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병노 (2010). 갈등이론에서 갈등에 관한 이론적 비교. 분쟁해결연구, 18, 5-34.
- 강성현 (2016). 피해자와 사회 중심의 진상 규명과 정의 수립은 가능한가: 과거사와 세월호 참사 진상 규명을 둘러싼 쟁점과 평가 김종엽 편, 세월호 이후의 사회과학. 서울: 그린비, 225-260.
- 경기지방경찰청 (2009). 쌍용자동차 사태 백서.
- 경찰청 과거사진상규명 위원회 (2019). 경찰청 과거사 진상규명 위원회 심사결과, https://www.police.go.kr/user/bbs/BD_selectBbs.do?q_bbsCode=1002&q_bbscttSn=1B000001120545000
- 곽건홍 (2020). 비정규노동 수기와 노동의 기록화. 기록학연구, 64, 5-25.
- 곽상신, 박명준 (2013). 쌍용자동차 사태: 원인 진단과 대안 모색. 월간 노동리뷰, 4, 20-33.
- 곽은희 (2016). 슬픔의 공동체와 재난의 글쓰기. 인문연구, 77, 91-116.
- 곽은희 (2020). 재난의 기록, 기억을 통한 연대. 인문연구, 92, 59-94.
- 금속노조 쌍용차지부, 한내 (2010). 금속노조 쌍용자동차지부 77일 옥쇄파업 투쟁 백서 자료집.
- 금속노조 쌍용차지부, 노동자역사 한내 (2010). 해고는 살인이다. 서울: 한내.
- 김기곤 (2005). 국가폭력, 하나의 사건과 두 가지 재현. 민주주의와 인권. 9(1), 29, 27-63.
- 김남근 (2012). 쌍용자동차 정리해고 사건을 계기로 본 정리해고 제도의 개선방향. 노동법연구, 33, 247-291.
- 김민수, 오경환 (2019). 감정과 정동 사이: 감정의 역사화를 위한 방법론적 시론. 역사와 경계, 111, 1-28.
- 김민환, 정호기, 정근식 (2003). 누가, 무엇을 어떻게 기억할 것인가? 김진균 편, 저항, 연대, 기억의 정치 제2권. 서울: 문화과학사, 339-417.
- 김석웅 (2003). 마르크스주의의 방법론이 회계학연구에 미친 영향. 회계정보연구, 20, 23-48.
- 김수미 (2018). 고통의 재현, 그 정치성에 대한 단상. 문화와사회, 26, 67-119.
- 김어진 (2009). 쌍용자동차 투쟁, 평가와 교훈. 마르크스주의연구, 16, 290-321.
- 김영, 설문원 (2015). 구술생애사 기록을 통해 본 사회운동참여의 맥락. 기록학연구, 44, 101-151.
- 노명환 (2012). 구성주의 이론 시각에서 본 기록학/기록관리의 패러다임 변화와 기록화 전략의 의미와 의의. 역사문화연구, 45, 313-358.
- 노명환 (2016). 기호학 및 '성리학적 구성주의' 이론을 적용한 기록과 기록관리 행위의 본질과 사회적 역할의 이해: 레코드 컨티뉴엄의 보완에 초점을 맞추어. 역사문화연구, 57, 149-220.
- 문강형준 (20112). 왜 '재난'인가: 재난에 대한 이론적 검토. 문화과학, 72, 19-41.
- 박근혜정권퇴진비상국민행동 기록기념위원회 백서팀 (2018). 촛불의 기록2, 서울: 박근혜정권퇴진비상국민행동기록기념위원회, 480.
- 박은정 (20115). 경영상 해고에 관한 대법원 판례 분석과 평가. 노동법학, 53, 111-151.
- 박재상 (2020). 쌍용자동차 사태 언론보도의 이념적 편향성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 박주영, 윤재홍, 김승섭 (2016). 해고자와 복직자의 건강 비교: 쌍용자동차 정리해고 사례를 중심으로. 보건과사회과학, 41, 61-97.
- 박주희 (2014). 아키비스트의 시대적 요청: 실천적 아키비스트.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서울지방변호사회 쌍용자동차 사태 해결을 위한 특별조사단 (2012). 쌍용자동차 사태 특별조사단보고서: 인간의 존엄성 회복을 위한 특별보고서.
- 설문원 (2014). 환경갈등의 기록화를 위한 내러티브 설계. 기록학연구, 42, 287-326.
- 설문원 (2019). 기록이란 무엇인가: 활동의 고정적 재현물로서의 개념 탐구. 기록학연구, 59, 5-46.
- 설문원 (2021). 기록학의 지평. 서울: 조은글터, 430, 221.
- 설문원, 김영 (2016). 공동체 아카이브를 위한 기록평가론의 재조명, 기록학연구. 48, 209-251.
- 신진숙 (2018). 환경 저항 서사와 정동적 생태학, 문화와사회. 26, 139-174.
- 안또니오 네그리, 정남영, 질 들뢰즈 외 (2005). 비물질노동과 다중. 서창현 외 옮김(2005). 서울: 갈무리, 14-15.
- 역사학연구소 (2005). 노동자, 자기 역사를 말하다. 서울: 서해문집.
- 오명진 (2012). 동시대 역사적 사건의 기록화 전략. 박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 유경순 (2008). 구로동맹파업과 노동자 자기역사쓰기. 역사연구, 18, 191-261.
- 유정순 편 (2011). 나, 여성 노동자. 서울: 그린비.
- 윤은하 (2012). 공동체와 공동체아카이브에 대한 고찰, 기록학연구. 33, 3-37.
- 이경래 (2013). 영국 공동체 아카이브 운동의 전개와 실천적 함의, 기록학연구. 37, 3-39.
- 이경래 (2022). 정동의 기록화: '4.16 기억저장소'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74, 5-43.
- 이경래, 이광석 (2017). 동시대 '대항기억'의 기록화: 용산참사 사례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53, 45-77.
- 이승윤, 김승섭 (2015). 쌍용자동차 정리해고와 미끄럼틀 한국사회, 한국사회정책학회. 22, 73-96.
- 이영남 (2012). 공동체 아카이브, 몇 가지 단상, 기록학연구. 31, 3-42.
- 이종탁 (2009). 쌍용자동차 투쟁평가 I: 쌍용차 투쟁의 전개과정과 의의, 진보평론. 41, 157-175.
- 이현대 (2009). 쌍용자동차 투쟁평가 II: 쌍용자동차 투쟁과 향후 민중운동의 과제, 진보평론. 41, 176-193.
- 이현정 (2014). 기록학 실천주의(Archival Activism)의 과제와 전망, 기록학연구. 42, 213-243.
- 인권단체연석회의,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2009). 쌍용자동차 인권침해 백서.
- 임지훈, 오효정, 김수정 (2017). 사건 아카이브의 시론적 연구, 기록학연구. 51, 275-208.
- 전진성 (2004). 과거는 역사가의 전유물이 아니다, 역사와경계. 53, 267-279.
- 전진성 (2009). 역사가 기억을 말하다. 서울: 휴머니스트, 192.
- 정재은 (2009). 쌍용자동차 77일: 끝날 수 없는 투쟁, 시민과세계, 16, 132-148.
- 정종민, 명동호 (2022). 코로나19 지역사회 감염과 정동정치-전라남도 H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로컬리티인문학. 27, 191-222.
- 정진주 (2014). 우리는 소모품이 아니다: 쌍용차 사례를 통해 본 정리해고와 사회적 배제. 트라우마로 읽는 대한민국. 김동춘, 김명희 편, 서울: 역사비평사, 192-244.
- 조현수 (2008). 맑스에 있어서의 언어와 정치: 언어의 이데올로기성, 계급성 및 정치담론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연구. 17, 289-318.
- 조현오 (2012). 조현오: 도전과 혁신. 서울: 한국경제신문.
- 최광호 (2002). 기록의 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15.
- 크리스 하먼 (1999). 민중의 세계사. 천경록 옮김(2004). 서울: 책갈피.
- 하워드 진 (1980). 미국 민중사. 전2권. 유강은 옮김(2006). 서울: 이후.
- 하워드 진 (2003). 하워드 진, 역사의 힘. 이재원 옮김(2009). 경기: 위즈덤하우스.
- 한국산업사회학회 편 (1998). 사회학. 서울: 도서출판 한울, 209.
- 한형성 (2012). 비판회계학의 마르크스주의 시각에서 본 쌍용자동차(주) 사례연구, 마르크스주의연구. 26, 82-105.
- Burton, Antoinette (2005). Archive Stories: Facts, Fictions, and the Writing of History, Duke University Press.
- Cifor, Marika (2016). Affecting relations: introducing affect theory to archival discourse, Archive Science 16, 7-31.
- Gilliland, Anne J..Michelle Caswell. (2016). Records and their imaginaries: imagining the impossible, making possible the imagined. Archival Science 16, 53-75.
- Ketelaar Eric. (2005). "Recordkeeping and Societal Power", Archives: Recordkeeping in Society. Australasian Library and Information Studies, 24. Sue McKemmish, Michael Piggott, Barbara Reed, Frank Upward eds., Wagga Wagga: Centre for Information Studies Charles Sturt Univ., 277-298.
- Lemieux V. (2001). Let the ghosts speak: an empirical exploration of the "nature" of the record. Archivaria 51, 81-110.
- Shepherd, Elizabeth & Geoffrey Yeo. (2003). Managing Record: A Handbook of principles and Practice. London: Facet Publishing.
- Yeo, Geoffrey. (2007). Concepts of record (1): Evidence, information, and persistent representations. The American Archivist 70, 315-343.
- Yeo, Geoffrey. (2010). Representing the act: Records and speech act theory. Journal of the Society of Archivist 31(2), 95-117.
- 강윤혁 (2022.11.30.). "과잉진압에 정당방위, 손배책임 없다"... 쌍용차 노조 손 들어준 대법. 서울신문, https://www.seoul.co.kr/news/society/law/2022/12/01/20221201001004
- 경찰청 (2017.8.25.). 인권침해 사건 진상조사위원회 공식 출범. https://www.police.go.kr/user/bbs/BD_selectBbs.do?q_bbsCode=1002&q_bbscttSn=1B000001119612000
- 경찰청 (2017.6.16) '강도 높은 경찰개혁 착수', 경찰개혁위원회 공식 출범. https://www.police.go.kr/user/bbs/BD_selectBbs.do?q_bbsCode=1002&q_bbscttSn=1B000001119436000&q_tab=&q_searchKeyTy=sj___1002&q_searchVal=%EA%B2%BD%EC%B0%B0%EA%B0%9C%ED%98%81%EC%9C%84%EC%9B%90%ED%9A%8C&q_rowPerPage=10&q_currPage=1&q_sortName=&q_sortOrder=&
- 이문영 (2018.8.4.). 9년만에 드러난 쌍용차의 '노조 와해' 비밀문서 100여 건. 한겨레, https://www.hani.co.kr/arti/society/labor/856203.html
- 장일호 (2018.9.18.). 우리집 금기어는 여전히 '쌍용차'다. 시사인,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747
- [전문] 쌍용차 항소심 판결관련 안진회계법인 입장. (2014.2.10.). 뉴스1, https://www.news1.kr/economy/trend/1533285
- 허진무 (2019.7.26.). 경찰, 인권침해 피해자에게 뒤늦은 사과...손배소송 취하는 "여전히 검토 중". 경향신문, https://www.khan.co.kr/national/national-general/article/20190726 1600011#csidx59522dd43b0ac5c99fb89a571060fe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