presented in the teacher's guides based on the students' cognitive level and misconceptions. In terms of teaching methods, the teacher's guides were evaluated and reorganized to develop teaching-learning models and to construct introductory activities that cater to students' interests and motivations.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the utilization of the guides to enhance their pedagogical design capacity and suggested directions to improve them.

이 연구에서는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를 활용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교수 설계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분석하였다. 충청도 소재 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11명의 예비교사가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예비교사들에게 교사용 지도서 3종을 제공하고 이를 활용하여 한 차시의 과학 수업을 설계하도록 하였으며, 예비교사의 교사용 지도서 활용 방식에 관한 정보를 반구조화된 면담으로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교사들은 주로 한 차시의 학습 내용을 선정하는 데 교사용 지도서를 활용했으며, 단원 학습 체계를 통해 내용의 유기적 연계를 파악하였다. 교사용 지도서에는 주로 지식 측면의 학습 목표가 제시되어 있었으며, 예비교사 중 과반수가 이를 따랐고 태도 측면을 고려한 경우는 없었다. 또한 자신이 적은 학습 목표를 중점적으로 활용하여 교수학습 평가를 구체화하였다. 학생의 인지적 수준, 오개념 등을 기준으로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활동을 평가하여 교수학습 활동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였다. 교수 방법 측면에서는 교수학습 모형을 선정하거나 학생들의 흥미 및 동기 유발에 적절한 도입 활동을 구성하기 위해 교사용 지도서의 내용을 평가한 후 재구성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용 지도서를 활용한 예비교사의 PDC 향상 방안과 교사용 지도서 개발 방향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훈식, 윤혜경, 임희준, 장명덕, 임채성, 신동훈, 권치순, 이대형, 김남일(2009). 초등학교 3~4학년 차세대 과학 교과용 도서의 실험본에 대한 교사와 학생 및 학부모들의 인식. 초등과학교육, 28(1), 79-92.
  2. 교육부(2018). 교과용도서 다양화 및 자유발행제 추진 계획(안). 세종: 교육부.
  3. 권종미, 정완호, 김영신(2001).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개선 방향. 초등과학교육, 20(1), 75-89.
  4. 김경순, 윤지현, 박지애, 노태희(2011).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의 수업시연 계획 및 실행에서 나타난 교과교육학지식의 요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1), 99-114.
  5. 김동석, 김지숙, 이규호, 오필석, 최선영(2022).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 변화' 지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분석. 초등과학교육, 41(4), 627-641.
  6. 박재근(2011). 좋은 수업의 관점에서 본 초등학교 과학수업의 사례 분석-생명 영역의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9(2), 277-287.
  7. 서경혜, 최유경, 김수진(2011). 초등 교사들의 온라인상에서의 수업자료 공유에 대한 사례연구. 초등교육연구, 24(2), 257-284.
  8. 성승민, 여상인(2021). 초등 예비교사의 응결 차시에 대한 과학 수업 설계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45(2), 172-186.
  9. 성을선, 남정희, 최병순(2000).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형성평가의 실제: 구성주의적 관점에서의 형성평가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3), 455-467.
  10. 송나윤, 조윤영, 노태희(2023).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과 검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교과교육학 지식(PCK) 요소 분석-3~4학년 물질 영역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42(1), 47-63.
  11. 양찬호, 배유진, 노태희(2013). 중등 예비과학교사의 교육과정 설계에서 교육과정 자료의 활용 방식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7), 1312-1318.
  12. 양찬호, 이지현, 노태희(2014). 중등 예비과학교사들의 수업 계획에서 나타나는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2), 187-195.
  13. 양찬호, 송나윤, 김민환, 노태희(2016). 중등 예비 화학교사의 수업 계획에서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 방식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4), 681-691.
  14. 오필석(2017). 예비 초등 교사들이 달 관측 활동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교수법적 제안. 초등과학교육, 36(4), 447-460.
  15. 이명제(2016). 초등 과학교과서 천문 내용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질문의 배경지식 유형과 출처 분석. 초등과학교육, 35(2), 194-204.
  16. 이신애, 임희준(2016). 수업 준비를 위한 초등 과학 교사용 지도서 활용 실태-2009 개정 과학과 3~4학년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35(2), 205-215.
  17. 이용섭, 김순식(2016). 초등 예비교사의 협력 과학수업이 과학교수효능감 및 과학지식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9(3), 341-351.
  18. 이은진, 김찬종, 이선경, 장신호, 권홍진, 유은정(2007). 교사-연구자간 협력적 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과학교사의 구성주의적 수업에 대한 내면화 과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9), 854-869.
  19. 장명덕(2006). 초등 예비 과학교사들의 과학 수업지도안 작성 전략 분석. 초등과학교육, 25(2), 191-205.
  20. 지승민, 박재근(2016). 과학 내용지식과 교수방법 측면에서 초등학교 초임교사가 과학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과학교육연구지, 40(2), 116-130.
  21. 한기애, 노석구(2003). 제7차 초등학교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 실태 분석. 초등과학교육, 22(1), 51-64.
  22. Appleton, K. (2007).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In S. K. Abell & N. Lederman (Eds.),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pp. 493-535).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3. Arias, A. M., Bismack, A. S., Davis, E. A., & Palincsar, A. S. (2016a). Interacting with a suite of educative features: Elementary science teachers' use of educative curriculum material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3(3), 422-449.
  24. Arias, A. M., Davis, E. A., Marino, J. C., Kademian, S. M., & Palincsar, A. S. (2016b). Teachers' use of educative curriculum materials to engage students in science practic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8(9), 1504-1526.
  25. Beyer, C. J., & Davis, E. A. (2012). Learning to critique and adapt science curriculum materials: Examining the development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cience Education, 96(1), 130-157.
  26. Beyer, C. J., Delgado, C., Davis, E. A., & Krajcik, J. (2009). Investigating teacher learning supports in high school biology curricular programs to inform the design of educative curriculum material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9), 977-998.
  27. Bismack, A. S., Arias, A. M., Davis, E. A., & Palincsar, A. S. (2014). Connecting curriculum materials and teachers: Elementary science teachers' enactment of a reform-based curricular unit.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5(4), 489-512.
  28. Bogdan, R. C., & Biklen, S. (2006).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methods. Needham Heights, MA: Allyn & Bacon.
  29. Brown, M. (2009). Toward a theory of curriculum design and use: Understanding the teacher-tool relationship. In J. Remillard, B. Herbel-Eisenman, & G. Lloyd (Eds.), Mathematics teachers at work: Connecting curriculum materials and classroom instruction (pp. 17-37). New York, NY: Routledge.
  30. Donna, J. D., & Hick, S. R. (2017). Developing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subject matter knowledge through the use of educative science curriculum materials.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8(1), 92-110.
  31. Drake, C., & Sherin, M. G. (2006). Practicing change: Curriculum adaptation and teacher narrative in the context of mathematics education reform. Curriculum Inquiry, 36(2), 153-187.
  32. Enyedy, N., & Goldberg, J. (2004). Inquiry in interaction: How local adaptations of curricula shape classroom communiti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9), 905-935.
  33. Forbes, C. T., & Davis, E. A. (2010). Curriculum design for inquir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mobilization and adaptation of science curriculum material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7(7), 820-839.
  34. Ladachart, L., & Ladachart, L. (2019). Thai science educators' perspectives on students' prior knowledge: a documentary research. Science Education International, 30(2), 116-127.
  35. Marco-Bujosa, L. M., McNeill, K. L., Gonzalez-Howard, M., & Loper, S. (2017). An exploration of teacher learning from an educative reform-oriented science curriculum: Case studies of teacher curriculum us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4(2), 141-168.
  36. Park, S., & Oliver, J. S. (2008). Revisiting the conceptualisa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PCK as a conceptual tool to understand teachers as professional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8(3), 261-284.
  37. Pinto, R. (2005). Introducing curriculum innovations in science: Identifying teachers' transformations and the design of related teacher education. Science Education, 89(1), 1-12.
  38. Sherin, M. G., & Drake, C. (2009). Curriculum strategy framework: Investigating patterns in teachers' use of a reform-based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41(4), 467-500.
  39. Smith, S. R., & Abell, S. K. (2008). Assessing and addressing student science ideas. Science and Children, 45(7), 72-73.
  40. Weurlander, M., Soderberg, M., Scheja, M., Hult, H., & Wernerson, A. (2012). Exploring formative assessment as a tool for learning: Students' experiences of different methods of formative assessment. Assessment &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37(6), 747-760.
  41. Yang, C., Noh, T., Scharmann, L. C., & Kang, S. (2014). A study o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wareness of students' alternative conceptions about change of states and dissolution. The Asia-Pacific Education Researcher, 23(3), 683-6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