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an Argument Generation Class on Elementary Science Students' Question-Generation Ability, Science Achievements, and Attitudes toward Science

초등과학 수업에서 논변 생성 수업이 학생의 의문생성력, 성취도 및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24.06.18
  • Accepted : 2024.08.30
  • Published : 2024.10.3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question-generation abilities, science achievements, and attitudes toward science after attending an argument generation clas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5th grade students of H Elementary School in G-si, Gyeonggi-do,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noted. First, after attending the argument generation class, the students' question-generation ability significantly improved.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However, according to the teacher's reflection journal, conceptual changes could be seen in the students' thinking as a result of participating in the argument-generation activities, which was confirmed by the students' reports. Thir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udents' attitudes toward science. However, there was a change in their attitude toward participating in the science classes, and there was a positive change in the number of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science classes as a result of the activities.

이 연구는 초등과학 수업에서 논변 생성 활동을 지도한 후 초등학생의 의문생성, 과학학업성취도 및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경기도 G시에 있는 H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논변 생성 활동을 지도한 후, 학생들의 의문생성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음을 알았다. 둘째, 학생들의 과학학업성취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교사 성찰일지에 의하면, 논변 활동과 모둠 친구들의 설명을 통해 학생들의 개념 변화를 볼 수 있었다. 셋째, 과학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과학 수업에 대한 참여태도의 변화가 있었는데, 과학에 대한 관심과 과학 공부를 더 열심히 해야 한다는 반응에서 과학수업 참여의 긍정적인 변화가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남화, 이은경(2013). 논변, 논의, 그리고 논증: 개념의 명료화를 위한 문헌조사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6), 1119-1138.
  2. 권용주, 이준기, 이일선, 김용진(2008). 중등예비교사들의 생명현상에 대한 과학적 의문 분석을 통한 의문생성력지수 산출식의 개발. 중등교육연구, 56(2), 553-576.
  3. 권지숙, 김희백(2016). 실험 설계에서 나타난 소집단 논변활동 탐색: 활동에 대한 인식적 목표와 인식적 이해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36(1), 45-61.
  4. 김봉준, 김희백(2019). 소집단 과학 논변 활동에서 초임교사의 반응적 교수 실행의 특징과 한계 탐색 -프레이밍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6), 739-753.
  5. 김성완, 박종화, 이명근(2010). 정교화 교수설계에 의한 과학적 논증 활동의 교수학습 효과. 교육공학연구, 26(2), 217-240.
  6. 김지숙, 최선영(2024). 초등학교에서 식물 기르기 활동을 통한 논변 생성 프로그램의 적용에 대한 효과. 생물교육, 52(2), 238-247.
  7. 박철진, 차희영(2017). 초등 과학 영재 학생들의 자연선택 개념 이해를 위한 논변 활동에서 나타난 인식적 이해와 논변활동 수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4), 565-575.
  8. 양일호, 이효정, 이효녕, 조현준(2009). 과학적 논증과정평가를 위한 루브릭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2), 203-220.
  9. 윤선미(2016). 생산적 과학 논변활동에서 나타난 소집단규범의 형성 과정 이해.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0. 이동복, 강현석(2003). 과학적 설명과 과학교육 적용방안의 예비적 탐색.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51(1), 259-293.
  11. 이선경, 신명경(2017). 학교과학교육담론 개정판. (주) 도서출판 북스힐.
  12. 이신영, 김희백(2017). 배설에 대한 협력적 모델링 과정에서 나타난 중학교 학생들의 대화적 논변활동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6), 1037-1049.
  13. 이은주(2014). 변칙사례가 나타난 탐구활동에서 과학영재 학생들의 소집단 논변활동 이해 - 리더의 인식론적 신념에 따른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이은주, 윤선미, 김희백(2015). 변칙 사례에 대한 과학 영재 학생들의 반응에서 드러난 인식론적 프레이밍과 소집단 논변활동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3), 419-429.
  15. 이혜정, 박국태, 권용주(2005). 초등예비교사들의 관찰활동에서 나타난 인과적 의문의 사고 유형과 생성 과정, 초등과학교육, 24(3), 249-258.
  16. 임은희(2013). 소집단 과학 탐구활동에서 나타나는 학생의 역할 구성과 논변의 공동 구성.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임청환, 채동현(2016). SSI(Socio-Scientific Issues)에 관한 토론 수업에서 나타난 초등학생들의 논변 활동 과정 및 수업 참여도 분석, 과학.수학 교육연구, 39: 141-162.
  18. 임현주, 신영준(2012). 초등 단위 학교 영재 수업에서 나타나는 과학적 논증 과정에 대한 탐색. 초등과학교육, 31(4), 513-531.
  19. 임희준(2015). 초등학생의 증거에 기반한 과학적 설명의 수정 과정 고찰. 초등과학교육학회, 34(3), 346-356.
  20. 조한빛, 하희수, 김희백(2019). 소집단 논변 활동에서 협력적 성찰의 역할 탐색 -학생들의 인식적 고려와 실행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1), 1-12.
  21. 채동현, 한제준(2013). 과학적 논증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분석. 초등교육연구, 24(2), 223-235.
  22. 하희수(2020). Exploring student agency during the shift to collaborative contributors in small-group argumentation activity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rooms. 국내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서울
  23. 하희수, 김희백(2017). 소집단 논변 활동에서 반응적 교수법이 학생들의 인식론적 프레이밍에 미치는 영향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1), 63-75.
  24. 한문현(2020). 불확실함에서 벗어나기까지: "왜 강낭콩이 싹트지 않았을까?" 논변 활동에서 초등학생들의 정서-인지적 반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0(1), 1-12.
  25. 허 명(1993). 초.중.고 학생의 과학 및 과학교과에 대한 태도 조사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3), 334-340.
  26. 홍준희(2018). 인지적 자원 기반 반응적 교수법이 고등학생의 인식론적 프레이밍과 논변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충청북도.
  27. 황신영(2011). 과학글쓰기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과학창의성과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몬.
  28. Berland, L. K., & Reiser, B. J. (2009). Making sense of argumentation and explanation. Science Education, 93(1), 26-55.
  29. Chin, C., & Osborne, J. (2010). Students' questions and discursive interaction: Their impact on argumentation during collaborative group discussions in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7(7), 883-908.
  30. Collins, A. (1997).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Looking forward and backward.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97(4), 299-313.
  31. Copi, I. M., Cohen, C., McMahon, K. (2011). INTRODUCTION TO LOGIC. Person Education, Inc.
  32. Driver, R., Asoko, H., Leach, J., Mortimer, E., & Scott, P. (1994). Constructing scientific knowledge in the classroom. Educational researcher, 23(7), 5-12.
  33. Fraser, B. J. (1981). 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 Handbook. Hawthorn, The Australian Council for Education Research.
  34. Kim, J., & Choi, S. (2023). Effects of a Teaching Strategies to Strengthen Scientific Explanations on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Interest in Science, and Question Generation in Science Class. East-Asi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EASE). 2(3), 35-49.
  35. Lemke, J. L. (1990). Talking Science: Language, Learning, and Values.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Part of the Language and Educational Processes Series.
  36. McLure, F. (2023). The thinking frames approach: improving high school students' written explanations of phenomena in science.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53:173-191.
  37. Monk, M., & Osborne, J. (2000). Good practice in science teaching: What research has to say. In Monk, M. and Dillon, J.(eds) McGraw Hill Open University Press.
  38. Osborne, J., Erduran, S., & Simon, S. (2004). Enhancing the quality of argumentation in school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10), 994-1020.
  39. Sampson, V., & Clark, D. B. (2009). The impact of collaboration on the outcomes of scientific argumentation. Science Education, 93(3), 448-484.
  40. Sampson, V., & Grooms, J. (2010). Generate an argument: an instructional Model. The Science Teacher, 77(5), 32-37.
  41. Sandoval, W. A. (2003). Conceptual and epistemic aspects of students' scientific explanations.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12(1), 5-51.
  42. Sandoval. W. A., & Reiser, B. J. (2004). Explanation-driven inquiry: Integrating conceptual and epistemic scaffolds for scientific inquiry. Science Education, 88(3), 345-372.
  43. Zohar, A., & Nemet, F. (2002). Fostering students' knowledge and argumentation skills through dilemmas in human genetic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1), 35-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