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공공앱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공공성과 기술준비수용모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tention to Use of Public Application: Focused on Publicness and Technology Readiness Acceptance Model(TRAM)

  • 박태환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
  • 오세환 (경북대학교 경영학부)
  • Tae Hwan Park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
  • Se Hwan Oh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23.12.27
  • 심사 : 2024.03.07
  • 발행 : 2024.05.31

초록

디지털 환경이 모바일 중심으로 전환됨에 따라 시민의 공공서비스 접근성 향상을 위해 중앙부처,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을 중심으로 공공앱이 개발·확산되고 있으며, 정부의 디지털플랫폼정부 구현 추진에 따라 디지털 기반의 다양한 정부서비스가 새롭게 제공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사용자의 개인적 특성과 기술적 특성을 포괄하는 기술준비수용모델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개인별 특성과 기술수용 양상이 공공앱 사용의도와 어떤 관계를 가지는지 검증하였으며, 공공성(Publicness)의 조작적 정의를 제시하고 공공앱의 유용성과 사용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기술준비도의 낙관성, 혁신성(활성요인)은 유용성과 이용 용이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술준비도의 불안감은 유용성과 이용 용이성에, 불편함(저해요인)은 이용 용이성에 유의한 영향을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불편함은 이용 용이성에 부(-)의 유의한 영향을 가졌다. 유용성과 이용 용이성은 사용의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공성은 유용성과 사용의도에 대해 정(+)의 유의한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디지털플랫폼정부 등 모바일 기반의 공공서비스가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사용자의 수용의도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제언과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rapid increase in smartphone ownership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service delivery in the mobile environment. Accordingly, the public sector is allocating budget and effort towards providing services through mobile applications. While some have recorded high download numbers, contributing to the proliferation of public services, issues such as low user engagement and budgetary concerns have simultaneously been raised. This study aims to analyz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use public apps with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the Technology Readiness Acceptance Model (TRAM) to enhance users' acceptance of public apps. Previous research has primarily focused on system characteristics, but this study constructs the model with a significant consideration for user characteristics. Additionally, through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publicness, which has been lacking in existing research, the study integrates this aspect into the model. Ultimately, this research provides insights into the factors influencing users' intention to use public apps and suggests approaches to enhance usage intention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a Digital Platform Govern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2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2022
  2. 곽기영, "조직변화에 대한 태도와 정보시스템 수용", 경영학연구, 제34권, 제5호, 2005, pp. 1281-1300.
  3. 권현정, 홍경준, "공공성이 노인장기요양시설의 서비스 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사회복지학, 제67권, 제3호, 2015, pp. 253-280.
  4. 금현수, 주지혁, "유권자의 기술준비도와 정치심리변인이 모바일 투표의도에 미치는 영향: 세대 간 비교를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30권, 제4호, 2013, pp. 169-217.
  5. 김규미, 김남조, "기술기반 셀프서비스(TBSS)에 대한 외식소비자의 이용태도 및 이용의도 분석: 기술준비수용모형(TRAM 모형)을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제34권, 제3호, 2019, pp. 237-257.
  6. 김대욱, 윤영근, "지방자치단체 스마트서비스 실태와 개선방안: 공공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기본연구과제, 2015, pp. 1-119.
  7. 김란영, 김광용, "공공앱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제2015권, 제1호, 2015, pp. 355-358
  8. 김민정, 이수범, "외식 배달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이용자의 지각된 혜택 및 희생이 지각된 가치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가치기반수용모델(VAM)을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제32권, 제2호, 2018, pp. 217-233.
  9. 김은영, 이정훈, 서동욱, "빅데이터 시스템의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수용조직의 환경요인에 관한 연구",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제20권, 제4호, 2013, pp. 1-18.
  10. 김지수, 심준섭, "공공앱의 사용자 리뷰에 대한 분석: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제22권, 제2호, 2013, pp. 65-90.
  11. 김진경, 기술준비수용모델을 적용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별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2013.
  12. 김판석, 정성호, "공공부문의 심리적 계약 강화: 인사 혁신의 새로운 대안", 한국인사행정학회보, 제11권, 제2호, 2012, pp.75-101.
  13. 나정, 기술준비수용모델을 적용한 호텔 서비스 로봇의 지속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2021.
  14. 나지영, 위민영, "VR 게임 이용 의도에 관한 연구: 기술 수용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게임학회논문지, 제19권, 제3호, 2019, pp. 53-64.
  15. 남찬섭, "공공성 개념의 구조와 사회서비스 공공성 논의의 내용",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23권, 제1호, 2021, pp. 33-63.
  16. 문천수, 신용호, "기술준비도와 상황적 영향이 셀프서비스기술 태도 및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제25호, 제2호, 2016, pp. 93-100.
  17. 박선경, 강윤지, "기술수용모델을 활용한 메타버스 플랫폼 초기 이용자들의 이용 의도에 관한 연구",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제19권, 제10호, 2021, pp. 275-285.
  18. 박종철, "지방정부 모바일 앱의 운영현황과 정책제언", 정책개발연구, 제18권, 제1호, 2018, pp. 195-222.
  19. 박통희, 신효원, "공공성 개념의 근대적 구성 요소와 동태적 모형: 복합적 가치의 개방체계적 관점", 행정논총, 제58권, 제3호, 2020, pp. 93-124.
  20. 백상용, "조절변수 탐색을 위한 기술수용모형 메타분석", 경영학연구, 제38권, 제5호, 2009, pp. 1353-1380.
  21. 백상용, "한국 TAM 실증연구의 동일방법편의 분석", 정보시스템연구, 제21권, 제1호, 2012, pp. 1-17.
  22. 백완기, "한국행정과 공공성",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18권, 제2호, 2007, pp. 1-22.
  23. 변대호, 정동섭, "생활물류 스타트업의 모바일 앱 사용성 평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2호, 2021, pp. 35-48.
  24. 서이종, "정보화의 공공목표로서 "보편적서비스(universal service" 개념과 그 문제점", 한국사회과학, 제20권, 제2호, 1998, pp. 146-156.
  25. 석재은, "장기요양서비스의 공공성 강화를 위한 규제의 합리화 방안 연구", 보건사회연구, 제37권, 제2호, 2017, pp. 423-451.
  26. 손승혜, 최윤정, 황하성, "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한 초기 이용자들의 스마트폰 채택 행동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5권, 제2호, 2011, pp. 227-251.
  27. 안운석, "기술준비도 수용모형에 기반한 SNS 지속적 이용에 관한 연구", 서비스경영학회지, 제17권, 제1호, 2016, pp. 257-280.
  28. 양성욱, "사회서비스의 공공성과 공공 가치 실현의 실재: 사회서비스 바우처 제공기관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8권, 제3호, 2016, pp. 177-208.
  29. 오종철, "전자정부 셀프서비스 테크놀로지(SST) 수용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연구, 제13권, 제1호, 2012, pp. 441-462.
  30. 오종철, "합리적 행위이론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구매의도 연구", 기업경영연구, 제18권, 제4호, 2011, pp. 141-163.
  31. 유재현, 박철, "기술수용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 연구에 대한 종합적 고찰",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제9권, 제2호, 2010, pp. 31-50.
  32. 윤성원, 수요자 중심 공공정책을 위한 공공서비스디자인 모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2015.
  33. 윤수진, 공연 관람객의 모바일 티켓 사용 의도에 대한 연구: 기술준비수용모델을 활용하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2020.
  34. 이만, 김맹호, "스마트 홈(Smart Home)앱 디자인의 사용성 평가를 위한 평가지표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5호, 2019, pp. 249-258.
  35. 이수인, 김상현, "정보기술성공 모형 기반의 공공앱 성과에 대한 실증분석: 공공웹 서비스 품질과 공공가치의 조절효과", 정보시스템연구, 제32권, 제1호, 2023, pp. 147-178.
  36. 이수인, 정보기술성공 모형 기반의 공공앱 성과에 대한 실증분석: 공공웹 서비스품질과 공공가치의 조절효과 (박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2021
  37. 이지은, 신민수,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뱅킹 채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기술준비도와 전문지식을 중심으로", 한국전자거래학회지, 제16권, 제4호, 2011, pp. 155-172.
  38. 이한신, 김판수, "소비자의 기술수용과 저항이 인공지능(AI)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제48권, 제5호, 2019, pp. 1195-1219.
  39. 임세헌, 유현미, "디지털플랫폼정부 서비스 이용에 있어 친숙성은 이용성과를 개선시킬까?", 상품학연구, 제41권, 제5호, 2023, pp. 35-41.
  40. 장한진, 노기영, "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한 초기이용자들의 가상현실기기 채택 행동 연구",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제15권, 제5호, 2017, pp. 353-361.
  41. 정용찬, "스마트폰, 세대별 TV 대체 속도", KISDI STAT Report, 제22권, 2022, pp. 1-9.
  42. 최연태, 권경환, 김주현, "모바일 전자정부 이용자 특성 분석: 공공앱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제19권, 제4호, 2016, pp. 63-92.
  43. 최자은, 유동호, 조승아, "관광객의 나이와 위험지각에 따른 기술준비도 차이가 모바일 관광 앱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제26권, 제4호, 2014, pp. 387-405.
  44. 한상린, 박수민, "기술준비도가 Self-Service Technology의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제8권, 제2호, 2009, pp. 51-63.
  45. 홍성태, 한상린, 강수영, 김효진, "개인의 기술준비도가 소셜커머스 내 제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 제품 관여도와 브랜드 시장지위의 조절적 역할", 소비자학연구, 제23권, 제2호, 2012, pp. 1-18.
  46. 홍지섭, "행정이 창출하는 공공 가치의 측정 및 구조에 관한 연구", 제도와 경제, 제15권, 제3호, 2021, pp. 89-132.
  47. Alkhaldi, A., H. Alrashidi, K. Alhasan, A. Alsadeeqi, and A. Alshami, "The use of blockchain technology to build smart cities: Creating public value in Kuwait", Global Knowledge, Memory and Communication, 2023
  48. Bettman, J. R. and P. Kakkar, "Effects of information presentation format on consumer information acquisition strategie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3, No.4, 1977, pp. 233-240.
  49. Chiu, W. and H. Cho, "The role of technology readiness in individuals' intention to use health and fitness applications: A comparison between users and non-users", Asia Pacific Journal of Marketing and Logistics, Vol.33, No.3, 2021, pp. 807-825.
  50. Chohan, S. R., G. Hu, A. U. Khan, A. T. Pasha, F. Saleem, and M. A. Sheikh, "IoT as societal transformer: Improving citizens' continuous usage intention in digital society through perceived public value", Library Hi Tech., Vol.41, No.4, 2023, pp. 1214-1237.
  51.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Academic press, 2013.
  52. Compernolle, M. V., R. Buyle, E. Mannens, Z. Vanlishout, E. Vlassenroot, and P. Mechant, "Technology readiness and acceptance model as a predictor for the use intention of data standards in smart cities", Media and Communication, Vol.6, No.4, 2018, pp. 127-139.
  53. Davis, F. D., R. P. Bagozzi, and P. R. Warshaw, "User acceptance of computer technology: A comparison of two theoretical models", Management Science, Vol.35, No.8, 1989, pp.982-1003.
  54. Deng, H., K. Karunasena, and W. Xu,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e-government in developing countries: A public value perspective", Internet Research, Vol.28, No.1, 2018, pp. 169-190.
  55. Fishbein, M. and I. Ajzen,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Philosophy and Rhetoric, Vol.10, No.2, 1977, pp. 130-132
  56. Fornell, C. and D. F. Larcker,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8, No.1, 1981, pp. 39-50.
  57. Gist, M. E. and T. R. Mitchell, "Self-efficacy: A theoretical analysis of its determinants and malleabilit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7, No.2, 1992, pp. 183-211.
  58. Golubeva, A. A., "Evaluation of regional government portals on the basis of public value concept: Case study from Russian federation", Proceedings of the 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ory and Practice of Electronic Governance, 2007, pp. 394-397
  59. Hair, J., J. F. Hair, G. T. M. Hult, C. M. Ringle, and M. Sarstedt, A primer on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LS-SEM), Sage publications, 2021.
  60. Haque, M. S., "The diminishing publicness of public service under the current mode of governance",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61, No.1, 2001, pp. 65-82.
  61. Jeong, H., J. Suh, J. Park, and H. Jung, "Digital government application: A case study of the korean civil documents using blockchain-based resource management model",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32, No.4, 2022, pp. 830-856.
  62. Jorgensen, T. B. and B. Bozeman, "Public values: An inventory", Administration & Society, Vol.39, No.3, 2007, pp. 354-381.
  63. Kang, H., M. Hahn, D. R. Fortin, Y. J. Hyun, and Y. Eom, "Effects of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on the consumer usage intention of e-coupons", Psychology & Marketing, Vol.23, No.10, 2006, pp. 841-864.
  64. Karunasena, K., H. Deng, and M. Singh, "Measuring the public value of e-government: A case study from Sri Lanka", Transforming Government: People, Process and Policy, Vol.5, No.1, 2011, pp. 81-99.
  65. Kearns, I., Public value and e-government, London: Institute for Public Policy Research, 2004.
  66. Kelly, G., G. Mulgan, and S. Muers, Creating public value, London, Cabinet Office, 2002.
  67. Lean, O. K., S. Zailani, T. Ramayah, and Y. Fernando,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 to use e-government services among citizens in Malaysia",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Vol.29, No.6, 2009, pp. 458-475.
  68. Lee, W. I., "What affects consumers' Attitude and Usage Intention of O2O Apps?: Integration of TAM, TPB, and transaction cost theory",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33, No.2, 2023, pp. 298-317.
  69. Leso, B. H. and M. N. Cortimiglia, "The influence of user involvement in information system adoption: An extension of TAM", Cognition, Technology & Work, Vol.24, No.2, 2022, pp. 1-17.
  70. Li, Y. and H. Shang, "Service quality, perceived value, and citizens' continuous-use intention regarding e-government: Empirical evidence from China", Information & Management, Vol.57, No.3, 2020, 103197.
  71. Lin, C. H., H. Y. Shih, and P. J. Sher, "Integrating technology readiness into technology acceptance: The TRAM model", Psychology & Marketing, Vol.24, No.7, 2007, pp. 641-657.
  72. Matheus, R., R. Faber, E. Ismagilova, and M. Janssen, "Digital transparency and the usefulness for open govern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Vol.73, 2023, 102690.
  73. Mensah, I. K., G. Zeng, and D. S. Mwakapesa, "Understanding the drivers of the public value of e-government: Validation of a public value e-government adoption model", Frontiers in Psychology, Vol.13, 2022, 962615.
  74. Parasuraman, A. and C. L. Colby, "An updated and streamlined technology readiness index: TRI 2.0", Journal of Service Research, Vol.18, No.1, 2015, pp. 59-74.
  75. Parasuraman, A., "Technology Readiness Index (TRI) a multiple-item scale to measure readiness to embrace new technologies", Journal of Service Research, Vol.2, No.4, 2000, pp. 307-320.
  76. Pham, L., Y. B. Limbu, M. T. T. Le, and N. L. Nguyen, "E-government service quality, perceived value, satisfaction, and loyalty: Evidence from a newly emerging country", Journal of Public Policy, Vol.43, No.4, 2023, pp. 1-22.
  77. Podsakoff, P. M., S. B. MacKenzie, J.-Y. Lee, and N. P. Podsakoff, "Common method biases in behavioral research: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commended remedi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8, No.5, 2003, pp. 879-903.
  78. Scott, M., W. DeLone, and W. Golden, "Measuring eGovernment success: A public value approach", European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25, 2016, pp. 187-208.
  79. Seltsikas, P. and R. M. O'keefe, "Expectations and outcomes in electronic identity management: The role of trust and public value", European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19, No.1, 2010, pp. 93-103.
  80. Sharp, E. B., Urban politics and administration: From service delivery to economic development, Addison-Wesley Longman Limited, 1990.
  81. Twizeyimana, J. D. and A. Andersson, "The public value of E-Government: A literature review",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Vol.36, No.2, 2019, pp. 167-178.
  82. Venkatesh, V. and F. D. Davis, "A model of the antecedents of perceived ease of use: Development and test", Decision Sciences, Vol.27, No.3, 1996, pp. 451-481.
  83. Wetzels, M., G. Odekerken-Schroder, and C. Van Oppen, "Using PLS path modeling for assessing hierarchical construct models: Guidelines and empirical illustration", MIS Quarterly, Vol.33, No.1, 2009, pp. 177-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