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uggestions for Establishing Directions for Data Literacy Education: Focused on the CO-DATA Station Hackathon Case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 방향성 수립을 위한 제언: CO-DATA Station 해커톤 사례를 중심으로

  • Hyungjin Lukas Kim (Department of Future and Convergence Business Administration, Myongji University)
  • 김형진 (명지대학교 미래융합경영학과)
  • Received : 2024.02.12
  • Accepted : 2024.02.21
  • Published : 2024.02.29

Abstract

The necessity of informatization triggered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led to significant educational investments and social expenditures in related technologies over the past decade. However, despite this, the levels of literacy in the field of informatization among adults and adolescents in Korea are below the OECD average. This is due to a bias towards education in analysis tools such as Python, rather than a comprehensive competency related to data literacy. This study aim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and propose directions for data-related education. To this end, we present the necessary conditions (criteria) for data literacy education based on excellent overseas cases and derive suggestions for educational directions by analyzing the case of the CO-DATA Station data literacy hackathon competition organized by the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Convergence and Open Sharing System) project.

4차 산업혁명으로 촉발된 정보화에 대한 필요성으로 지난 10년간 관련 기술에 대한 교육적 투자와 사회적 지출이 상당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성인과 청소년의 정보화 분야의 리터러시 수준은 OECD 평균을 밑돌고 있으며, 이는 데이터와 관련된 종합적 역량인 데이터 리터러시(Data Literacy)와 관련된 교육이 Python 등의 분석 도구 교육에 편중되었기 때문에 발생한 결과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데이터 관련 교육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해외의 우수 사례를 바탕으로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에 필요한 조건(기준)들을 제시하였으며, 한국연구재단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Convergence and Open Sharing System) 사업에서 주최한 데이터 리터러시 해커톤대회 CO-DATA Station의 사례를 분석하여 교육적 방향에 대한 제언을 도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주섭, 김선태, "데이터 리터러시 역량 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연구데이터 관리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57권, 제1호, 2023, pp. 115-137.
  2. 김혜영, "21세기 핵심 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교양기초교육으로서의 데이터 리터러시(Data Literacy) 분석", 교양교육연구, 제14권, 제6호), 2020, pp. 147-159.
  3. 박영주, 박진희, "프로젝트 학습에서의 대학생 경험에 대한 관찰연구", 교양교육연구, 제17권, 제1호, 2023, pp. 227-243.
  4. 배화순, "데이터 리터러시의 사회과 교육적 함의", 시민교육연구, 제51권, 제1호, 2019, pp. 95-120.
  5. 최병문, 김혜영, 박희문, 배영희, 안현효, 조연정, "모든 학생을 위한 양적추론(Quantitative Reasoning) 프로그램 개발 방안 연구(1차 연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교양기초교육원, 2021.
  6. 한미영, 정대홍, 김현정, "데이터 기반 과학탐구 사례 연구", 현장과학교육, 제16권, 제2호, 2022, pp. 165-178.
  7. Carlson, J., M. Fosmire, C. C. Miller, and M. S. Nelson, "Determining data information literacy needs: A study of students and research faculty", Portal: Libraries and the Academy, Vol.11, No.2, 2011, pp. 629-657.
  8. Christopher, R. W., "Quantitative reasoning across a college curriculum", College Teaching, Vol.41, No.1, 1993, pp. 3-9.
  9. D'Ignazio, C. and R. Bhargava, Approaches to building big data literacy, Bloomberg data for good exchange, 2015.
  10. Mandinach, E. B. and E. S. Gummer, "A systemic view of implementing data literacy in educator preparation", Educational Researcher, Vol.42, No.1, 2013, pp. 30-37.
  11. OECD, 21st-Century Readers: Developing Literacy Skills in a Digital World, PISA, OECD Publishing, Paris, 2021.
  12.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The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Education 2030, OECD Education Working Papers,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