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슈퍼블루문 기사 내용분석을 통한 과학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 및 개선방향 연구

A Study on the Importance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Science Communication by Analyzing Articles of the Super Blue Moon

  • 투고 : 2024.05.27
  • 심사 : 2024.07.05
  • 발행 : 2024.08.30

초록

이 연구는 2023년 8월의 이른바 슈퍼블루문의 과학기사에서 나타난 정확한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 및 대중 천문학의 현주소를 살펴보고 향후 개선 방안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천문우주에 대한 지식 정도를 기준으로 비전문가, 준전문가, 전문가로 연구 대상을 구분지어 천문과학 정보의 자료 해석 능력을 조사하고, 해석 과정에서 발생한 오류들에 대해 심층 인터뷰를 통해 원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과학정보의 제공을 위해 노력하는 연구기관과 이를 확산하기 위해 노력하는 언론매체에 대한 호감도와 신뢰도를 조사하고, 이번 사례와 같이 올바르지 않은 과학정보가 확산되었을 경우에 기존 호감도와 신뢰도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천문우주에 관한 과학정보의 해석에서는 인지적 측면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었지만 이와 별개로 소통이라 부를 수 있는 언어학적인 요소 혹은 문해력의 영향도 무시할 수 없었고, 특히 기존에 연구대상에 내재된 오개념들이 발현되어 정확한 정보 해석에 오류를 가져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대상들은 확산된 과학정보에 오류가 포함되었음을 인지한 후에 연구기관과 언론매체에 대한 호감도가 각각 12.30%, 17.58% 하락하였고, 신뢰도는 연구기관이 19.40% 하락, 언론매체가 24.49% 하락하였다. 오류의 발생 원인과 관계없이 연구기관과 언론매체 모두에 대한 호감도 및 신뢰도가 전반적으로 하락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정확한 과학정보 제공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이를 개선해 연구기관 및 언론매체가 일반 대중들의 신뢰를 바탕으로 정확한 천문우주의 과학정보를 확산하기 위해서는 천문우주관련 연구기관에서 생성한 오류 없는 정보가 언론매체 혹은 과학커뮤니케이터에게 정확히 전달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잘못된 과학정보가 발생한다면 이를 빠르게 회수하고 수정하는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importance of accurate scientific communication and the current status of popular astronomy based on science articles that occurred during the so-called Super Blue Moon astronomical phenomenon in August 2023. To this en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non-experts, quasi-experts, and experts based on the degree of knowledge of the astronomical universe to investigate the data interpretation ability of astronomical science information and to analyze the causes of errors in the interpretation proces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e also investigated the favorability and reliability of research institutes that strive to provide scientific information and the media that strive to spread it and also investigated the changes in existing favorability and reliability when incorrect scientific information spreads, as in this case. Al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interpretation of scientific information about the astronomical universe depending on the cognitive aspect, the influence of linguistic elements or literacy, which could be called communication, could not be ignored.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misconceptions inherent in the existing research subjects could be expressed, leading to errors in accurate information interpretation. In addition, after recognizing that errors were included in the spread of scientific information, the subjects' favorability toward research institutes and the media fell 12.30% and 17.58%, respectively, while reliability fell 19.40% for research institutes and 24.49% for media outlets. Regardless of the cause of the error, the importance of providing accurate scientific information is further emphasized, considering that the overall favorability and reliability of both research institutes and the media decline. In order for research institutes and media outlets to spread accurate scientific information about the astronomical universe based on the public's tru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that can accurately deliver error-free information generated by research institutes related to astronomical space to media or science communicators and to develop a system that quickly retrieves and corrects incorrect scientific information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키워드

참고문헌

  1. 곽덕영(2020). 국어과 문법 오개념에 대한 이론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권유지(2022).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기반 초중학생의 달의 환경, 위상 개념에 대한 학습발달과정 개발과 이해 수준의 유형화. Brain, Digital & Learning, 12(2), 343-365.
  3. 김영민, 박승재(2001). 비유론과 과학교육. 서울: 원미사.
  4. 김영민, 홍성희, 김재권(2013). 은유적 과학 용어들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 및 이해도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4), 718-734.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4.718
  5. 김영민, 황정훈(2016). 과학 개념에 대한 은유적 표현을 통한 영재학급 학생들의 과학 개념 이해도 분석 방법 및 창의성 계발 방법 제안. 한국과학영재교육, 8(3), 107-120.
  6. 김은진(2013). 생명과학 오개념 교정 소책자를 이용한 강좌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 교수효능감과 오개념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6), 1139-1153.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6.1139
  7. 김지연, 심재철, 김규태, 김유향(2020). 시민과학 기반 가짜뉴스 관리 플랫폼 연구. 과학기술학연구, 20(1), 39-85. https://doi.org/10.22989/JSTS.2020.20.1.002
  8. 김태호(2015).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과서의 화산지형 용어에 대한 고찰.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3(1), 37-51. https://doi.org/10.17279/JKAGEE.2015.23.1.37
  9. 김형범, 한신(2021). 창의교육실천프로그램 매뉴얼. 대전: 정우커뮤니케이션즈.
  10. 김혜화, 서정욱, 김형범(2021). 창의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Biology Education, 49(2), 287-298.
  11. 배성희, 김형범(2016). 중등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이 천문수업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3), 607-6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3.607
  12. 서영준, 한도윤, 손윤정, 허윤정, 김형범(2022). AR/VR을 활용한 창의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천문 영역을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5(2), 310-321. https://doi.org/10.15523/JKSESE.2022.15.2.310
  13. 송보라, 최숙기(2021). 가짜뉴스 판별 과정에서 예비 교사의 읽기 양상과 전략 분석: 시선 추적 기법을 활용하여. Brain, Digital & Learning, 11(4), 589-616.
  14. 송진웅, 강석진, 곽영순, 김동건, 김수환, 나지연, 도종훈, 민병곤, 박성춘, 배성문, 손연아, 손정우, 오필석, 이준기, 이현정, 임혁, 정대홍, 정종훈, 김진희, 정용재(2019). 미래세대를 위한 '과학교육표준'의 주요 내용과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3), 465-478. https://doi.org/10.14697/JKASE.2019.39.3.465
  15. 심기창, 김희수, 정정인(2004). 인지갈등 수업모형을 적용한 중학생의 달의 운동 개념 변화. 한국지구과학회지, 25(5), 348-363.
  16. 안문영, 이준기(2023). 예비과학교사들의 유사과학에 대한 인식의 탐색: 개인적 경험 사례와 은유적 표상을 중심으로. 과학과 과학교육논문지, 48(1), 23-41.
  17. 양찬호, 김경순, 노태희(2010). 과학 수업에서 비유의 사용 방식이 학생들의 개념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8), 1044-1059. https://doi.org/10.14697/JKASE.2010.30.8.1044
  18. 오준영(2006). 천문현상들을 설명하는 예비 초등교사들의 정신모형의 구조: 계절과 달의 위상변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1), 68-87. https://doi.org/10.14697/JKASE.2006.26.1.68
  19. 오철우(2015). 대중 과학에서 은유와 유비의 역할: 가모프의 우주론 3부작을 중심으로. 한국과학사학회지, 37(1), 1-39.
  20. 오현석, 이기영(2018). 달의 위상 변화에 대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학습 발달과정 탐색: 천문학적 시스템 사고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39(1), 103-116.
  21. 윤은정, 박윤배(2019). 대중매체의 과학기사에 대한 대중들의 인식과 고빈도로 사용되는 과학용어에 대한 이해도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4), 535-544. https://doi.org/10.14697/JKASE.2019.39.4.535
  22. 이미애, 최승언(2008). 중고등학생이 이해하는 달의 위상변화 모델 분석을 통한 보완 모델 제안. 한국지구과학회지, 29(1), 60-77.
  23. 이양락, 곽영순, 김동영(2005).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 지구과학 내용의 적정성 분석 및 평가. 한국지구과학회지, 26(8), 759-770.
  24. 이용섭(2023). 초등예비교사들의 천문영역 교수방법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6(1), 143-152. https://doi.org/10.15523/JKSESE.2023.16.1.143
  25. 장미경(2024). 생성형 인공지능 시대의 과학 연구 및 과학커뮤니케이션 양상과 대응 방안 논의. 커뮤니케이션학연구, 32(2), 31-61.
  26. 조훈, 손정주(2018). 달을 주제로한 천문교육 연구동향 분석. 현장과학교육, 12(4), 453-466. https://doi.org/10.15737/SSJ.12.4.201812.453
  27. 최숙희(2000). 달의 운동에 관한 초등학생들의 개념 조사. 초등과학교육, 19(1), 41-56.
  28. 최영진(2020). 중학교 천문학 용어에 대한 학생의 오개념 유형 탐색. 과학교육연구지, 44(3), 289-299. https://doi.org/10.21796/JSE.2020.44.3.289
  29. 최준태, 이기영, 박재용(2019). 천문학적 사고를 반영한 천문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과학관 천체 투영관 수업 사례. 한국지구과학회지, 40(1), 86-106.
  30. 한국과학창의재단(2019). 모든 한국인을 위한 과학적 소양미래세대 과학교육표준.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31. 한수진, 박연옥, 박지애, 노태희(2010). 중학생들의 오개념에 대한 예비 화학교사들의 지식과 교육요구. 대한화학회지, 54(1), 142-149. https://doi.org/10.5012/JKCS.2010.54.01.142
  32. 한신, 김형범(2019). 블록형 코딩프로그램을 활용한 지구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인식 및 과학적 태도 변화 연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2(2), 131-140. https://doi.org/10.15523/JKSESE.2019.12.2.131
  33. 현영섭(2019). 성인학습자의 비판적 사고기능 및 비판적 사고성향과 가짜뉴스 팩트체크 및 가짜뉴스 식별의 관계. 교육연구논총, 40(3), 5-39. https://doi.org/10.18612/CNUJES.2019.40.3.5
  34. Cohen, J. (1960). A coefficient of agreement for nominal scale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20(1), 37-46. https://doi.org/10.1177/001316446002000104
  35. Driver, R. (1983). Pupil as scientist. McGraw-Hill Education (UK).
  36. Jeong, Y., Kim, H., & Lee, C. (2021). Effects of science journaling on elementary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Korea. Sustainability, 13(17), 9691.
  37. Lincoln, Y. S., & Guba, E. G. (2000). Paradigmatic controversies, contradictions, and emerging confluences. In N. K. Denzin, & Y. S. Lincoln (Eds.),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2nd ed., pp. 163-188). Thousand Oaks, CA: Sage.
  38. Mende, A., Oehmichen, E., & Schroter, C. (2012). Usage and repertoires of information across different media. Media Perspectives, 1, 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