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Determinants of Household Energy Consumption: Focusing on Energy-Saving Characteristics

가구 에너지소비량 결정요인 분석: 에너지절약특성을 중심으로

  • Seung Hun Kim ;
  • Saehim Kim ;
  • Myoung-Hwan Kim ;
  • Mi-Jeong Cho
  • 김승훈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지역개발경영학과 ) ;
  • 김새힘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 ;
  • 김명환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지역개발경영학과) ;
  • 조미정 (한양대학교 부동산융합대학원 )
  • Received : 2024.06.12
  • Accepted : 2024.08.06
  • Published : 2024.09.30

Abstract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persist globally, leading to an increase in extreme weather events, such as floods and droughts. Previous studies have investigated various factors for energy consumption, such as household, residential, economic, and social characteristics. However, the body of research examining energy-saving behavior and perceptions remains limited and underexplored. In particular, significant differences in energy conservation perceptions can be observed among individual household members, even within the same household. To this end, this study explores how household energy consumption is associated with various factors, including household characteristics, housing characteristics, energy-saving behaviors, and seasonal factors. We utilize survey data from the Household Energy Panel, spanning a 24-month period from January 2018 to December 2019, comprising a sample of 5,897 households across 17 cities and provinces nationwid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offer an empirical evidence for household energy-saving policies.

본 연구의 목적은 가구 내 에너지절약행동과 에너지절약인식을 구분하고, 가구특성, 주택 특성, 에너지절약특성, 계절 특성이 가구 에너지소비량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특히 가구 내에서도 가구원마다 에너지절약행동과 에너지절약인식은 차이가 있으며, 가구 에너지절약을 위해서는 에너지절약인식과 에너지소비량의 관계를 규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구 특성 중 가구원 수, 월 소득이 높은 가구, 고령가구, 전세가구는 가구 에너지소비량에 양(+)의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월세가구일수록 음(-)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주택 특성 중 단독주택, 주택규모, 오래된 주택, 이중창문이 없는 주택은 가구 에너지소비량에 양(+)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에너지절약특성 중 에너지소비효율등급을 모르는 경우, 전기요금을 확인하지 않는 경우, 난방설정온도가 높은 경우, 에어컨설정온도가 낮은 경우 양(+)의 영향을 미쳤다.넷째, 봄을 기준으로 여름, 가을, 겨울과 지역 평균기온이 낮은 경우 양(+)의 영향을 미쳤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가 가구 에너지소비량 절약정책 및 가구원들에게 에너지절약행동과 에너지절약인식의 중요성을 알리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광화(1990), "에너지 절약정책", 「석유와 에너지」, 7: 66~70. 
  2. 강영식.마지순(2013), "학부모의 에너지절약 인식 및 행동이 유아의 친환경태도와 환경보전지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4(10): 4819~4829. 
  3. 김건영.성현곤(2015), "우리나라 도로교통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환경쿠즈네츠 곡선 추정", 「교통연구」, 22(2): 1~17. 
  4. 김교민.김동준.이승일(2023), "난방비 변화 시기의 공동주택 난방에너지 사용량 영향요인 분석: 서울시 아파트를 대상으로", 「도시재생」, 9(2): 116~134. 
  5. 김기중.안영수.이승일(2016), "도시구성요소가 도시열과 에너지소비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관계 규명 연구", 「서울도시연구」, 17(1): 125~145. 
  6. 김기중.안영수.이승일(2017), "소득격차를 고려한 조건에서 건물과 도시계획 요소가 건물에너지 소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서울시 8월 전기사용량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52(5): 253~267. 
  7. 김기중.이창효(2019), "건물용도별 냉방에너지 소비량 차이에 관한 연구", 「서울도시연구」, 20(2): 91~103. 
  8. 김만수(2019), "건축물의 물리적 요소와 세대특성을 함께 고려한 주거용 건물의 에너지사용량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9. 김민채(2020.10.28), "20대 에너지 절약하지 않는다 27%에 달해", 에너지시민연대. 
  10. 김지원.곽영훈.허정호(2020), "통계분석을 통한 주거용 건물의 주택유형별 에너지 예측모델 개발",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40(6): 51~60. 
  11. 김지효.심성희(2016), 「정책변화 대응을 위한 에너지수요관리 정책의 법제적 기반 및 정책수단 체계화 연구」,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12. 남수현.강병욱(2020), "가구에너지 상설표본조사를 활용한 2016년 전기요금제 개편 효과분석", 「에너지경제연구」, 21(1): 145~174. 
  13. 노승철.이희연(2013), "가구부문의 에너지 소비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국토계획」, 48(2): 295~312. 
  14. 박준(2016), "도시구조와 탄소배출 간 관계에 대한 소고: 압축도시와 다핵도시 특성을 중심으로", 「부동산학연구」, 20(1): 39~56. 
  15. 배성호(2011), "국내 온실가스 감축 정책", 「에너지공학」, 20(1): 8~12. 
  16. 서울특별시(2020), 「서울시 지역에너지계획 2020~2040」, 서울. 
  17. 에너지경제연구원(2020), 「에너지통계연보」, 울산. 
  18. 유정민.황인창.김정아(2020), "2050 서울시 탄소중립 위한 정책과제". 「서울연구원」, 1~81. 
  19. 이경희.이준기(2021), "부산시 임대아파트 및 분양아파트의 냉난방에너지 소비량 분석", 「토지주택연구」, 12(3): 79~85. 
  20. 이수진.김기중.이승일(2019), "건물과 지역요인을 고려한 서울시 건물에너지 소비 실증분석", 「국토계획」, 54(5): 129~138. 
  21. 이수진.임상현.최윤아.유상오(2021), "IoT를 활용한 에너지절약 시스템 구축",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8(2): 1075~1078. 
  22. 이훈(2021), "이슈리포트 올겨울 전력수요 최대 수준기록 예상 ... 일상 속 에너지 절약 방법은? : 산업부, 상한전망 93.5GW 내외 예상 ... 발전기 정비 최소화 등 전력공급 이상 無_한국동서발전, 일상생활 속 에너지 절약 습관 공유 ... '올겨울 에너지를 부탁해' 캠페인 진행", 「전기저널」, 540: 28~29. 
  23. 임기추(2013), "가정부문 에너지소비자의 라이프스 타일 유형이 에너지절약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에너지공학」, 22(3): 262~269. 
  24. 정이래(2017), "가구 및 주택 특성이 난방에너지 소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5. 정재원.이창효.이승일(2015), "서울시 행정동별 가구의 에너지 소비량에 미치는 요인의 통합적 분석", 「국토계획」, 50(8): 75~94. 
  26. 정창헌.김지영.김태연.이승복(2009), "이중창호 적용을 통한 공동주택 에너지 소비량 저감 성능평가",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5(12): 393~401. 
  27. 조항훈.김흥순(2023), "도시특성이 건축물의 탄소배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 424개 행정동에 대한 공간회귀분석의 적용", 「토지주택연구」, 14(3): 77~92. 
  28. 조항훈.오창호.박예진.신민경.안진영.김흥순(2022), "계절적 요인을 고려한 건물 전기에너지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서울특별시를 대상으로", 「국토지리학회지」, 56(2): 113~124. 
  29. 최문선.남수현(2021), "가구에너지패널조사 개선 현황 및 향후과제", 「에너지포커스」, 18(3): 80~95. 
  30. 한국전력공사(2020), 「한국전력통계」, 나주. 
  31. 홍종호.오형나.이성재(2018), "가구 패널자료를 이용한 가계부문 에너지 소비행태 분석: 1인 가구 및 고령가구를 중심으로", 「자원.환경경제연구」, 27(3): 463~493. 
  32. 환경부(2023), 「환경백서」, 서울. 
  33.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New Jersey: Englewood Cliff, 23~28. 
  34. Barr, S., A. W. Gilg and N. Ford (2005), "The Household Energy Gap: Examining the Divide between Habitual- and Purchase-related Conservation Behaviours", Energy Policy, 33(11): 1425~1444. 
  35. Brounen, D., N. Kok and J. M. Quigley (2012), "Residential Energy Use and Conservation: Economics and Demographics", European Economic Review, 56(5): 931~945. 
  36. Brounen, D., N. Kok and J. M. Quigley (2013), "Energy Literacy, Awareness, and Conservation Behavior of Residential Households", Energy Economics, 39: 42~50. 
  37. Curtis, F. A., P. Simpson-Housley and S. Drever (1984), "Communications on Energy Household Energy Conservation", Energy Policy, 12(4): 452~456. 
  38. Feng, W. and A. Reisner (2011), "Factors Influencing Private and Public Environmental Protection Behaviors: Results from a Survey of Residents in Shaanxi, China",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2(3): 429~436. 
  39. Gaddum, J. (1945), "Lognormal Distributions", Nature, 156: 463~466. 
  40. Gaspar, R. and D. Antunes (2011), "Energy Efficiency and Appliance Purchases in Europe: Consumer Profiles and Choice Determinants", Energy Policy, 39(11): 7335~7346. 
  41. IEA (2010), Energy Efficiency Governance, Paris. 
  42. Jones, R. V. and K. J. Lomas (2015), "Determinant s of High Electrical Energy Demand in UK Homes: Socio-economic and Dwelling Characteristics", Energy and Buildings, 101: 24~34. 
  43. Kang, N. N., H. S. Cho and J. T. Kim (2012), "The Energy-saving Effects of Apartment Residents' Awareness and Behavior", Energy and Buildings, 46, 112~122. 
  44. Linares, P. and X. Labandeira (2010), "Energy Efficiency: Economics and Policy", Journal of Economic Surveys, 24(3): 573~592. 
  45. Ma, G., P. Andrews-Speed and J. Zhang (2013), "Chinese Consumer Attitudes towards Energy Saving: T he Case of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s in Chongqing", Energy Policy, 56: 591~602. 
  46. Pachauri, S. (2004), "An Analysis of Cross-sectional Variations in Total Household Energy Requirements in India Using Micro Survey Data", Energy Policy, 32(15): 1723~1735. 
  47. Peattie, K. (2010), "Green consumption: behavior and norms", Annual Review of Environment and Resources (35): 195~228. 
  48. Rahman, K. A., A. Hariri., A. M. Leman., M. Z. M. Yusof and M. N. M. Najib (2017), "Energy Consumption in Residential Building: The Effect of Appliances and Human Behaviour", AIP Conf. Proc, 1831(1): 020018. 
  49. Santamouris, M., K. Kapsis., D. Korres., I. Livada., C. Pavilu and M. N. Assimakopoulos (2007), "On the Relation between the Energy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ial Sector", Energy and Buildings, 39(8): 893~905. 
  50. Schipper, L., S. Bartlett., D. Hawk and E. Vine (1989), "Linking Life-styles and Energy Use: A Matter of Time?", Annual Review of Energy, 4: 273~320. 
  51. Steemers, K. (2003), "Energy and the City: Density, Buildings and Transport", Energy and Buildings, 35(1): 3~14. 
  52. Steemers, K. and G. Y. Yun (2009), "Household Energy Consumption: A Study of the Role of Occupants", Building Research & Information, 37(5-6): 625~637. 
  53. Steg, L. (2008), "Promoting Household Energy Conservation", Energy Policy, 36(12): 4449~4453. 
  54. Sutterlin, B., T. A. Brunner and M. Siegrist (2011), "Who Puts the Most Energy into Energy Conservation? A Segmentation of Energy Consumers based on Energy-related Behavioral Characteristics", Energy Policy, 39(12): 8137~8152. 
  55. Thogersen, J. (2017), "Housing-related Lifestyle and Energy Saving: A Multi-level Approach", Energy Policy, 102: 73~87. 
  56. Trotta, G. (2018), "Factors Affecting Energy-saving Behaviours and Energy Efficiency Investments in British Households", Energy Policy, 114: 529~539. 
  57. Valenzuela, C., A. Valencia., S. White., J. A. Jordan., S. Cano., J. Keating., J. Nagorski and L. B. Potter (2014), "An Analysis of Monthly Household Energy Consumption Among Single-family Residences in Texas", Energy Policy, 69: 263~272. 
  58. Wang, B., Z. Yuan., X. Liu., Y. Sun., B. Zhang and Z. Wang (2021), "Electricity Price and Habits: Which Would Affect Household Electricity Consumption?", Energy and Buildings, 240: 110888. 
  59. Wang, Y., L. Hou., L. Hu., W. Cai., L. Wang., C. Dai and J. Chen (2023), "How Family Structure Type Affects Household Energy Consumption: A Heterogeneous Study based on Chinese Household Evidence", Energy, 284: 129~313. 
  60. Zhou, S. and F. Teng (2013), "Estimation of Urban Residential Electricity Demand in China Using House Hold Survey Data", Energy Policy, 61: 394~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