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Revitalizing Innovative Startup Ecosystems Using Public Technologies

공공기술을 활용한 혁신 창업생태계 활성화 방안 연구

  • Tae-Uk Ahn (KAIST) ;
  • Tae-Won Kang (Dept. of Supply Chain and Logistics, Kunsan National University)
  • 안태욱 (KAIST 창업원) ;
  • 강태원 (군산대학교 국제물류학과)
  • Received : 2024.05.10
  • Accepted : 2024.08.29
  • Published : 2024.08.31

Abstract

Discovering innovative startups that use public technologies from universities and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is crucial for maintaining national competitiveness. Advancing public R&D technology, discovering entrepreneurs from research institutes, and fostering and investing in deep-tech startups are very important at the national level.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activating startups using public technologies, and research analyzing each governance entity is needed to activate the innovation startup ecosystem.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priorities for revitalizing the innovation startup ecosystem among researchers, research institutes, innovative startups, and the government, which constitute the public technology govern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sustainability of innovative startups (0.308), government innovation startup activation (0.298), research institutions discovering and fostering startups (0.221), and researcher's characteristics (0.173) were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in the public R&D technology innovation startup ecosystem. And the sub-factors of researcher's characteristics, seizing business opportunities (0.305) was most important, and creating a startup-friendly culture (0.293) was most important among the sub-factors of research institutions discovering and fostering startups. Investment funds and procurement (0.373) was the most critical sub-factor for the sustainability of innovative startups, while a dedicated fund for public technology (0.305) was the most important among the sub-factors of government schemes for promoting innovative startups. A total of 20 factors were analyzed sequentially according to their importance in the weights for evaluation factors and sub-factors. By sub-factor, investment and financing for innovative startups (0.115), dedicated government fund for public technology (0.091), securing high-quality human resources for innovative startups (0.078), improving government regulations and permits related to innovative technologies (0.074), and creating a startup-friendly culture in research institutions (0.065) were the most important. This result emphasizes the significance of securing competitiveness to become a sustainable public technology startup. In addition, based on entrepreneurship experience, 'dedicated funding for public technology' was most important for the group with startup experience, while the group with no experience needed more 'investment and funding'. Furthermore, By region, 'improving government regulations and permits' was the highest priorit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hile 'attracting investment and financing' was the most important in Daejeon.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is important to give policy priority to innovative startup companies in order to activate the innovation startup ecosystem in the public technology sector. The poli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erived that long-term (10 years or more) investment and funding for deep tech companies and the establishment of public technology-only funds are the most urgent and important.

대학, 정부 출연연의 공공기술을 활용한 혁신 창업기업 발굴 및 지원은 국가경쟁력을 확보하는 중요한 정책이다. 공공 R&D 기술사업화, 연구원 창업가 발굴, 딥테크 창업 육성 및 투자는 국가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공공기술 활용 창업 활성화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며, 혁신창업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구성 거버넌스 주체별 분석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기술 거버넌스를 구성하고 있는 연구원, 연구기관, 혁신창업기업, 정부를 중심으로 혁신 창업생태계 활성화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공공 R&D기술 혁신창업 생태계 상위요인에서 혁신창업기업의 지속가능성(0.308), 정부의 혁신창업 활성화(0,298), 연구기관의 창업기업 발굴육성(0.221), 개인특성(0.173)으로 중요한 우선순위가 나타났다. 그리고 개인특성(연구원)의 하위요인으로 사업기회포착(0.305)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졌고, 연구기관의 하위요인에서는 창업 친화적 문화 조성(0.293)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혁신창업기업의 지속가능성 하위요인에서는 투자자금 및 조달(0.373)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며, 마지막으로 정부의 하위요인에서는 공공기술 전용펀드(0.305)조성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평가요인과 세부요인에 대한 가중치에서 활성화 방안 요인 총 20개 요인에서 중요도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혁신창업기업의 투자유치/자금조달(0.115), 정부의 공공기술전용펀드(0.091), 혁신창업기업의 고급인력확보(0.078), 정부의 혁신기술 규제허가개선(0.074), 연구기관의 창업 친화적 문화 조성(0.065) 순으로 중요도가 나타났다. 그리고 설문대상자의 창업경험 유무에 따른 집단분석 결과 창업경험이 있는 집단은 '공공기술 전용펀드' 부분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선택하였고, 창업경험이 없는 집단은 '투자유치/자금조달' 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모두 자금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나아가 설문 대상자 거주 지역을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수도권에서는 '혁신기술규제 허가 및 개선' 부분이 가장 중요하였고, 대전지역에서는 '투자유치/자금조달' 부분이 가장 중요한 우선순위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공공기술 분야 혁신창업 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혁신창업기업의 지속가능성에 정책적 우선순위를 두는 것이 중요하며, 구체적으로 중·장기적인(10년이상) 투자 및 자금조달 및 공공기술 전용 펀드 조성이 가장 시급하고 중요하다는 정책적·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한역.박우진.배병윤(2019) 창업자의 창업동기, 창업가정신 그리고 창업가 역량특성이 창업기업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창업기업 경영성과를 매개로 하여, 벤처창업연구, 14(3), 59-71. 
  2. 경성림.김용호.(2022). 창업가의 디지털역량이 창업기업의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창업가 혁신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20(4), 405-410. 
  3. 고혁진.최태진.문덕현.탁현욱.이현정(2019). 실험실 창업 활성화를 위한 기술사업화 전문인력 양성 방안 연구(NRF ISSUE REPORT 2019년_5호), 대전: 한국연구재단.
  4. 관계부처합동(2017). 혁신창업 생태계 조성방안. Retrieved from URL.https://www.mss.go.kr/site/smba/ex/bbs/View.do?cbIdx=86&bcIdx=1003757&parentSeq=1003757 
  5. 김경환(2005). 대학기술이전 조직화 기업의 제도적 환경 및 전략적 차원이 기술이전을 통한 기술사업화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 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6. 김이수(2009). 연구기반 스핀오프 성장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대덕연구단지 연구원출신 창업기업의 성장요인을 중심으로. 서울도시연구, 10(2), 63-85. 
  7. 김용문(2023). 2021년 기준 창업기업실태조사, 세종:창업진흥원. 
  8. 김용정.신서원(2015). 대학의 지식재산 기반 창업활동에 관한 요인 분석, 지식재산연구, 11(1), 163-194. 
  9. 김철회.이상돈(2007). 산학협력성과와 대학의 역량요인의 관계에 관한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10(4), 629-653. 
  10. 노두환.정영근.박호영(2016). 중소.벤처기업의 기술사업화 애로요인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 벤처창업연구, 11(1), 1-12. 
  11. 박경배.심상오.정성영(2016). 예비 창업자의 심리적 특성과 창업 교육이 창업 의지에 미치는 영향, 상업교육연구, 30(1), 21-41. 
  12. 박재환.전혜진(2018). 지속가능한 비즈니스모델 설계 도구: 소셜벤처 사례를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14(1), 187-198. 
  13. 봉강호(2020). 공공기술 기반 창업기업 성장 결정요인: 기술주체의 후속지원을 중심으로, 지식경영연구, 21(2). 41-58. 
  14. 박현숙.나희경.문계완(2022). 기업의 특성과 스타트업 생태계 특성이 데스밸리 극복에 미치는 영향: 벤처캐피탈과 개방형혁신의 조절효과, 벤처창업연구, 18(1), 13-29. 
  15. 박후근.배관표(2021). 혁신클러스터 활성화 요인에 대한 정책공급자와 수요자의 인식차이 분석: 대덕연구개발특구 사례에 대한 AHP 조사를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16(3), 105-119. 
  16. 서종석.이근춘.옥영석(2015). 코워킹스페이스 운영전략 연구: AHP 기법을 통한 운영요소 분석을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10(4), 157-165. 
  17. 심용호.길운규.김서균(2015). 벤처.창업 활성화를 위한 규제개선 추진방안의 효과성분석,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16(4).121-130 
  18. 안태욱(2021). 사회적 경제 생태계 구성조직 역할 중요도 연구: 전라북도 사회적 경제 중심으로. 사회적가치와 기업연구, 14(2), 63-85. 
  19. 안태욱.강태원(2020). 지역창업 활성화를 위한 청년창업 애로 요인에 관한 연구, 벤처창업연구, 15(2), 67-80. 
  20. 안태욱.강태원.이미경(2020). 지역 불균형 해소를 위한 창업생태계 성공요인 도출에 관한 연구, 한국유통경영학회, 23(2), 91-105. 
  21. 양영석(2016). 공공기술기반 기술창업의 현황과 글로벌 성과제고 위한 '국내기반형 글로벌 창업(Inbound Globalization)' 모델 연구, 벤처창업연구, 11(3), 27-35. 
  22. 윤수진.함선영.윤성용.손미림(2020). 기초연구 유형별 중장기 지원 전략 연구, 음성: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3. 윤정근(2021). 공공기술사업화의 정책 혁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2(2), 212-220. 
  24. 윤혜미(2022). 스타트업의 스케일업을 위한 창업생태계 핵심요인 연구, Entrepreneurship & ESG 연구, 2(1), 47-70. 
  25. 이경미.황선진(2016). 국내 패션관련 전공 대학생들의 개인적 특성, 환경적 특성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창업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포럼, 50, 129-144. 
  26. 이설빈(2017). 중소.벤처기업의 창업 성공요인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 벤처창업연구, 12(3), 53-63. 
  27. 이원철.최종인.최태진(2021). 공공기술 사업화를 위한 창업교육의 핵심요인분석: 한국형 아이코어 사업성과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논문지, 22(1), 159-170. 
  28. 이창규.황성주.김휘택(2024). 스타트업 기업 육성지원 방안 연구: 딥테크(DeepTech)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19(2), 63-79. 
  29. 이현호.황보윤.공창훈(2017). 스타트업의 초기 성공을 결정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벤처창업연구, 12(1), 1-13. 
  30. 전지은.김선우.오승환.진우석(2020). 공공기술 기반 창업지원제도의 효과성 분석을 통한 입법화 방안 연구, 세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31. 전지은.윤정섭(2023). 공공기술창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연구, 지식경영연구, 24(2), 87-115. 
  32. 정문수.김은희(2023). 비즈니스 모델 혁신 프레임워크 기반의 액셀러레이터 투자결정요인 실증 분석, 벤처창업연구, 18(1), 253-270. 
  33. 정태현(2021). 해외주요국 성과확산 정책 및 기술료 제도 조사, 음성: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34. 조근태.조용곤.강현수(2003). 앞서가는 리더들의 계층분석적 의사결정, 서울: 동현출판사. 
  35. 한정화.이춘우.김영수(2007). 한국교수.연구원 창업벤처생태계의 특징과 정책적 과제에 관한 탐색적 연구, 중소기업연구, 29(3), 99-117. 
  36. 홍은영.안기돈.김민석(2024). 해양수산과학기술 창업활성화를 위한 기술지주회사 모델 연구,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8(3), 19-41. 
  37. Aczel, J. and Saaty, T. (1983) Procedures for Synthesizing Ratio Judgements, Journal of Mathematical Psychology, 27, 93-102. 
  38. Boyne, G. A.(2002). Public and Private Management: What's The Difference?,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39(1), 97-122. 
  39. Dahl, R. A., & Lindblom, C. E.(1953). Politics, Economics, and Welfar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0. Friedman, J., & Silberman, J.(2003). University Technology Transfer: Do Incentives, Management, and Location Matter?, The Journal of Technology Transfer, 28(1), 17-30. 
  41. Gharakhani, D.(2012). The Evaluation of Supplier Selection Criteria by Fuzzy DEMATEL Method, Journal of Basic and Applied Scientific Research, 2(4), 3215-3224. 
  42. McClelland, D. C.(1985). How Motives, Skills, and Values Determine What People Do, Am Psychol, 40(7), 812-825. doi:10.1037/0003-066X.40.7.812 
  43. Patterson, E. S.(2012). Technology Support of The Handover: Promoting Observability, Flexibility and Efficiency, BMJ Quality & Safety, 21, (Suppl1), i19-i21. 
  44. Platteau, J. P.(1994). Behind the Market Stage Where Real Societies Exist-part I: The Role of Public and Private Order Institutions, The Journal of Development Studies, 30(3), 533-577. 
  45. Rogers, E. M., Takegami, S., & Yin, J.(2001). Lessons Learned about Technology Transfer, Technovation, 21(4), 253-261. 
  46. Saaty, T. L. (1970). How to Make a Decision: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48, 9-26. 
  47. Satty, T.(1985).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 An Outline, Computers & Mathematics with Applications, 11(1-3), 1-4. 
  48. Somsuk, N., & Laosirihongthong, T.(2014). A fuzzy AHP to Prioritize Enabling Factors for Strategic Management of University BusinessIncubators: Resource-based view,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85, 198-210. 
  49. Schumpeter, J.(1942). Capitalism, Socialism and Democracy, New York, Har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