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ontext Analysis of Letters from Moon Ik-hwan and Park Yong-gil

문익환·박용길 개인 편지의 컨텍스트 분석

  • Oh, Myung Jin
  • 오명진 (한국외국어대학교 정보.기록학과, 사단법인 늦봄문익환기념사업회)
  • Received : 2024.09.10
  • Accepted : 2024.10.07
  • Published : 2024.10.31

Abstract

The role of the archive providing the service is crucial for making records more widely known and utilized. The personal letters exchanged between Moon Ik-hwan and Park Yong-gil are unique personal records that fill the gaps left by public records during the politically tumultuous period of the early 1980s in Korea. This paper aims to shed light on the context of record management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se letters in terms of their interrelationships. To achieve this, the study analyzes the context of 694 letters exchanged between the two during Moon Ik-hwan's imprisonment in the third prison following the Kim Dae-jung Conspiracy Case. The research methodology involved reviewing literature and records to summarize the historical context and personal backgrounds, and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reveal the interrelationships and meanings within the texts of the lett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key points. First, the paper outlines the shared context of the letters by summarizing the political and social circumstances of the time,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Kim Dae-jung Conspiracy Case,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relationships. Second, it distinguishes the direct methods of letter exchange, categorizing them into routine and atypical methods, and identifie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letters, the flow of dialogue within them, and their distinctive features. Third, it explores the interrelations and meanings between the contents of the letters. Through this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two sets of letters, as a unified and expansive text, display characteristics of integration, competition, and expansion in their content. This analysis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context of letters in record management and demonstrates the need for archives to provide rich contextual information when offering access to letters.

기록이 더 많이 알려지고 이용되려면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카이브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문익환과 박용길이 주고받은 개인 편지는 1980년대 초 한국의 정치적 격변기 속에서 공공기록이 채우지 못한 공백을 보완해 주는 독특한 개인기록이다. 이 글은 편지들을 상호관련성 측면에서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기록관리의 맥락을 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김대중 내란음모 사건으로 투옥된 세 번째 감옥 시절 주고받은 두 사람의 편지 694통을 대상으로 편지의 컨텍스트를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문헌자료와 기록을 활용하여 역사적 맥락과 개인적 배경을 정리하고, 편지 텍스트 간의 상호관계와 의미를 밝히기 위해 상호 비교 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김대중 내란음모사건을 중심으로 당시의 정치, 사회적인 상황, 개인과 인간관계의 특징을 정리해 두 편지가 공유하는 공통맥락을 개괄적으로 설명하였다. 둘째, 직접적인 편지 교환 방식을 일상적 방식과 이형으로 구분해 식별하고 편지 간의 관계, 편지 속 대화의 흐름 등 특징을 파악하였다. 셋째, 편지 내용 간의 상호관계와 의미를 탐구하였다. 이를 통해 두 개의 편지가 하나의 거대한 텍스트로서 내용적으로 통합, 경쟁. 확장하는 특징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은 기록관리에서 편지의 맥락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아카이브가 편지를 서비스할 때 풍부한 맥락정보를 제공할 필요성을 보여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3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3S1A5B5A17086149).

References

  1. Duranti, L., & Franks, P. C. (Eds.). (2015). Encyclopedia of archival scienc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orporated.
  2. 김형수 (2018). 문익환 평전. 파주: 다산책방.
  3. Michael Bird, Orlando Bird. (2021). Writers' letters: Jane Austen to Chinua Achebe. 황종민 옮김(2021). 작가의 편지: 제인 오스틴부터 수전 손택까지. 고양: 미술문화.
  4.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편 (2006). 한국민주화운동사 연표. 서울: 선인.
  5. 안대회 (2010). 정조의 비밀편지: 국왕의 고뇌와 통치의 기술. 파주: 문학동네.
  6. 전경목 (2021). 옛 편지로 읽는 조선 사람의 감정, 성남: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7. 정용욱 (2021). 편지로 읽는 해방과 점령. 서울: 민음사.
  8. 에릭 케틀라르 (2021). 디지털 큐레이션과 공동체: 인간과 아카이브의 상호구성. 기록과 정보.문화 연구, 13, 175-203.
  9. 오남경 (2023. 6.). 이해동 목사 부인이자 동지, 이종옥 여사. 「월간문익환」, 14, 2-3.
  10. 오남경 (2023. 9.). 그때 그곳. 한빛교회. 「월간문익환」, 17, 6.
  11. 오명진 (2020). 문익환 옥중서신의 특성과 활용. 기록학연구, 66, 317-355.
  12. 오명진 (2022). 박용길의 편지 '당신께' 컬렉션의 특성과 과제. 기록학연구, 72, 205-239.
  13. 이만열 (2000). '5.17 김대중 내란음모사건'의 진실과 그 역사적 의의. 한국근현대사연구, 14집(2000년 가을호), 131-153.
  14. 장유승 (2009). '정조어찰첩(正祖御札帖)'의 사료적 성격: 승정원일기와의 대조를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 66, 117-141.
  15. 최정기 (2020). '5.18'왜곡과 '김대중 내란음모' 조작사건. 민주주의와 인권, 20(1), 53-85.
  16. 장신기 (2020). 김대중 내란음모 조작사건, 조작의 내용과 성격. 김대중 내란음모조작사건 40주년 학술회의 [자료집], 65-79.
  17. 전재호 (2020). 서울의 봄이 좌절된 이유. 김대중 내란음모조작사건 40주년 학술회의 [자료집], 3-20.
  18. 국가기록원 (2023. 1. 6.). 국가지정기록물 지정고시(2023-20호).
  19. 문익환 (1980. 10. 16.). 항소이유서. 문익환 전집 출간위원회 편. 1999. 문익환 전집: 5권, 39-79. 파주: 사계절.
  20. 문익환 가족 (1980. 8. 18.). 김대중 내란음모사건 2차 공판기록. 늦봄문익환아카이브.
  21. 법제처 (1980. 5. 17.). 비상계엄선포(대통령공고제68호). 대통령기록관.
  22. 법제처 (1980. 5. 31.).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설치령 공포. 대통령기록관.
  23. 법제처 (1980. 10. 29.). 1980년 헌법개정공포. 대통령기록관.
  24. 전두환 (1980. 9. 1.). 제 11대 대통령 취임사. 「전두환대통령연설문집 제오공화국출범전」. 대통령비서실. 대통령기록관.
  25. 전두환 (1981. 1. 17.). 재미동포에 대한 메시지. 「전두환대통령연설문집 제오공화국출범전」. 대통령기록관.
  26. 최규하 (1979. 12. 7.). 대통령긴급조치 제9호 해제에 즈음한 담화, 「최규하대통령연설문집」. 대통령기록관.
  27. 최규하 (1980. 4. 14.). 최근의 내외정세에 관한 담화. 「최규하대통령연설문집」. 대통령기록관.
  28. 최규하 (1980. 5. 18.). 대통령 특별성명, 경향신문 호외, 1.
  29. 최규하 (1980. 8. 16.). 성명, 「최규하대통령연설문집」. 대통령기록관.
  30. 늦봄문익환아카이브 https://archivecenter.net/tongilhouse
  31. 대통령기록관 http://pa.go.kr
  32.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오픈 아카이브 https://archives.kdemo.or.kr/
  33. 행형법. 법률 제3289호.
  34. 행형법 시행령. 대통령령 제9577호.
  35. 행형법 시행령. 대통령령 제10313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