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mpact of Moving to Opportunity Across Life Stages on College Graduates' Wage Performance

생애주기별 기회로의 이동이 대졸 청년 임금 소득에 미치는 영향

  • 최호권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
  • 박인권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환경계획연구소)
  • Received : 2024.07.11
  • Accepted : 2024.09.12
  • Published : 2024.09.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moving to an opportunity-rich area on an individual's wage income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disparities in opportunities throughout a person's life cycle and life outcomes. Based on the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provid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individuals with similar life experience prior to regional mobility were selected and analyzed using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method. Specifically, the life cycle was classified into stages such as pre-high school, university entrance period, and employment period. Then, a path model was established to analyze regional mobility, education, employment, and wage income by life cycle stage.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the life cycle stage where regional mobility had the greatest impact on an individual's economic performance, that is, the stage where the impact of opportunity disparities was most unequal, was the university entrance period. Additionally, moving to an opportunity-rich area was a critical factor that cumulatively affected subsequent life. Hence, pre-high school mobility was also noteworthy as it induced life in the central area later on. Lastly, while parental income itself was influential, but when combined with regional mobility, it could act as a means of transferring wealth to the next gener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tate should strive to alleviate the regional imbalance around universities by fostering universities outside the capital region and reduce the possibility of the influence of parents' socio-economic background on regional mobility.

이 연구는 개인의 생애주기별 기회의 지역 간 격차와 삶의 성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기회가 풍부한 곳'으로의 이동이 개인의 임금 소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OMS,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를 기반으로 성향점수매칭(PSM, Propensity Score Matching) 방법을 활용하여 지역 이동 이전의 삶의 경험이 유사한 개인을 선별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생애주기를 고등학교 진학 이전, 대학교 진학 시기, 취업 시기 등으로 분류한 후, 생애주기별 지역 이동과 진학, 취업, 임금 소득 간 경로 모형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 이동이 개인의 경제적 성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생애주기, 즉 기회 차이에 따른 영향이 가장 불평등하게 나타나는 생애주기는 대학 진학 시기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회가 풍부한 곳으로의 이동은 이후의 삶에 누적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 밝혀졌다. 이에 따라 고등학교 입학 이전 시기의 이동성 또한 이후 중심부에서의 삶을 유발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마지막으로, 부모의 소득은 그 자체로도 영향력이 있지만, 지역 이동과 결합하여 자녀 세대에게 부를 이전하는 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국가가 비수도권 대학 육성을 통해 대학 중심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지역 이동의 제약을 줄이기 위해 노력해야 함을 시사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3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대한교통학회 공동 추계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내용을 수정·보완하여 작성하였으며, 2022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2S1A3A2A01089625).

References

  1. 갤스터, 2023, 「우리가 만드는 동네, 우리를 만드는 동네」, 파주: 한울아카데미.
  2. 고영우, 2018, 대졸자의 첫 직장 이행에서 지역이동의 임금 효과: 비수도권 대졸자의 지역이동을 중심으로, 「월간 노동리뷰」, 2018(5), pp.19-29.
  3. 공희정.박경현, 2020,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고등학생의 대학진학 동기: 부모 환경의 영향 및 대학 선택을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58(4), pp.119-150.
  4. 구양미, 2021, 인구 변화와 도시 쇠퇴의 지역 불균형: 저출산과 지방소멸 문제에 대한 시사점, 「국토지리학회지」, 55(3), pp.301-320.
  5. 권혁기.김병주, 2021, 4년제 대졸자의 임금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대학 변인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9(5), pp.201-234.
  6. 김경근, 2005, 한국사회 교육격차의 실태 및 결정요인, 「교육사회학연구」, 15(3), pp.1-27.
  7. 김기헌, 2004, 가족 배경이 교육단계별 진학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학」, 38(5), pp.09-142.
  8. 김민영.임업, 2017,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임금격차와 인적자본: 무조건 분위회귀 분해법의 적용: 무조건 분위회귀 분해법의 적용, 「지역연구」, 33(2), pp.3-23.
  9. 김승연.박민진, 2021, 장벽사회, 청년 불평등의 특성과 과제, 「정책리포트」, pp.1-21.
  10. 김승정.최호권.정예림.양완진.박인권, 2024, 성장기 거주지역에 따른 교육 및 임금 격차와 소득불평등의 재생산, 「국토계획」, 59(1), pp.88-102.
  11. 김영화, 2020, 「피에르 부르디외와 교육」, 파주: 교육과학사
  12. 김우영, 2012, 한국의 지역간 임금격차: 지역별 고용조사(RES)를 중심으로, 「노동정책연구」, 12(1), pp.1-28.
  13. 김은정, 2007,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사교육비, 부모-자녀 관계 그리고 청소년 자녀의 학업성취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부모-자녀 관계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41(5), pp.134-162.
  14. 김진영, 2022, 대학서열과 노동시장: 학벌 프리미엄의 시대별 변화, 「분석과 대안」, 6(1), pp.35-69.
  15. 김희삼, 2010, 지방대학 졸업자의 노동시장 성과와 지역별 교육격차, 「한국개발연구」, 32(2), pp.55-92.
  16. 남기곤, 2017, 교육 불평등의 현실과 정책 대안, 「사회복지법제학회 학술대회지」, 2017(1), pp.337-361.
  17. 남춘호, 2003, 교육불평등과 노동시장, 「지역사회학」, 4(2), pp.5-43.
  18. 류장수, 2005, 지방대학 졸업생의 노동시장 성과 분석: 수도권대학 졸업생과의 비교, 「노동경제논집」, 28(2), pp.1-27.
  19. 류장수, 2015, 지역 인재의 유출 실태 및 결정요인 분석, 「지역사회연구」, 23(1), pp.1-23.
  20. 박재민, 2010, 중소기업 취업자의 직장선택과 이동 그리고 임금 수준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9), pp.387-398.
  21. 박재옥, 2021, 출신대학 블라인드 채용: 선별과 편견, 「한국경제연구」, 39(2), pp.99-128.
  22. 상명성.문영만, 2024, 비수도권 대졸 청년의 취업 및 수도권 유출 결정요인-부모 소득과 노동시장 성과를 중심으로, 「아시아연구」, 27(1), pp.349-366.
  23. 소진광, 2020, 지역균형발전의 접근논리 탐색: 지역격차 인식을 중심으로, 「지방행정연구」, 34(1), pp.3-48.
  24. 신명호, 2010,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자녀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41(2), pp.217-245.
  25. 신재흡, 2020, 「교육과 사회: 교육의 사회학적 이해」, 서울: 동문사.
  26. 오호영, 2007, 대학서열과 노동시장 성과: 지방대생 임금차별을 중심으로, 「노동경제논집」, 30(2), pp.87-118.
  27. 우종필, 2016,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아카데미.
  28. 이상호, 2010, 지역간 이동의 결정요인 및 임금효과, 「지역연구」, 26(1), pp.45-70.
  29. 이승욱.박철웅.강승범, 2023, 도시불평등과 기회의 지리, 「공간과 사회」, 33(3), pp.285-320.
  30. 이용호.엄선비.송지현, 2021, 부모의 사회계층이 자녀의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고정효과모형을 적용하여, 「한국사회복지학」, 73(2), pp.107-131.
  31. 이종수, 2017, 지역 간 임금격차에 대한 고찰: 수도권.비수도권을 중심으로, 「노동정책연구」, 17(2), pp.143-171.
  32. 이지은.정세은, 2023, 부모의 소득 및 학력이 자녀 임금에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 Labor Economics」, 46(1), pp.31-67.
  33. 이찬영.이흥후, 2016, 청년층의 지역 간 인구이동 결정요인 분석과 전망, 「경제연구」, 34(4), pp.143-169.
  34. 조동훈, 2020, 청년층 지역이동과 임금수준 효과, 「Korean Journal of Labor Economics」, 43(3), pp.123-148.
  35. 차미숙.조은주,.곽윤신.전봉경, 2023, 전환기의 균형발전정책 패러다임과 실천전략, 세종: 국토연구원.
  36. 최광성.강동우.최충, 2018, 지역이동이 대졸자의 임금 변화에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 Labor Economics」, 41(2), pp.61-88.
  37. 최은영, 2004, 학력자본 재생산의 차별화와 빗장도시의 형성, 「대한지리학회지」, 39(3), pp.374-390.
  38. 최필선.민인식, 2015, 부모의 교육과 소득수준이 세대 간 이동성과 기회불균등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22(3), pp.31-56.
  39. 플로리다, 2018, 「도시는 왜 불평등한가」, 서울: 매경출판.
  40. 허식, 2007, 지역간 임금격차에 관한 요인분해: 수도권과 비수도권 중심으로, 「산업경제연구」, 20(1), pp.1-16.
  41. Austin, P. C., 2011, Optimal caliper widths for propensity-score matching when estimating differences in means and differences in proportions in observational studies, 「Pharmaceutical statistics」, 10(2), pp.150-161.
  42. Becker, G. S., 1964, 「Human capital: A theoretical and empirical analysis, with special reference to education」, New York: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43. Bergman, P., Chetty, R., DeLuca, S., Hendren, N., Katz, L. F., & Palmer, C., 2019, 「Creating moves to opportunity: Experimental evidence on barriers to neighborhood choice」, New York: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44. Bernard, J., Steinfuhrer, A., Klarner, A., & Keim-Klarner, S., 2023, Regional opportunity structures: A research agenda to link spatial and social inequalities in rural areas, 「Progress in Human Geography」, 47(1), pp.103-123.
  45. Blau, P. M. and Duncan, O. D., 1967, 「The American Occupational Structure」, New York: John Wiley & Sons.
  46. Briggs, X. S., Ferryman, K. S., Popkin, S. J., and Rendon, M., 2008, Why Did the Moving to Opportunity Experiment Not Get Young People into Better Schools?, 「Housing Policy Debate」, 19(1), pp.53-91.
  47. Chetty, R., Hendren, N., & Katz, L. F., 2016, The effects of exposure to better neighborhoods on children: New evidence from the moving to opportunity experiment, 「American Economic Review」, 106(4), pp.855-902.
  48. Galster, G. C., 2011, The mechanism (s) of neighbourhood effects: Theory, evidence, and policy implications. In Neighbourhood effects research: New perspectives, pp.23-56.
  49. Galster, G. C. and Killen, S. P., 1995, The geography of metropolitan opportunity: A reconnaissance and conceptual framework, 「Housing Policy Debate」, 6(1), pp.7-43.
  50. Galster, G., & Sharkey, P., 2017, Spatial foundations of inequality: A conceptual model and empirical overview, 「The Russell Sage Foundation Journal of the Social Sciences」, 3(2), pp.1-33.
  51. Leventhal, T., & Brooks-Gunn, J., 2003, Moving to opportunity: an experimental study of neighborhood effects on mental health,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3(9), pp.1576-1582.
  52. Lucas, S. R., 2001, Effectively Maintained Inequality: Education Transitions, Track Mobility, and Social Background Effect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6(6), pp.1642-1690.
  53. Raftery, A. E., & Hout, M., 1993, Maximally maintained inequality: Expansion, reform, and opportunity in Irish education, 1921-75, 「Sociology of education」, pp.41-62.
  54. Reich, M., Gordon, D. M., & Edwards, R. C., 1973, A theory of labor market segmentation,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pp.359-365.
  55. Rosenbaum, P. R., & Rubin, D. B., 1983, The central role of the propensity score in observational studies for causal effects, 「Biometrika」, 70(1), pp.41-55.
  56. Rosenbaum, P. R., & Rubin, D. B., 1985, Constructing a control group using multivariate matched sampling methods that incorporate the propensity score, 「The American Statistician」, 39(1), pp.3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