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Sustainable Operation of Community Facilities in Urban Regeneration

도시재생 공동이용시설의 지속적인 운영을 위한 평가지표 제안

  • Jung-Eun Lee ;
  • Soung-Eun Park ;
  • Yunmi Park
  • 이정은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 박성은 (주택도시보증공사 ) ;
  • 박윤미 (서울대학교 건설환경종합연구소,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Received : 2024.03.18
  • Accepted : 2024.08.28
  • Published : 2024.09.30

Abstract

Over the past decad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have been actively promoted nationwide in South Korea, leading to the establishment of numerous community facilities aimed at fostering community engagement and revitalization. Recently, the need for diagnostic tools to provide appropriate support and guidance for the sustainable operation of these facilities has been increasingly emphasized. However, a comprehensive manual or nationwide standard approach remains lacking. As such, this study aims to propose evaluation criteria and their application methods for the periodic operational assessment of those facilities. First,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candidate indicators were identified. After that, preliminary indicators and frameworks were determined through expert consultations, followed by surveys conducted with 65 experts to finalize the evaluation indicators. The survey result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Value Creation (VC)' and 'Operation Management (OM)' as key aspects of facility evaluation. In assessing VC, key factors include enhancing community vitality, strengthening local capacity, providing tailored functions for the community, and contributing to the local economy. In constructing OM, the focus lies on operational system, financial management, operational personnel, and economic viability and sustainability. This study proposes an evaluation framework that includes the final evaluation indicators and available data sources for each indicator, and a pilot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its applicability. Moreover, the study suggests directions for utilizing the evaluation criteria and methods for applying indicators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facilities.

지난 10년간 전국적으로 도시재생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며 지역 및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공동이용시설도 대거 조성되었다. 최근 들어 공동이용시설의 지속적인 운영에 적절한 도움과 처방을 제공하기 위한 진단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되고 있는데, 이를 위한 매뉴얼이나 전국적으로 통용할 만한 큰 방향은 여전히 부재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공동이용시설의 주기적인 운영 진단에 활용할 수 있는 평가지표와 지표 활용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국내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공동이용시설의 가치와 방향을 정립하고, 국내외 선행연구 및 타 공공시설 운영관리 문헌을 종합하여 후보지표를 마련하였다. 이후 간단한 전문가 자문을 통해 예비지표 및 지표체계를 결정한 후 다수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최종적인 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설문 결과, 시설 운영을 통한 '가치창출'과 실질적인 '운영관리' 점검이 진단의 중요한 두 핵심으로 여겨졌고, '가치창출' 안에서는 지역공동체 활력 증대, 지역 역량 강화, 지역 맞춤 기능 제공, 지역경제 기여, '운영관리' 안에서는 운영체계, 회계관리, 운영인력, 경제성 및 지속성이 주요 평가 항목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최종 결정된 평가지표와 지표별 구득 가능 자료원을 포함한 진단기준안을 제안 후 활용성 검증을 위한 시범 진단도 진행하였다. 또한, 연구는 진단기준안의 활용 방향과 함께 본 연구의 방법을 활용하여 시설별 특성에 맞는 지표를 적용하는 방안도 제안하고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서울대학교 융·복합 연구과제 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References

  1. 강현철.송영현.박진호(2021), "도시재생거점시설의 장소성 특성 연구: 화성시 송산면 도시재생뉴딜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지적정보학회지」, 23(1): 73~86. 
  2. 김륜희.이종근.이삼수(2015), "도시재생사업의 모니터링 및 평가방안 연구: 선도지역을 사례로", 「LHI Journal」, 6(1): 1~9. 
  3. 김원.배웅규(2021), "주민공동이용시설의 조성 실태 및 운영 특성 분석에 따른 지속운영과제 도출 연구: 서울시 관리형 주거환경개선사업구역 주민공동이용시설 27개소를 대상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도시설계」, 22(6): 97~112. 
  4. 김윤소.유재우(2021a), "도시재생뉴딜사업 수익형 공동이용시설 활성화 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37(8): 83~92. 
  5. 김윤소.유재우(2021b). "도시재생 수익형 공동이용시설 운영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기업 참여요인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37(12): 107~117. 
  6. 김일영.신중진(2018), "주민공동이용시설이 주민역량강화에 미친 영향", 「한국도시설계학회지 도시설계」, 19(1): 83~100. 
  7. 문화체육관광부(2023.8.8), "도서관법" 제4조제2항제1호가목. 
  8.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2), Small Library Operations Assessment and Consulting Support Study, Sejong. (in Korean) 
  9. 박동선.이영은.김호창(2018), "LH형 도시재생사업 진단 지표 및 체크리스트 개발", 「LHI Journal」, 9(2): 1~7. 
  10. 박미규.조진희.윤두원.황희연(2015), "커뮤니티시설의 이용만족도가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관계 분석", 「주거환경」, 13(3): 149~164. 
  11. 박성은(2020), "도시재생 거점시설 운영진단을 통한 효율적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부산시 거점시설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55(3): 5~16. 
  12. 박재라(2021), "도시재생사업의 주민주도 운영 앵커시설에 관한 이용자 인식 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13. 배웅규.박태규(2019), "주민공동체운영회 회계현황으로 본 주거환경관리사업 주민공동이용시설 운영방향 연구", 「도시설계」, 20(1): 73~89. 
  1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2016), Health and Wellness Support Center Operational Manual, Sejong. (in Korean) 
  1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3), 2003 Social Welfare Facility Evaluation and Indicator Development, Sejong. (in Korean) 
  16. 서광영.박진아(2018), "도시재생 붐업사업으로서 거점시설 조성 전.후 지역이미지 변화 및 시설 효과 분석", 「서울도시연구」, 19(2): 1~19. 
  17. 유지수.이재우(2019), "도시재생 거점시설 조성효과에 대한 방문특성별 인식분석: 전주도시혁신센터를 중심으로", 「부동산경영」, 20: 319~348. 
  18. 윤병훈.성순아.이삼수(2023), "공간 빅데이터 기반의 도시재생사업 성과 평가기법 개발", 「지역연구」, 39(1): 21~36. 
  19. 이석현.조문경(2021), "앵커시설의 지역 커뮤니티를 위한 거점공간 활성화 사례: 성내 2동 도시재생 사업 중심으로", 「도시디자인저널」, 3(1): 21~27. 
  20. 이재희.김혜림.김남훈(2022), "도시재생사업 성과 분석 및 스마트도시재생 평가지표 연구: 경남 창원시.진주시.남해군 사업지구를 중심으로", 「주거환경」, 20(4): 53~69. 
  21. 이정은.박윤미(2021), "도시재생계획 수립을 위한 도시쇠퇴진단 고찰: 정책 및 학술연구와 도시재생전략계획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도시설계」, 22(4): 35~54. 
  22. 이정은.박윤미.김민주(2023), "한국형 축소도시의 정의와 진단: 축소도시, 쇠퇴도시, 지방소멸 관련 문헌 고찰을 중심으로", 「국토연구」, 119: 3~29. 
  23. 이정은.이숙진.박윤미(2020), "도시재생 연구의 사례지 동향 그리고 향후 연구 방향: 도시재생 뉴딜사업 현황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2(5): 25~48. 
  24. 이지숙(2008),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도심재생에의 주민참여수법에 관한 고찰", 「한국생활과학회지」, 17(3): 533~540. 
  25. 임상연.이삼수.박현정.김선덕.정진호.황지수.이희정(2021), "도시재생사업 평가와 모니터링", 「도시정보」, (466): 5~16. 
  26. 장문기(2019),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사업을 위한 생활거점시설 활성화 방안 연구", 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27. 장민영.서수정.임보영.변은주(2021), 「근린재생 활성화를 위한 거점시설 운영방안」, 세종: 건축공간연구원. 
  28. 전수빈.이지혜.김정빈(2019), "도시재생 거점시설 운영 방법으로서 민간위탁 제도에 관한 연구: '잘생겼다 서울'의 민간위탁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도시정책연구」, 10(2): 5~23. 
  29. Korea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gency (2016), Operating Manual for Social Enterprise Growth Support Centers, Gyeonggi-Do. (in Korean) 
  30. 허순영.장덕준.신재경(2008), "조사연구에서 순위 절차를 이용한 항목순위결정에 관한 연구", 「조사연구」, 9(2): 29~49. 
  31. City of Richmond Planning and Building Services Department (2012), Richmond General Plan 2030, California. 
  32. Cultural Services (2008), Self-Assessment Checklist, Vancouver. 
  33. Department of Planning and Community Development (2010), A Guide to Governing Shared Community Facilities, Melbourne. 
  34. Fowler, F. J. (1995), Improving Survey Questions: Design and Evaluation, California: Sage. 
  35. Lee, J. E., Y. Park and G. D. Newman (2023), "Twenty Years of Research on Shrinking Cities: A Focus on Keywords and Authors", Landscape Research, 48(7): 884~899. 
  36. Province of Manitoba (2012), Municipal and Regional Public Library: Standards and Guidelines, Manitoba. 
  37. South Cambridgeshire District Council (2009), Community Facilities Assessment: A Final Report, South Cambridgeshire District. 
  38. Sport New Zealand and New Zealand Recreation Association (2015), Facility Management Manual, Wellington. 
  39. 국토교통부.주택도시보증공사, "도시재생종합정보체계", 2024.8.24 읽음. https://www.city.go.kr/. 
  40. 우인섭(2023.4.10), "경상남도, 상반기 도시재생 공동이용시설 실태점검 실시", 함양신문, 2023.11.8 읽음. http://m.hynews.co.kr/view.php?idx=69518. 
  41. 이승재(2022.7.6), "세종시 도시재생사업 들여다보니... 흉물 전락 우려", 경인매일, 2023.11.8 읽음. https://www.k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357363. 
  42. 장진복.이하영(2022.6.16), "[단독]도시재생 거점시설도 직영으로...오세훈 '서울시 바로세우기' 속도", 서울신문, 2023.11.8 읽음. https://www.seoul.co.kr/news/society/2022/06/16/20220616500139. 
  43. 정완영(2023. 9. 19), "읍면지역 주민공동이용시설 어떻게 활용할까", 충청신문, 2024.1.21 읽음. https://www.dailycc.net/news/articleView.html?idxno=756307. 
  44. 최원태(2023.10.15), "경남도 도시재생 공동이용시설 실태점검 실시", 경남도민신문, 2024.1.21 읽음. http://www.gn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368929. 
  45. 허의원(2021.7.28), "경남도, 도시재생 공동이용시설 종합진단", 대한경제., 2023.11.8 읽음. https://www.dnews.co.kr/uhtml/view.jsp?idxno=20210728110127139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