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a Career Education Program Using Portfolio on Career Maturity and Self-Efficacy of Female College Students

  • Jung-chul Heo (Dept. of Social Welfare, Kwangju Women's University)
  • Received : 2024.09.02
  • Accepted : 2024.10.02
  • Published : 2024.10.31

Abstract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propose how career education programs using portfolios affect female college students' career maturity and self-efficac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pre- and post-examination of 76 students from K Women's University. As a result of the study, career education programs using portfolio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lanning, self-understanding, rational decision-making, knowledge of the desired job,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preparation among the sub-factors of self-efficacy, a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fidence, self-regulation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These results show that career education programs using portfolio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female college students' career maturity and self-efficacy. To improve the career maturity and self-efficacy of female college students, they should visit various institutions in the community through career education programs using portfolios, collect practical information necessary for careers through interviews, know certificates and activities that help them get a job, and specifically prepare for career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mselves and gain confidence in their careers through job search activities, personality type tests, and occupational aptitude tests for students in the university.

이 논문에서 우리는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성숙도와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K 여자대학교 76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여대생의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 가운데 계획성, 자기 이해, 합리적 의사결정, 희망 직업에 대한 지식, 진로탐색 및 진로준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가운데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성숙도와 자기효능감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대생들의 진로성숙도와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으로 지역사회에 다양한 기관을 방문하여 인터뷰를 통해서 진로에 필요한 실제적인 정보를 수집하고 취업에 도움이 되는 자격증 및 활동들을 알고 구체적으로 진로 준비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그리고 대학 내에서 학생들을 위해 직업탐색 활동, 성격유형검사, 직업적성검사 등을 통해서 자신을 이해하고 진로에 대한 자신감을 갖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Keywords

I. Introduction

청년기는 발달 단계상 성인기에 진입하여 의존적인 미성년의 시기를 벗어나 독립적인 성인으로 이행하는 중요한 발달과업이 일어나는 시기이다[1]. 그런데 우리나라 교육 현실에서 대학 입시에 매몰되어 대학 진학만을 목표로 달려가면서, 자신의 진로를 위해 다양한 활동을 하며 자신의 정체성을 찾는 것을 대학 입학 이후로 미루는 경향이 많다[2]. 이러한 상황에서 대학은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고 현장을 경험할 기회를 제공할 책임이 있다. 즉, 대학은 학생이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고 관련 경험을 축적해 나갈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지원과 관리가 필요하다. 이런 상황 속에서 대학생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진로 문제에 대처해 나갈 수 있게 하려면 진로성숙도가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되었다[3]. 이처럼 진로성숙도는 한 개인의 성장과 발달을 위해 대학생 시기의 중요한 발달과업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대학생들은 만족스럽고 생산적인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진로에 대한 방향을 세우고 그에 대해 준비할 수 있는 올바르고 성숙한 진로 태도를 갖고 있어야 한다[4].

또한 대학생 시기에 자기 적성에 맞는 진로를 탐색하고, 진로 발달을 이루면서 자신에 대한 확신을 갖게 되는데[5], 이는 자신의 진로를 스스로 선택하고 준비할 수 있다는 확신감을 갖게 하는 자기효능감과도 관련이 있다. [6-7]. 자기효능감이란 어떠한 상황에서도 적절하게 행동을 해낼 수 있다는 자신에 대한 믿음과 기대를 말하는데[6][8], Betz와 Hackett는 자기효능감은 자기 진로의 성공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하였다[9][7]. 요즘 대학생들은 자신의 전공과 학과에 대한 정보나 지식이 부족하여 학과 생활에 적응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경우가 많아 자기효능감이 갈수록 낮아지고 있다[10]. 이러한 대학생들의 낮은 자기효능감은 전공에 대한 무관심으로 나타나 취업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처럼 자기효능감은 대학생들의 학업 수행, 자신의 진로, 자기 삶의 모든 영역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11]. 따라서 대학 입학부터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포트폴리오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대학생들이 자신의 진로를 주체적으로 선택하고 경험을 축적, 관리, 성찰해 나갈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 할 것이다[12].

그동안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 교육의 효과성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진로 의식 성숙에 미치는 효과[13], 여중생의 자아정체감 발달에 영향[14], 여중생을 대상으로 한 진로성숙도와 진로 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15], 영재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진로결정효능감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16], 인문계 여자 고등학생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17][18], 전문계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19],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진로 태도에 미치는 영향[20], 여자상업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연구[21], 일반고 학생들을 위한 진로 포트폴리오 활용 진로설계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되었다[22]. 그동안의 연구를 살펴보면 초·중·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정체감,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아쉽게도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대학생들에게 있어 진로는 생존과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에 진로성숙도를 이 시기에 발달시켜 주는 것은 중요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23]. 그리고 최근 진로, 취업 관련 문헌을 살펴보면 진로 선택과 관련된 자기 주도성과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는 자기효능감이 매우 중요하다고 하였다[24]. 따라서 일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얻고 자신에 대한 믿음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는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을 통해 대학생들의 진로성숙도와 자기효능감이 향상될 수 있도록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이다. 그래서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통해서 대학생들이 입학할 때부터 진로탐색, 현장 체험 등의 다양한 경력개발을 위한 활동을 하고, 이를 자신의 포트폴리오에 쌓아감으로써 자기 주도적으로 취업 목표를 세우고 구체적으로 취업과 관련된 활동들을 도우면서 진로성숙도와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 1학년부터 포트폴리오를 활용해 자신의 진로를 체계적이면서 구체적으로 관리해 나갈 수 있도록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여대생은 참여하지 않은 여대생보다 진로성숙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는가?

둘째,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여대생은 참여하지 않은 여대생보다 자기효능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는가?

II. Related works

1. Career Education Using Portfolio

포트폴리오는 진로와 관련된 다양한 자료를 개인이 주도적으로 수집하고 축적해 나가는 과정 및 결과물로써 취업을 준비하는 대학생에게는 급변하는 직업 세계에서 자신의 진로 목적을 정확히 파악하고 취업을 준비하는 자료가 될 수 있다[20]. 또한 개인이 자기 능력을 증명하고 자신의 진로개발 역량을 높이며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수단으로써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포트폴리오 제작은 지금까지 성취해 온 것을 돌아보면서 자신의 미래 이력서에 추가로 들어갈 내용이 무엇인지 진로 계획을 세우는 데도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25].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의 장점은 학생이 자기 주도적으로 진로와 관련된 자료들을 파일로 정리함으로써 진로와 관련된 자기 이해 과정을 통해서 진로계획 수립을 구체적으로 할 수 있다[15]. 뿐만 아니라 포트폴리오는 다양한 진로활동 경험을 시간 순서에 따라 축적하게 함으로써 자신의 진로에 대한 방향성을 잡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26].

2. Career Maturity

진로성숙을 최초로 개념화한 Super[27]는 탐색기부터 쇠퇴기까지 직업발달의 연속선상에서 그 개인이 도달한 위치이며, 진로성숙이 일어나는 진로계획, 직업탐색, 의사 결정, 직업 세계에 대한 지식, 선호하는 직업군에 대한 지식 등 5가지 차원에서의 상대적인 위치가 진로성숙 정도를 의미한다고 하였다.

Hoyt[28]는 개인이 자신과 직업 세계를 잘 이해하고 현명하게 통합할 수 있는 진로에 대한 준비 정도를 진로성숙도라고 하였다. 진로성숙도란 동일 연령층에서 진로선택과정에서 나타나는 인지적·정의적 특성의 상대적 위치로서 보다 일관되면서 확실하게 현실적으로 진로선택을 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29]. 정희영[30]은 진로성숙도는 개인의 발달 과정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능력보다는 태도에 중점을 두었는데, 진로성숙도 구성 요인에는 결정성, 목적성, 준비성, 확신성, 독립성이 있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여 진로성숙도란 자신과 직업 세계를 이해하고 자신의 진로에 대한 계획 및 선택을 통합, 조정해 나가는 발달단계의 연속이며 발달단계마다 자신의 진로와 관련하여 직면하는 문제들을 어떻게 인지하고 수행하는지에 대한 상대적 정도라고 정의하고자 한다.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으로는 계획성, 자기이해, 합리적 의사결정, 희망 직업에 대한 지식, 진로탐색 및 진로준비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3. Self-Efficacy

Bandura[31]는 자기효능감이란 계획된 수준에서 특정한 과제를 수행하는 데 있어, 일정 수준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활동을 조직하고 실천하는 능력에 대한 개인의 신념이라고 했다. 자기효능감은 긍정적인 행동 변화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내적 요인으로서, 인간의 행복과 성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개념이기도 하다[32]. 자기효능감이 높은 사람일수록 실패하더라도 포기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노력하며, 어려운 상황에서도 회피하지 않고 도전하며 자신을 통제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33]. 그러므로 자기효능감이 높은 사람들은 상대적으로 삶의 과정에서 직면하는 어려운 도전 상황에서 자신을 적절하게 관리하면서 역경을 극복할 가능성이 더 크며 자기 삶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34].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여 자기효능감이란 어떠한 환경 속에서도 적절한 행동을 취할 수 있다는 신념과 기대를 의미하며, 어떤 특정 문제를 자기 능력으로 성공적으로 해낼 수 있다는 자신에 대한 확신감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자기효능감의 하위 요인으로는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로 구성하였다.

4. Career Education Using Portfolio and Career Maturity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는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진로성숙도 하위요인 중에서 ‘직업인 초청 특강’을 통해서 직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습득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또한 ‘전문 직업인과의 인터뷰’를 통해서 현장에서 경험하는 일에 대한 보람과 어려움 등을 직접 들으면서 그 직업에 대한 인식이 더욱 구체화할 수 있었다[15]. 또한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이 인문계 여자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는데, 특히 본 프로그램을 통해서 진로와 관련한 자기이해 및 자기탐색의 정도가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17]. 박상순[18]도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는데 큰 도움을 주었는데, 진로성숙도 하위영역 중에서 ‘일에 대한 태도’, ‘독립성’, ‘하는 일’ 분야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고 하였다. 이상과 같이 선행연구들을 살펴본 결과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진로와 관련한 자기이해, 자기탐색, 독립성, 일에 대한 태도 등에서 진로성숙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5. Career Education Using Portfolio and Self-Efficacy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전문계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프로그램에 참석한 학생들의 숨겨진 능력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통해 자신감을 회복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고 하였다[19].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탐색 교육은 영재 중학생의 자기효능감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하위요인 가운데 자신감 영역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16]. 이는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탐색 교육이 자신의 가치와 능력에 대한 확신을 갖게 함으로 자기효능감 향상에도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예비 유아 교사 전문성 강화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에서도 자신이 가지고 있는 교육 신념, 가치관, 능력, 자질 등에 대해서 올바른 이해를 돕게 함으로써 자기효능감 향상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하였다[35]. 이상의 선행연구 결과를 보면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자신의 가치와 능력에 대한 확신, 자신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자신감을 얻게 하는 자기효능감 향상에 긍정적으로 도움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III. The Proposed Scheme

1. Research Hypothesis

위와 같은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여대생들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여대생들 간에는 진로성숙도와 자기효능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낼 것으로 가설을 설정하고자 한다.

가설 1.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여대생들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여대생들보다 진로성숙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될 것이다.

가설 2.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여대생들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여대생들보다 자기효능감이 유의미하게 향상될 것이다.

2. Program Configuration

본 연구의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정철영 외[36]의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지도 프로그램 개발을 근간으로 이종호, 김종운[19]이가 활용한 것을 대학생에게 맞추어,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재구성하였으며 프로그램은 [표 1]과 같다.

Table 1. Career Education Program Using Portfolio

CPTSCQ_2024_v29n10_255_4_t0001.png 이미지

3. Experimental Design

본 연구의 실험설계는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Pre test-Post test Group Design)로써 독립변인 실험집단의 여대생들에게는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적용시켰고, 그에 따른 종속변인 진로성숙도와 자기효능감의 변화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도식화하면 아래와 같다.

Table 2. Pre-post Experimental Design

CPTSCQ_2024_v29n10_255_4_t0002.png 이미지

Experimental group: Program progression, Control group: Do not proceed with the program

4. Subject of Study and Data Collection

2024년 3월 18일부터 6월 10일까지 총 11회기를 진행하였으며, K 여자대학교 재학생들 가운데, 프로그램에 참여하고자 의사를 밝힌 38명을 실험집단으로, 통제집단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는 학생들 가운데 단순 무작위 추출법으로 38명을 선정하여 총 76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5. Research Tools

5.1 Career Maturity Measurement Tool

진로성숙도를 측정하기 위해 임언 외[29]가 개발한 척도를 대학생들 대상으로 본 연구의 특성에 맞게 37개 문항으로 재구성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진로성숙도 척도는 계획성, 자기이해, 합리적 의사결정, 희망 직업에 대한 지식, 진로탐색 및 진로준비의 5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신뢰도(Cronbach α)값은 아래와 같다.

Table 3. Career Maturity Question numbers by factor of the scale

CPTSCQ_2024_v29n10_255_5_t0001.png 이미지

5.2 Self-Efficacy Measurement Tool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Shere, Mercandate, Pretice, Jacobs & Rosers[37]가 개발한 것을 본 연구의 특성에 맞추어 24문항으로 재구성하였다. 자기효능감 척도는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 3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신뢰도(Cronbach α)값은 아래와 같다.

Table 4. Self-Efficacy Question numbers by factor of the scale

CPTSCQ_2024_v29n10_255_5_t0002.png 이미지

* a reverse question

6. Data Analysis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성숙도와 자기효능감에 얼마만큼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IBM SPSS Statistics 20.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1)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 실시 전에 실험집단, 통제집단의 진로성숙도와 자기효능감의 동질성을 파악하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증을 하였다.

2)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평균 차이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진로성숙도와 자기효능감의 사전·사후 검사의 차이를 대응표본 t 검증을 하였다.

IV. Results

1. Comparison of pre-testing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1.1 Career Maturity Pre-inspection comparison

진로성숙도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집단, 통제집단의 사전 t-test 결과는 아래와 같다.

Table 5의 결과와 같이 사전검사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진로성숙도 하위영역인 계획성, 자기 이해, 합리적 의사결정, 희망 직업에 대한 지식, 진로탐색 및 진로준비가 p>. 05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동질적인 집단임이 검증되었다.

Table 5. Comparison of pre-testing of career maturity scale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CPTSCQ_2024_v29n10_255_5_t0003.png 이미지

1.2 Comparison of self-efficacy pre-test

자기효능감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집단, 통제집단의 사전 t-test 결과는 아래와 같다.

Table 6의 결과와 같이 사전검사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기효능감 하위요인의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가 p>. 05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동질적인 집단임이 검증되었다.

Table 6. Comparison of pre-testing of self-efficacy scale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CPTSCQ_2024_v29n10_255_6_t0001.png 이미지

2. Comparison of pre- and post-testing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2.1 Comparison of pre- and post-examination of career maturity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결과값을 비교하기 위해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정규성 검정을 위해 Shapiro-Wilk Test를 실시한 결과 P-Value(=.8654965463)값이 0.05보다 크므로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볼 수 있으며 검사 결과는 아래와 같다.

Table 7의 검사 결과와 같이 실험집단의 진로성숙도 하위영역 가운데 계획성, 자기이해, 합리적 의사결정, 희망직업에 대한 지식, 진로탐색 및 진로준비가 p<. 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위와 같은 결과는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 가운데, ‘직업탐색(나의 관심 있는 분야 알아보기)’ 활동을 통해서 자신이 관심 있는 분야의 필요한 자격증이 무엇이며, 어떤 활동들을 해야 하는지를 알게 되었다. 그리고 ‘미래 이력서’를 작성해 보고 발표하는 활동을 통해서 미래에 대한 계획을 세우면서 앞으로 학교생활을 어떻게 하고, 취업을 위해서 어떤 것을 준비해야 하는지를 알게 되었다. 특히, ‘기관방문 인터뷰’ 활동을 통해서 구체적으로 내가 취업하고 싶은 기관의 활동 내용이나 임금, 필요한 자격증 등을 더 자세히 알 수 있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선배초청특강’, ‘전문가초청특강’을 통해서 대학 생활 동안 도움이 되는 여러 대외활동이나 봉사활동에 대한 정보들을 알려 주셨다. 위와 같이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진로에 대해서 구체적인 계획성이 부족하고 자신이 어떤 분야에 적합한지도 잘 알지 못하고, 무엇을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모르는 학생들에게 자신이 관심 있는 분야가 무엇이고, 앞으로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구체적으로 안내해 줌으로써 학생들의 진로성숙도 향상에 큰 도움이 되었다.

Table 7. Comparison of pre- and post-testing of career maturity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CPTSCQ_2024_v29n10_255_6_t0002.png 이미지

2.2 Comparison of self-efficacy pre- and post-test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기효능감의 사전·사후 결과값을 비교하기 위해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검사 결과는 아래와 같다.

Table 8의 검사 결과와 같이 실험집단의 자기효능감 하위요인 중에서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가 p<. 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위와 같은 결과는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 중에서 ‘MBTI 성격유형검사’와 ‘Holland의 직업적성검사’를 통해서 진심으로 자신이 하고 싶은 일과 분야에 대해서 확신감, 자신감을 얻게 되었는데, 자신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좋아하고 잘하는지에 대해서 알 수 있게 되었다.

Table 8. Comparison of pre- and post-testing of self-efficacy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CPTSCQ_2024_v29n10_255_6_t0003.png 이미지

그리고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 활동을 통해서 자신과 잘 어울리는 일이 무엇인지, 자신의 장점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며, 자신에게 주어진 일들을 잘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특히, 항상 쉬운 일만 하려고 했는데, 내가 하고자 하는 일에 대해서 더 알고 노력하면 어려운 일도 잘 해결해 나갈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이처럼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자신의 진로에 대한 걱정이 많고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는 학생들에게 진로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해 주었고, 자신에게 주어진 어떤 일이든 책임감을 갖고 열심히 해 보려고 하고, 어려운 일도 도전해서 성취해 보려고 하는 자세를 갖게 해 주었다.

V. Discussion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성숙도와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연구 결과에 따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 결과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여대생의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 가운데 계획성, 자기이해, 합리적 의사결정, 희망직업에 대한 지식, 진로탐색 및 진로준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 중에서 나의 관심 있는 분야를 알아보는 ‘직업탐색’ 활동을 통해서 자기 적성에 맞는 분야에 대한 정보를 찾아보면서 자신이 앞으로 어떤 직업과 맞는지를 더욱 더 확실히 알게 되었고 그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자격증이 어떤 것이 있는지도 구체적으로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미래 이력서’를 작성해 보고 발표하는 활동을 통해서 생애주기별로 해야 할 일을 생각해 보고, 구체적으로 자신의 진로에 필요한 자격증과 활동들을 계획할 좋은 기회가 되었다. 특히, ‘기관방문 인터뷰’를 통해서 자신이 관심 있는 분야의 현장 전문가를 찾아 직접 질문해 보고 다양한 정보들을 습득할 수 있어서 현장을 이해하고 준비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 더 나아가 ‘선배초청특강’, ‘전문가초청특강’을 통해서 대학 생활 중에 필요한 대외활동, 봉사활동 등 스펙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알려줌으로써 직업에 대한 새로운 지식을 습득할 수 있었으며 진로를 결정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들과 유사한 결과가 나왔다. 구체적으로 현장에 있는 졸업한 선배나 전문가들을 초청하여 특강을 통해서 직업에 대한 인식을 구체적으로 할 수 있었으며, ‘기관방문 인터뷰’를 통해서 취업하고자 하는 기관에 대한 정보수집, 분석에 큰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났는데, 빈윤경 외[15]의 연구와 유사한 결과가 나왔다. 그리고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진로와 관련한 자기이해 및 탐색의 정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는 조한나[17]의 연구와도 유사한 결과가 나왔다.

또한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여대생의 자기효능감 하위요인 가운데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 가운데 ‘MBTI 성격유형검사’와 ‘Holland의 직업적성검사’를 통해서 자신이 정말로 하고 싶은 분야와 일이 무엇인지를 알 수 있어서 자신과 진로에 대해서 자신감을 얻게 되었다. 특히, ‘직업적성검사’를 통해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고 잘하는지를 알게 되어 스스로 자신과 맞는 직업을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그리고 ‘기관방문 인터뷰’를 통해서 학생들이 어려운 과제를 회피하지 않고 도전하고 새로운 것들을 많이 배우고 성장할 좋은 기회가 되었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는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는 선행연구들과 유사한 결과가 나왔다. 구체적으로 ‘MBTI 성격유형검사’와 ‘Holland의 직업적성검사’를 통해서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이 무엇인지를 알 수 있어서 진로와 자신에 대해서 자신감을 얻을 수 있었는데, 이는 최은영[16], 이종호, 김종운[19]의 연구와도 유사한 결과가 나왔다. 이처럼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여대생들의 진로성숙도와 자기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따라서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통해서 대학생들에게 자기 적성에 맞는 직업을 찾도록 도와주며 다양한 경험을 통해서 자신과 진로에 대해서 확신을 갖도록 지속적인 도움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VI. Conclusions

이상의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여대생의 진로성숙도와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으로 ‘기관방문 인터뷰’를 통해서 자신이 관심 있는 분야의 현장 전문가를 찾아 현장의 다양한 정보들을 습득하고 자신의 진로에 도움이 되는 활동과 자격증을 알고 준비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 대학생들이 지역사회의 다양한 인적·물적 자원들을 활용하여 자신에게 맞는 진로를 잘 선택하고 현장에서 요구하는 전문성을 잘 개발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두 번째로,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으로 ‘선배초청특강’, ‘전문가초청특강’을 통해서 대학 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대외활동, 봉사활동 등 스펙에 필요한 중요한 정보들을 습득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MBTI 성격 유형검사’와 ‘Holland의 직업적성검사’를 통해서 자신에게 맞는 직업을 찾도록 도와줌으로써 자신과 진로에 대해서 자신감을 갖고 새로운 과제에 도전해 보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세 번째로,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입학할 때부터 진로탐색, 기관방문을 통한 현장 체험 등의 다양한 경력개발을 위한 활동을 함으로써 자기 주도적으로 목표를 세우고 진로준비행동을 구체적으로 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를 병행하여 대상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연구가 요구된다. 둘째, 연구 대상자를 남·여 균등하게 맞추어 연구함으로써 성별의 차이에 따른 연구 결과를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의 대상자를 K광역시 여대생으로 국한하였는데, 향후 연구에서는 지역적 확장을 통해 일반화의 노력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할 때 저학년과 고학년의 차이를 비교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ACKNOWLEDGEMENT

"This paper was supported by Research Funds of Kwangju Women's University in 2024(KWU24-043)“

References

  1. E. J. Kim,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the transition into adulthood of Korean young adults in their 20s", Journal of Family and culture, Vol. 27, No. 1, pp. 69-116, Mar. 2015. https://doi.org/10.21478/family.27.1.201503.004
  2. Y. M. Yoon, "The relationship among extracurricular club activities with adaptation to campus lif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 Community development Society, Vol. 38, No. 2, pp. 21-30, Dec. 2013.
  3. M. Y. Park and Y. S. Jung, "Relationships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tyles and Career Maturity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1, Vol. 8, No. 3, pp. 171-190, Jun. 2017. https://doi.org/10.22143/HSS21.8.3.10
  4. Y. K. Kim, "An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of college student hope, social support, career sustainability and school life adaptation [Master's degree]", Gyeongsang: Univ. of Jinju, Aug. 2020.
  5. H. Y. Lee, "Toward an Integrated Theory of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ol. 20, No. 2, pp. 201-208, Aug. 2013.
  6. K. H. Seo, "The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ulinary and Foodservice Management Major Students", Journal of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Vol. 22, No. 3, pp. 121-138, Apr. 2016. DOI: 10.20878/CSHR.2016.22.3.011011011
  7. M. S. Park and J. W. Park, "In the Fusion Era of Ju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Perfectionism and Career Indecision: Focusing on Mediation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ol. 8, No. 1, pp. 79-87, 2018. DOI: 10.22156/CS4SMB.2018.8.1.079
  8. M. S. Gwak,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areer-Related Behaviors and Career Maturity [Master's degree]". Hanyang: Univ. of Seoul, Feb. 2015
  9. E. M. Kim, "The Effect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n Happy Life in Adult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Personality Strength and Gratitud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11, No. 2, pp. 93-100, Feb. 2020. DOI : 10.15207/JKCS.2020.11.2.093
  10. J. Y. Lee, "The effect of resilience on self-efficacy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Social Science, Vol. 8, No. 2, pp.171-186, Jun. 2023. DOI:10.48033/jss.8.2.10
  11. S. J. Yoon, "Effect of self-efficac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perceived stress toward resilience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Vol. 8, No. 4, pp.205-212, Jul. 2022. DOI: 10.17703/JCCT.2022.8.4.205
  12. S. B. Cho and S. I. Han, "Undergraduate students' experience of e-portfolio development", Journal of the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Education, Vol. 41, No. 3, pp.113-137, Sep. 2023. DOI 10.22327/kei.2023.41.3.113
  13. T. G. Lee and J. W. Kim,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Program Using e-career Portfolio on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4, No. 1, pp. 319-337, Feb. 2012. UCI: G704-000930.2012.14.1.017
  14. H. J. Lee, "The effect of using portfolio-based lessons on the development of self-identity of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and its two-year follow up : focusing on the 'understanding adolescents' unit in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Doctoral degree]", Korea National Education: Univ. of Chungju, Feb. 2014.
  15. Y. K. Been, C. Y. Yun, and J. S. Kim, "The Effect of Portfolio-Based Career Education Program on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or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Women's Studies, Vol. 25, No. 2, pp. 41-70, Jun. 2015. DOI: 10.22772/pnujws.25.2.201506.41
  16. E. Y. Choi, "The Effects of Career Exploration Education Using Portfolio on Career Decision-Making Efficacy and Self-Efficacy of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Master's degree]", Kongju: Univ. of Kongju, Feb. 2010.
  17. H. N. Cho, "The effect of career education on career maturation of academic girls high school students using portfolio [Master's degree]". Ewha: Univ. of Seoul, Feb. 2009.
  18. S. S. Park, "The effect of career exploration programs using the career portfolio on high school students' maturity rate [Master's degree]". Chungnam: Univ. of Daejeon, Feb. 2011.
  19. J. H. Lee and J. U. Kim, "The Effect of a Career Exploration Program Using Career Portfolio on Self-efficacy and Career Identity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ol. 21, No. 1, pp. 1-15, Jan. 2009. UCI: G704-001373.2009.21.1.009 G704-001373.2009.21.1.009
  20. K. Y. Joo, "The effects of career development program using career portfolio on the career attitude of the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education classes [Master's degree]". Dankook: Univ. of Seoul, Aug. 2013.
  21. J. H. Baek, "A Study on the efficacy of Career education program applying portfolio [Master's degree]". Kyonggi: Univ. of Suwon, Feb. 2013.
  22. C. H. Kwak, "The Development of a Career Planning Program Utilizing Career Portfolios for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Master's degree]". Korea National Education: Univ. of Chungju, Feb. 2021.
  23. J. H. Shin, J. I. Hue, and Y. C. Chang, "A study on the strategic method for career maturity of job applicants", Journal of Employment and Career, Vol. 9, No. 1, pp. 117-144, Mar. 2019. DOI: 10.35273/JEC.2019.9.1.006
  24. J. H. Cho, J. U. Park, and H. H. Won, "The Effect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on Job-seeking efficacy of Job Seekers",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ol. 30, No. 3, pp. 796-806, Jun. 2018. DOI: 10.13000/JFMSE.2018.06.30.3.796
  25. Y. M. Son, "Effect of career education program using career portfolio on career-decision self- 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first or second year)", Journal of Korea Educational Review, Vol. 20, No. 1, pp. 227-250, Feb. 2014. UCI: G704-001273.2014.20.1.009
  26. N. G. Kim, "Development of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s using e--portfolio", Journal of Skills and Qualification, Vol. 9, No. 3, pp.143-172, Dec. 2020. DOI: https//doi.org/10.35125/jsq.2020.9.3.143
  27. D. E. Super, "Dimensions and measurement of vacational maturity", Teachers College Record, Vol. 57, No. 3, pp. 151-163.
  28. K. B. Hoyt, "Career education in the high school", Salt Lake City, Utaa: Olympus Publishing Co, 1977.
  29. A. Lim, Y. K. Jeong, and K. A. Sang, "Career maturity test development report", Seoul: Korea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Institute, 2001.
  30. H. Y. Jeong, "A Study o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Values and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Doctoral degree]", Kyungsung: Univ. of Busan, Feb. 2010.
  31. A. Bandur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6.
  32. M. E. Gist & T. R. Mitchell, "Self-efficacy: A theoretical analysis of its determinants and malleabilit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7:183-211, 1992. https://doi.org/10.5465/amr.1992.4279530
  33. A. R. Choi, "A study on the effect of adolescent resilience on happiness :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and stress before and after COVID-19 pandemic [Doctoral degree]", Pai Chai: Univ. of Daejeon, Feb. 2022.
  34. E. M. Yeon and H. S. Choi,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trajectories in self-efficacy with their life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adults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22, No. 4, pp. 273-280, Apr. 2021. DOI: 10.5762/KAIS.2021.22.4.273
  35. S. K. Yoo, "A Development of a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y utilizing career portfolio",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16, No. 5, pp.545-577, Oct. 2011. UCI:G704-000666.2011.16.5.018
  36. C. Y. Jyung, D. Y. Park, J. H. Kim, and Y. H. Chae, "Development of Career Guidance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Vol. 38, No. 3, pp. 251-277, Sep. 2006. UCI: G704-000464.2006.38.3.012 G704
  37. M. Shere, J. E. Maddux, B. Mercandante, S. Prentice-Dune, B. Jacobs, & R. W. Rosers, "The self 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Journal of Psychological Reports, Vol. 51 pp. 663-671, 1982. https://doi.org/10.2466/pr0.1982.51.2.6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