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Network System of Public Libraries - Focused on the Public Library in Gwangju -

공공도서관의 상호협력체계 따른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24.07.01
  • Accepted : 2024.07.18
  • Published : 2024.08.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and developments in the administrative system, status, and role of public libraries in our country, and to analyze the spatial composition status according to the inter-cooperation system of public libraries located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For this purpose, the study referenced the required space and area standards according to the status and role presented in the 2022 Public Library Construction and Operation Manual. Floor plan analysis and spatial composit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central libraries of the five district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redundancies and inefficiencies in the spatial composition of public libraries with similar purposes. It was found that securing the area of public libraries according to the hierarchy of administrative districts is necessary to provide smooth library services to local residents. Additionally, with the opening of the representative library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 reconfiguration of the existing central library spaces was deemed necessary. This study can be used as a foundational resource for the efficient operation and construction of public librarie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변화와 발전 과정에서 행정체계의 변화와 지위 및 역할을 조사하고,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공공도서관의 상호협력체계에 따른 공간구성 현황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22년 공공도서관 건립 운영 매뉴얼에서 제시한 지위와 역할에 따른 유형별 소요 공간 및 면적 기준을 참고하였으며, 광주광역시 5개 구의 지역중앙 도서관을 대상으로 도면 분석과 공간 구성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에 있어 같은 용도의 공간 중복과 비효율성이 확인되었으며, 지역주민에게 원활한 도서관 서비스를 위해서는 행정구역의 위계에 맡는 공공서관의 면적확보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광주광역시 대표도서관의 개관으로 기존 중앙관의 공간 재구성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향후 공공도서관의 효율적인 운영과 건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2년도 호남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2024), https://www.libsta.go.kr/(accessed May. 31, 2024). 
  2. 공공도서관 건립운영 매뉴, 문화체육관광부, 2022년 
  3. 국립중앙도서관 국가표준 상호대차 기준 (안).,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정책과, 2007년 
  4. 국람중앙도서, 도서관 공간운영 실태조사 및 표준모델 연구.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정책과. 2007년 
  5. 도서관 및 독서문화 활성화 종합계획(안), 문화관광디자인본부 2012년 
  6. 도서관발전종합계획, 문화체육관광부, 2024년 - 2028년 
  7. 박지훈.공순구.홍기섭, 공"간구성과 운영권장기준 분석에 의한 지역 공공 도서관의 공간구성계획," 제36호, 2011년 
  8. 이상호.공순구, "대도시의 공공도서관 네트워크구성에 관한 연구: 지역 도서관네트워크 구성에 관하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5권, 221-228쪽, 2000년 
  9. 광주광역시립도서관(2024), https://citylib.gwangju.kr/(accessed May. 31,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