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Industry Demand-driven Employee Education Programs: Focusing on the Case of Bio-Healthcare Data Analysis Expert Training Courses

산업체 수요기반 맞춤형 임직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바이오·헬스케어 데이터분석 전문가 양성과정 사례를 중심으로

  • Hyungjin Lukas Kim (Department of Future and Convergence Business Administration, Myongji University) ;
  • Jinyoung Han (College of General Education, Chung-Ang University)
  • 김형진 (명지대학교 미래융합경영학과) ;
  • 한진영 (중앙대학교 교양대학)
  • Received : 2024.02.07
  • Accepted : 2024.02.21
  • Published : 2024.02.29

Abstract

Korea faces challenges in securing technical talent due to low birth rates and an aging population. To bridge labor market gaps, tailored education programs through universities are crucial. Although Program for Industrial needs-Matched Education (PRIME) encouraged developing industrial-university education courses, a few universities have the opportunities and the courses development is often depending on capability of a professor. Furthermore, administrative issues hinder progress. This study proposes streamlining administrative processes and leveraging technology to meet industry demands. Active collaboration between academia and industry can enhance education and benefit both employees and students.

한국은 현재 저출생과 고령화로 인해 지속적으로 고급 기술 인력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노동시장의 수요-공급 불일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학을 통해 산업체의 요구에 맞춘 교육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사업(PRIME: PRogram for Industrial needs-Matched Education) 등을 통해 산학협력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으나 특정 대학이나 교수자 개인의 역량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행정 프로세스의 중복 및 비체계적인 절차 등이 이를 어렵게 만드는 요소로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체 수요에 기반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사례를 분석하여 대학과 산업체 간의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산학협력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특히,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기업이 필요로 하는 분야의 전문 교수를 찾는 방법을 제시하여 기업의 교육수요를 충족시키고 산학협력을 강화할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 교육 수혜자(산업체 직원 및 대학 재학생 등)가 받는 혜택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결과물은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재원으로 지원을 받아 수행된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융합대학사업의 연구결과입니다.

References

  1. 강현미, 권혁, "사회맞춤형학과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뷰티 화장품 융합트랙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제11권, 제1호, 2020, pp. 29-44. https://doi.org/10.22143/HSS21.11.1.3
  2. 고경임,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3권, 제8호, 2015, pp. 69-82. https://doi.org/10.14400/JDC.2015.13.8.69
  3. 고상연, "박태승, 황준성,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교육과정개발에 관한 연구: 인덕대학교 세무회계과 사례를 중심으로", 상업교육연구, 제28권, 제5호, 2014, pp. 43-67.
  4. 문용호,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한 전문대학 회계학 교육과정 개편에 관한 연구", 상업교육연구, 제28권, 제4호, pp. 31-47.
  5. 손승표, "산학협력 교육과정 개선체계에 관한 메타 연구 - 산업체 관점을 중심으로", 무역금융보험연구, 제22권, 제2호, 2021, pp. 99-110.
  6. 송계의, "물류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대학교육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물류학회지, 제12권, 제2호, 2003, pp. 181-200.
  7. 양영근, 정원희, "NCS 직업기초능력과 산업체 교양교육 수요를 반영한 교양교육과정 개편 연구", 교양교육연구, 제9권, 제2호, pp. 36-65.
  8. 윤명희, 김진화, 김현희, 박성실, "대학의 산학 협동 인턴십 프로그램 평가", 직업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2006, pp. 183-206.
  9. 이원주, 김두현, 김상일, 김한성, "A Study on the Standard AI Developer Job Training Track Based on Industry Demand",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제27권, 제3호, 2022, pp. 251-258. https://doi.org/10.9708/JKSCI.2022.27.03.251
  10. 이지혜, "VR/AR 전문 인력양성방안 연구 -국내 산업정책 현황 분석과 해외사례분석을 통한 비교분석",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27권, 제1호, 2021, pp. 340-248.
  11. 장후은, 허선영, 이종호, "대학의 현장실습 운영 실태 및 정책 과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8권, 제2호, pp. 493-500. https://doi.org/10.5762/KAIS.2017.18.2.493
  12. 주영효, 김상철, "산업연계 교육 활성화 선도 대학(PRIME) 사업의 정성적 성과 분석", 敎育問題硏究, 제34권, 제1호, pp. 149-176.
  13. Bock, G. W., J. H. Kim, H. Y. Shuo, and J. M. Lee, "Effectiveness of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s in teaching as a supplement to classroom teaching: A study from perspective of lecturers in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22, No.1, 2012, pp. 1-27.
  14. MacDonald, C. J., E. J. Stodel, L. G. Farres, K. Breithaupt, and M. A. Gabriel, "The demand-driven learning model: A framework for web-based learning", 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Vol.4, No.1, 2001, pp. 9-30. https://doi.org/10.1016/S1096-7516(01)00045-8
  15. Megahed, N., S. Yakout, T. Darwish, and K. Wahba, "Learning trends, strategies and considerations: An evaluation of the hyprid e-learning practice at the regional it institute using demand-driven learning model",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Education, Vol.20, No.2, 2021, pp. 10-41. https://doi.org/10.21608/ijie.2021.183392
  16. Nandakishore, K. N., V. Sridhar, and T. K. Srikanth, "Key quality of service attributes of digital platforms",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30, No.1, 2020, pp. 94-119. https://doi.org/10.14329/apjis.2020.30.1.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