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view of Clinical Researches of Thread-Embedding Therapy for Pediatric Enuresis

소아 야뇨증의 매선치료에 대한 문헌 고찰 - 중의학 논문을 중심으로 -

  • Kim Yeon Jeong (Department of Korean Pediatrics,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 ;
  • Chang Gyu Tae (Department of Korean Pediatrics,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 ;
  • Lee Sun Haeng (Department of Korean Pediatrics,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
  • 김연정 (경희대학교 대학원 소아과학교실) ;
  • 장규태 (경희대학교 대학원 소아과학교실) ;
  • 이선행 (경희대학교 대학원 소아과학교실)
  • Received : 2024.05.16
  • Accepted : 2024.08.14
  • Published : 2024.08.31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usefulness of thread-embedding therapy for pediatric enuresis by analyzing clinical evidence. Methods Six clinical studies on thread-embedding therapy for pediatric enuresis were selected from the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NKI) database, with a focus o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he study designs, patient characteristics, treatment methods, and safety assessments were analyzed. Results Among the six studies, four were case reports and two wer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Thread-embedding therapy was performed two to four times, with intervals ranging from one week to one month. CV3 (中極), SP6 (三陰交), ST36 (足三里) were used frequently, and the total effective rate for thread-embedding therapy ranged from 88.89% to 100%. Conclusions Thread-embedding therapy is effective for pediatric enuresis; however, more research is needed to evaluate its safety.

Keywords

Ⅰ. Introduction

소아 야뇨증 (Pediatric enuresis)은 5세 이상의 아동이 수면 중 비자발적으로 소변을 보는 증상을 의미한다1). 다른 배뇨 증상 없이 밤에만 야뇨증이 발생하는 경우를 단일 증상성 야뇨증 (monosymptomatic enuresis)이라고 하며, 야뇨증이 있는 어린이가 낮에 빈뇨, 급박뇨, 요실금 등의 증상도 함께 경험하는 경우 비단일증 상성 유뇨증 (non-monosymptomatic enuresis)이라고 한다2). 야뇨증은 다양한 위험 요인과 관련되는 다인성 원인으로 발생한다. 유전적 요인, 심리적 스트레스뿐만 아니라 변비, 비만, 천식 등의 특정 의학적 상태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으며3-6), 특히 야뇨증의 23%는 주간 요실금 및 유분증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었다7). 5세 아동의 약 15%가 야뇨증을 경험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여아보다 남아에게 더 자주 영향을 미친다8). 이9)의 국내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야뇨증 유병률은 평균 8.7%이며,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한다. 다만, 야뇨증이 자주 발생하면 치료 없이 소실될 가능성이 낮으므로10) 지속적인 문제가 보인다면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한의학에서는 야뇨증의 원인을 下元虛寒 膀胱不約, 脾肺氣虛, 肝經鬱熱, 心腎不交 등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변증에 따라 적절한 한약 처방 및 침구 치료를 선택한다. 六味地黃湯, 腎氣丸, 黃芪湯, 縮泉丸, 鷄腸散 등이 대표적인 한약 처방이며11), 三陰交 (SP6), 關元(CV4), 足太陽膀胱經의 혈위는 침 치료에 다용되고 關元 (CV4), 腎兪 (BL23), 中極 (CV3)은 뜸 치료에 자주 사용된다12). 서양의학적으로는 행동요법에 해당하는 알람요법과 항이뇨제인 데스모프레신을 1차 치료법으로 활용하며, 삼환계 항우울제와 항콜린제를 2차 치료법으로 사용한다13).

야뇨증은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자존감 저하, 사회 활동 회피, 부모의 심리적 스트레스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14,15) 적극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다만, 기존 서양의학적 약물 치료는 여러 부작용이 보고되었으며, 복용을 중지하면 치료 효과가 지속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16). 알람요법도 마찬가지로 중단 후 재발률이 높고, 부모와 아동에게 심리적인 스트레스를 유발한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17,18). 한편, 현재 주로 사용되는 한의학적 치료 방법인 한약치료와 침구치료는 매일 치료해야 하고 학업의 부담이 가중되면 치료를 지속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최종적으로 전반적인 치료 효과가 좋지 않다19)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기존 치료 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새로운 한의학적 중재 방법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매선 치료는 흡수성 실을 특정 경혈점에 매립하여 치유를 도모하는 한의학적 치료 방법이다. 이는 기본적인 침 치료 효과뿐만 아니라 장기간 자극을 유지함으로써 지속적인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특히 만성질환의 치료에 긍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20). 또한, 침 치료 중 아동이 경험할 수 있는 정신적 부담과 통증을 줄일 수 있고, 치료 시간이 짧고 치료 횟수를 줄일 수 있어 장기 치료에 대한 순응도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19). 그러나 소아 야뇨증에 대한 매선 치료의 국내 임상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한 관계로 그 효과와 안전성에 대한 임상적 근거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의학 논문을 중심으로 지금까지 연구된 소아 야뇨증의 매선 치료에 대한 임상연구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Ⅱ. Materials and Methods

1. 문헌 검색 및 검색 전략

중국의 전자 데이터베이스인 중국학술정보원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NKI)을 문헌 검색원으로 사용하였다. 전문 검색을 활용하였으며, 검색식 (SU = ‘埋线’ + ‘穴位埋线’ + ‘cat-gut’ + ‘thread-embedding’) AND (SU = ‘遗尿’)을 사용하였다. 언어 간 교차검색을 허용하고 논문 출판 연도에는 제한을 두지 않았으며, 최종 검색일은 2024년 4월 10일이었다. 중의학과 관련한 논문을 선별하기 위해 학문 영역은 중의학으로 한정하였다.

2. 문헌 포함 및 제외 기준

CNKI 검색 결과 중 학위 논문은 배제하고 학술지 논문만을 포함하였으며, 언어에는 제한을 두지 않았다. 야뇨증을 주증상으로 하는 만 19세 미만의 소아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만을 선별하고 연구 대상 중 성인이 포함된 경우는 배제하였다. 임상 연구에 해당하는 모든 논문을 포함하였으며, 그중 매선 치료를 중재로 하는 연구를 선별하였다. 단, 매선 치료 외 다른 한의학적 치료 (한약, 침, 뜸, 이침, 피내침, 첩부요법, 외용치료 등)가 결합된 경우는 배제하였다. 무작위 대조군 연구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CT)라면 치료군에서 매선 치료를 시행한 경우만을 포함하였다. 중복되거나 논문 전문 확인이 어려운 연구는 배제하였다.

3. 자료수집 및 추출항목

검색 전략에 따라 CNKI에서 검색된 문헌은 서지정보 프로그램 Endnote 21 (Clarivate Analytics, Philadelphia, PA, USA)을 통해 추출하였으며 1차로 제목과 초록을 검토하여 적합한 문헌을 선별하였으며, 2차로 논문 전문을 검토하여 성인이 포함된 연구 5건, 매선 치료 외 다른 한의학적 치료를 병행한 연구 7건, 중복되는 연구 1건, 논문 전문을 확인할 수 없는 연구 8건을 제외한 후 최종 문헌 6개19,21-25)를 확정하였다 (Figure 1). 선정된 6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 종류 및 출판 연도, 연구 대상의 특성, 진단기준, 치료 방법 및 내용, 평가지표, 안전성 평가를 포함한 연구의 결과에 관한 내용을 추출하였다.

HHSSB3_2024_v38n3_1_3_f0001.png 이미지

Figure 1. Flow chart of study selection process

CNKI: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Ⅲ. Results

1. 연구 종류 및 출판 연도

최종적으로 선별된 문헌 6건 중 증례보고는 4편21,23-25), RCT는 2편19,22)이었으며, 출판 연도는 2019년 1편21), 2018년 1편19), 2014년 3편22-24) 2009년 1편25)이었다 (Table 1).

Table. 1. Characteristics of the Studies

HHSSB3_2024_v38n3_1_4_t0001.png 이미지

F: Female, M: Male, yrs: years, mos: months, RC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 Intervention group, C: Control group, NR: not reported

2. 연구 대상의 특성

연구대상자의 수는 18명21)부터 86명25)까지 다양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연령과 유병 기간을 최솟값과 최댓값으로 나타낸 연구는 4편21,23-25)이었다. 이 중 최소 연령은 4세25), 최대 연령은 17세25)였으며, 최단 유병기간은 3개월24), 최장기간은 14년25)이었다. 연령과 유병기간을 평균값으로만 나타낸 연구는 1편22)이었으며, 구체적인 연령과 유병기간이 제시되지 않은 연구는 1편19)이었다. 또한, 陈19)의 연구를 제외한 5편의 연구21-25)에서는 참여자의 성별을 명확히 제시하였다. 특정 변증 유형의 소아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2편19,23)이었는데, 각각 腎氣不足19), 脾肺氣虛23)로 변증하였다 (Table 1).

3. 진단기준

4개19,21-23)의 연구에서 진단기준의 근거를 제시하였으며, ≪中医病证诊断疗效≫의 진단기준을 참조한 연구는 2편19,21)이며, 이와 함께 참조한 진단기준으로는 ≪中医症状鉴别诊断学≫19), ≪针灸学≫21)이 있었다. 한편, ≪中医内外妇儿科病证诊断疗效标准≫을 활용한 연구는 1편22), 국제아동요실금협회 (ICCS)의 진단기준을 참고한 연구는 1편23)이었다. 진단기준 근거가 명확하지 않았던 연구는 2편24,25)이었다 (Table 2).

Table. 2. Diagnostic Criteria and Details

HHSSB3_2024_v38n3_1_6_t0001.png 이미지

NR: not reported

4. 치료 방법 및 내용

선정된 연구에서 최소 2회25)에서 최대 4회22) 매선 치료를 실시하였으며, 치료 간격은 최소 일주일22)에서 최대 한달19,21,24)이었다. 4개의 연구19,21,22,24)에서는 치료간격과 총 치료 횟수를 언급하였지만, 2개의 연구23,25)에서는 총 치료 횟수를 명확히 제시하지 않았다. 다만, 王23)은 치료 간격 10일, 치료 기간 1달이라고 언급하였으므로 총 치료 횟수는 3회 또는 4회로 추측할 수 있고, 张25)은 치료 혈위를 두 그룹으로 나누어 10일 간격으로 치료했다고 설명하였으므로 총 치료 횟수는 2회로 이해할 수 있다. 张의 연구25)를 제외하고 나머지 연구19,21-24)에서는 동일한 혈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반복하여 매선 치료를 진행하였다. 또한, 치료에 사용된 매선의 길이는 0.3 cm22)에서 5 cm25)까지 다양하였으나, 각 혈위에 자입된 매선 길이에 대한 자세한 언급은 없었다. 다만, 일부 연구19,21,23)에서는 혈위 혹은 인체 위치에 따른 매선 자입 방향에 대해 설명하였다 (Table 3).

Table. 3. Treatment Methods and Outcomes

HHSSB3_2024_v38n3_1_7_t0001.png 이미지

I: Intervention group, C: Control group, NR: Not reported, TER: Total effective rate

* Approximate numbers based on treatment intervals and duration described in the study

각 연구에서 선택된 혈위는 빈도순으로 中極 (CV3) 6회19,21-25), 三陰交 (SP6)19,21,22,24,25), 足三里 (ST36)19,21,23-25) 5회, 腎兪 (BL23)19,21,24,25), 關元 (CV4)19,21,24,25), 膀胱兪 (BL28)19,22,24,25) 4회, 氣海 (CV6)23,24) 2회, 上髎 (BL31)19), 百會 (GV20)21), 陰交 (CV7)21), 曲骨 (CV2)21), 中脘 (CV12)23), 天樞 (ST25)23), 大橫 (SP15)23), 肺兪 (BL13)24) 1회 사용되었다. 단, 蒋24)의 연구에서는 脾肺氣虛한 사람인 경우에만 氣海, 肺兪, 足三里를 추가로 취혈하였다 (Table 4).

Table. 4. Acupoints for Thread Embedding Therapy

HHSSB3_2024_v38n3_1_8_t0001.png 이미지

RCT19,22)에서 대조군은 각각 호침 치료19)와 한약 치료22)를 시행하였다. 陈19)의 연구에서 대조군은 치료군과 동일한 혈자리를 선택하였으며, 호침 치료를 20분간 (5분마다 자극), 1일 1회, 총 10회 진행하였고 각 치료 과정 사이에는 1주일의 휴식을 두었다. 李22)의 연구에서 대조군은 桑螵蛸, 海螵蛸, 益智仁을 같은 양으로 혼합하여 만든 가루를 매번 3~5 g씩 하루 2번, 아침 식사 전과 저녁 식사 후에 30일간 복용하도록 하였다.

5. 평가지표

모든 연구에서 유효성 평가의 기준을 제시하였는데, 5개의 연구19,21,23-25)는 ≪中医病证诊断疗效标准≫을, 1개의 연구22)는 ≪中医内外妇儿科病证诊断疗效标准≫을 기준으로 하였다. 또한, 모든 연구에서 모두 총유효율 (Total effective rate, TER)을 평가지표로 사용하였다. 그중 2개의 연구21,23)에서는 4-points scale (痊愈, 显效, 有效, 无效)을 사용하고 4개의 연구19,22,24,25)에서는 3-points scale을 사용하였다. 3-points scale을 사용한 경우에는 연구마다 표현이 상이하였는데, 陈19)는 治愈, 显效, 无效, 李22)은 痊愈, 显效, 无效, 蒋24)은 治愈, 好转, 无效, 张25)은 痊愈, 好转, 无效이라고 하였다 (Table 5). 한편, 陈19)의 연구에서만 유일하게 치료군과 대조군 간의 중도 탈락률 비교도 평가지표로 활용하였다.

Table. 5. Criteria for Evaluating Treatment Effectiveness and Details

HHSSB3_2024_v38n3_1_9_t0001.png 이미지

6. 연구결과

매선 치료를 실시한 치료군의 총유효율은 88.89%21)에서 100%23)로 나타났다. 陈19)에서 호침 치료를 받은 대조군의 총유효율은 72.22%, 李22)에서 한약 치료를 받은 대조군의 총유효율은 85%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 < 0.05)고 보고했다.

또한, 陈19)의 연구에서 치료군의 중도 탈락률은 5.56%, 대조군의 중도 탈락률은 22.2%이었으며, 두 그룹 간의 탈락률 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 < 0.05)고 보고했다 (Table 3).

7. 안전성 평가

19)의 매선 치료 그룹에서 부작용으로 인한 치료 중단한 사례 1건을 보고하였으나, 부작용의 구체적인 내용은 설명되지 않았다. 나머지 연구21-25)에서는 직접적인 안전성 및 부작용 평가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소아 야뇨증 매선 치료에 대해 李22)는 ‘독성 부작용이 없다’고 하였으며, 王23)은 ‘치료 과정 중에는 뚜렷한 부작용이 보이지 않았다’고 설명하였고, 张25)은 ‘안전하고 독성 부작용이 없는 치료 방법’이라고 하였으나 명확한 근거는 제시되지 않았다.

Ⅳ. Discussion

소아 야뇨증은 상당히 흔한 질환으로, 7세 아동의 약 5-10%가 이 질환을 앓고 있다. 자연관해율은 매년 15% 정도로 나이가 들면 자연스럽게 사라진다고 인식되지만, 청소년의 약 3%, 성인의 0.5~1%는 여전히 야뇨증을 경험한다26-29). 또한, 야뇨증이 자주 발생하면 치료 없이 소실될 가능성이 낮으므로10) 지속적인 문제가 보인다면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소아 야뇨증 치료가 늦어져서는 안 되는 여러 이유가 존재한다. 첫째, 야뇨증이 있는 아동은 자존감이 낮고 사회적 불안과 당혹감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다. 아이들은 야뇨증으로 인한 사회적 낙인을 두려워하고 또래들로부터 고립감을 느낌으로써 심각한 정서적 고통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감정은 아동이 나이가 들수록 자신의 상태와 그것의 사회적 의미를 더 잘 알게 될수록 더욱 강렬해질 수 있다30). 둘째, 야뇨증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당혹스러움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외박, 캠프 등 아동에게 필요한 사회 활동의 참여를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제한은 아동기와 청소년기에 중요한 사회적 발달과 또래 관계를 방해할 수 있다31). 셋째, 소아 야뇨증은 아동뿐만 아니라 가족 전체에게 스트레스를 줄 수 있다. 부모와 형제자매는 야뇨증을 겪는 아동을 지속적으로 돌보아야 하고, 이로 인해 가족 일상에 지장이 생겨 좌절감이나 무력감을 느낄 수 있다30). 이러한 이유로 야뇨증을 조속히 치료하는 것이 이러한 부정적인 결과를 예방하고 아동과 가족의 정신적 건강을 도모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소아 야뇨증에 대한 서양의학적 치료 방법으로는 1차적으로 행동요법인 알람요법과 약물 치료인 데스모프레신 (Desmopressin)를 주로 사용한다. 이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삼환계 항우울제와 항콜린제를 처방하는데13), 여기에는 여러 가지 한계점이 존재한다. 먼저, 알람 요법은 부모에게 수면 장애가 있거나 아이가 형제자매와 방을 공유하는 경우 활용하기 어려우며, 아이뿐만 아니라 가족의 적극적인 참여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또한, 알람을 매일 밤 중단 없이 지속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등 여러 가지 준수사항이 존재해 번거로움이 따른다26). 알람요법을 사용하는 과정은 정확히 지켜지기 어렵고 부모와 아동에게 심리적인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으며, 중단 후 재발률이 높다는 한계가 존재한다17,18). 한편, 소아 야뇨증 약물 치료에 주로 사용되는 데 스모프레신은 야간 소변 생산을 줄이는 데에는 효과적이지만 방광 용적을 늘리거나 소변이 마려울 때 아이가 깨어나도록 돕지는 않는다32). 따라서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한계가 있고, 복용을 중지하면 치료 효과가 지속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존재한다16). 또한, 삼환계 항우울제는 과다복용 시 심장 독성의 위험이 있고, 경련, 간 및 혈액학적 반응을 포함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33).

소아 야뇨증에 대한 한의학적 치료는 지금까지 주로 한약과 침구 치료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기존의 치료는 부작용이 적고 치료율이 높다는 점에서 긍정적12)이나, 아이들은 바늘을 사용하는 침 치료에 대해 두려움을 가질 수 있고, 한약의 맛이 씁쓸하거나 생소하다는 이유로 거부하거나 그러한 아동에게 반복적으로 복용을 권하는 부모의 스트레스가 증가할 수 있다. 매선 치료는 선을 매립한 직후 침을 제거하기 때문에 치료 시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매일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 간격을 두고 진행하므로 전체 치료 횟수를 줄일 수 있어 아동과 부모의 부담감을 줄일 수 있다.

매선 치료는 실을 특정 혈위에 매립함으로써 지속적인 혈위 자극을 모도하는 한의학적 치료 방식이며, 이를 통해 침의 효과를 강화하고 연장하는 유침 (留鍼)의 효과를 증폭시킬 수 있다. 또한, 신경기능 회복 및 신경반사 조절, 인체 면역력 증강, 국소순환 개선, 염증 인자 방출 억제 및 세포사멸 감소, 사이토카인 조절, 신진대사 개선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20). 과거에는 매선 치료에 주로 양장선 (羊腸線, Chromic cat-gut)을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주로 Polydioxanone (PDO)실을 활용하고 있다. PDO 실은 단섬유 형태로 박테리아가 서식하기 어렵고, 3~4주 내에 강도의 50%가 감소하며 6개월쯤에는 거의 다 흡수되기 때문에 비교적 안전하며 매선 치료의 안정성을 높이려는 노력은 현재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34).

본 연구에서는 문헌 검토를 통해 총 6편19,21-25)의 중국 논문이 선정되었다. 매선 치료 시 다빈도로 사용된 혈위는 中極 (CV3), 三陰交 (SP6), 足三里 (ST36), 腎兪(BL23), 關元 (CV4), 膀胱兪 (BL28) 등이었으며, 이는 소아 야뇨증에 대한 침구 치료 시 자주 선택하는 혈위를 살펴본 기존 연구12)의 결과와 유사하다. 대부분의 연구19,21,22,24,25)에서 소아 야뇨증의 원인을 腎氣不足, 下元虛冷 등 下元虛寒 膀胱不約과 같은 맥락에서 파악하고 있다. 王23)은 脾肺氣虛를 원인으로 보았으며, 蒋24)은 腎氣虛, 脾肺氣虛로 나누어 주된 원인은 腎氣虛, 부차적인 원인은 脾肺氣虛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는 한의학에서는 야뇨증의 원인을 下元虛寒 膀胱不約, 脾肺氣虛, 肝經鬱熱, 心腎不交 등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下元虛寒 膀胱不約을 가장 주된 원인으로 파악하고 그 다음을 脾肺氣虛로 보는11) 기존의 관점과 동일하다.

소아 야뇨증의 매선 치료 역시 한의학적 변증에 따라 치료하는 것을 중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매선 치료는 넓은 범주에서 침 치료의 다양한 방법 중 하나에 해당하므로 기존의 소아 야뇨증 침구 치료에서 선택하는 혈위를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 포함된 문헌 중 RCT는 2편19,22)이었다. 모든 RCT에서 매선 치료는 치료군의 중재 방법으로 사용되었으며, 각각 호침 치료19)와 한약 치료22)와 비교해 매선 치료가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포함된 RCT가 적고 대조군의 치료율 역시 상당히 높은 편으로, 매선 치료가 기존 한의학적 중재 방법과 비교하여 확실한 대안이라는 근거는 부족하다. 또한 부작용 및 안전성 평가가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대부분의 연구19,21,23-25)에서 ≪中医病证诊断疗效标准≫를 유효성 평가의 기준으로 제시하면서 치료 효과 기준 판단에 객관적인 근거를 마련하였으며, 총유효율은 평균 94.27%로 소아 야뇨증에 대한 매선 치료의 매우 높은 치료율을 보고하였다. 그러나 동일한 기준을 제시했음에도 불구하고 연구마다 사용한 scale의 용어가 상이하며, 평가 기준이 조금씩 다르고 모호한 측면이 있어 표준화된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또한, 선택된 연구의 수는 6편으로 적은 편이며, 연구의 대부분이 증례보고21,23-25)에 해당하기에 RCT 연구를 포함한 높은 질을 갖춘 임상연구들이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소아 야뇨증에 대한 매선 치료의 효과와 사용된 혈위에 초점을 맞추어 중국에서 수행된 여러 연구들을 문헌 검토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여러 한계 점에도 불구하고 소아 유뇨증의 매선 치료와 관련한 국내 임상연구를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매선 치료가 소아 야뇨증 치료의 효과적이고 기존 치료방식의 대안으로 사용될 수 있는 치료법으로 활용될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앞으로의 임상 연구의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기반으로 국내에서도 소아 야뇨증의 임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치료의 표준화 가능성 및 안정성 등이 추가적으로 검토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Ⅴ. Conclusion

중국의 전자 데이터베이스인 중국학술정보원 (CNKI) 검색을 통해 선별한 소아 야뇨증의 매선 치료에 대한 연구 6편을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연구대상자의 수는 18명부터 86명까지, 연령은 4세부터 17세까지, 유병기간은 최단 3개월, 최장 14년으로 다양하였다.

2. 소아 야뇨증의 진단기준으로 ≪中医病证诊断疗效≫을 활용한 경우는 2건이었으며, 각각 《针灸学≫과 ≪中医症状鉴别诊断学≫을 함께 참조하였다. ≪中医内外妇儿科病证诊断疗效标准≫, 국제아동요실금협회 (ICCS)의 진단기준은 각각 1편씩 활용되었다.

3. 매선 치료는 최소 2회에서 최대 4회 실시되었으며, 치료 간격은 일주일에서 한 달로 다양하였다. 치료 간격을 한 달로 둔 경우가 가장 많았다(50%).

4. 대부분의 연구 (83.3%)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동일한 혈위에 반복하여 매선 치료를 진행하였다. 특정 변증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혈위를 추가한 연구도 있었다.

5. 매선 치료에 선택된 혈위의 빈도는 中極 (CV3) 6회, 三陰交 (SP6), 足三里 (ST36) 5회, 腎兪 (BL23), 關元 (CV4), 膀胱兪 (BL28) 4회, 氣海 (CV6) 2회, 上髎 (BL31), 百會 (GV20), 陰交 (CV7), 曲骨 (CV2), 中脘 (CV12), 天樞 (ST25), 大橫 (SP15), 肺兪 (BL13) 1회였다.

6. 대부분의 연구 (83.3%)에서 ≪中医病证诊断疗效标准≫를 유효성 평가의 기준으로 제시하였으며, 선정된 모든 연구는 총유효율을 평가지표로 사용하였다. 총유효율은 88.89~100%, 평균 94.27%로 모든 연구에서 소아 야뇨증에 대한 매선 치료의 높은 치료율을 보고하였다.

7. 1편의 연구를 제외하고 직접적인 안전성 및 부작용 평가는 이루어지지 않았고, 소아 야뇨증에 대한 매선 치료가 안전하다는 근거가 미흡하므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References

  1. Arda E, Cakiroglu B, Thomas DT. Primary nocturnal enuresis: a review. Nephrourol Mon [Internet]. 2016 May 31 [cited 2024 April 16];2016;8:e35809. Available from: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5039962/ 
  2. Austin PF, Bauer SB, Bower W, Chase J, Franco I, Hoebeke P, Rittig S, Vande Walle J, von Gontard A, Wright A, Yang SS, Neveus T. The standardization of terminology of lower urinary tract func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update report from the standardization 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children's continence society. Neurourol Urodyn. 2016;35:471-81.  https://doi.org/10.1002/nau.22751
  3. Gontard A, Schaumburg H, Hollmann E, Eiberg H, Rittig S. The genetics of enuresis: a review. J Urol. 2001;166:2438-43.  https://doi.org/10.1016/S0022-5347(05)65611-X
  4. Jurkovic M, Tomaskovic I, Tomaskovic M, Zore B, Pavic I, Roic A. Refugee status as a possible risk factor for childhood enuresis.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2019;16:1293. 
  5. Weintraub Y, Singer S, Alexander D, Hacham S, Menuchin G, Lubetzky R, Steinberg DM, Pinhas-Hamiel O. Enuresis-an unattended comorbidity of childhood obesity. Int J Obes (Lond). 2012;37:75-8.  https://doi.org/10.1038/ijo.2012.108
  6. Ozkaya E, Aydin S, Yazici M, Dundaroz R. Enuresis nocturna in children with asthma: prevalence and associated risk factors. Ital J Pediatr. 2016;42:59. 
  7. Sureshkumar P, Jones M, Caldwell P, Craig J. Risk factors for nocturnal enuresis in school-age children. J Urol. 2009;182:2893-9.  https://doi.org/10.1016/j.juro.2009.08.060
  8. DiBianco J, Morley C, Al-Omar O. Nocturnal enuresis: a topic review and institution experience. Avicenna J Med. 2014;4:77-86.  https://doi.org/10.4103/2231-0770.140641
  9. Lee HJ, Lee KG, Kim EJ, Pai KS, Lee SD. An epidemiological study on enuresis in children of two elementary schools in Suwon. Korean J Pediatr. 2008;51:518-22.  https://doi.org/10.3345/kjp.2008.51.5.518
  10. Yeung CK, Sreedhar B, Sihoe JD, Sit FK, Lau J.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of nocturnal enuresis between children and adolescents: a critical appraisal from a large epidemiological study. BJU Int. 2006;97:1069-73.  https://doi.org/10.1111/j.1464-410X.2006.06074.x
  11. Kim KB, Kim DG, Kim YH, Kim JH, Min SY, Park EJ, Baek JH, Sungs HK, Yu SA, Lee SY, Lee JY, Lee HJ, Chang GT, Jeong MJ, Chai JW, Cheon JH, Han YJ, Han JK. Hanbangsoacheongsonyeonuihak (ha), 2nd ed. Seoul: Ui Sung Dang Publishing Co. 2015:168-70. 
  12. Lee YB, Jeong AR. Review of clinical studies for Korean medicine treatment on nocturnal enuresis in children. J Pediatr Korean Med. 2020;34:1-25. 
  13. Neveus T, Fonseca E, Franco I, Kawauchi A, Kovacevic L, Nieuwhof-Leppink A, Raes A, Tekgul S, Yang SS, Rittig S. Management and treatment of nocturnal enuresis-an updated standardization document from the international children's continence society. J Pediatr Urol. 2020;16:10-9.  https://doi.org/10.1016/j.jpurol.2019.12.020
  14. Collis D, Kennedy-Behr A, Kearney L. The impact of bowel and bladder problems on children's quality of life and their parents: a scoping review. Child Care Health Dev. 2019;45:1-14.  https://doi.org/10.1111/cch.12620
  15. Hagglof B, Andren O, Bergstrom E, Marklund L, Wendelius M. Self-esteem before and after treatment in children with nocturnal enuresis and urinary incontinence. Scand J Urol Nephrol Suppl. 1997;183:79-82. 
  16. Robson WLM.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enuresis. N Engl J Med. 2009;360:1429-36.  https://doi.org/10.1056/NEJMcp0808009
  17. Butler R, Gasson S. Enuresis alarm treatment. Scand J Urol Nephrol. 2005;39:349-57.  https://doi.org/10.1080/00365590500220321
  18. Alqannad E, Alharbi A, Almansour R, Alghamdi M. Alarm therapy in the treatment of enuresis in children: types and efficacy review. Cureus [Internet]. 2021 Aug 22 [cited 2024 April 16];2021;13:e17358. Available from: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8453315/ 
  19. Chen Q, Li S, Lou G, Chen X. Clinical study of thread-embedding therapy at acupoints for treating kidney-qi deficiency in 72 cases. Nei Mongol J Tradit Chin Med. 2018;37:77-9. 
  20. Huo J, Zhao J, Yuan Y, Wang J. Research status of the effect mechanism on catgut-point embedding therapy. Chin Acupunct Moxib. 2017;37:1251-4. 
  21. Wang M, Peng X. Thread-embedding therapy at acupoints for treating pediatric enuresis in 18 cases. Chin Folk Ther. 2019;27:21-2. 
  22. Li H. Clinical observation of thread-embedding therapy at acupoints for treating pediatric enuresis in 56 cases. Nei Mongol J Tradit Chin Med. 2014;33:73. 
  23. Wang C. Thread-embedding therapy at acupoints for treating spleen and lung qi deficiency enuresis in 23 cases. Zhejiang J Tradit Chin Med. 2014;49:133. 
  24. Jiang H, Li S. Clinical observation of thread-embedding therapy at acupoints for treating pediatric enuresis in 73 cases. Nei Mongol J Tradit Chin Med. 2014;33:76. 
  25. Zhang J. Thread-embedding therapy at acupoints for treating pediatric enuresis in 86 cases. Guangming J Tradit Chin Med. 2009;24:335-6. 
  26. Chase J, Austin P, Hoebeke P, McKenna P. The management of dysfunctional voiding in children: a report from the standardisation 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children's continence society. J Urol. 2010;183:1296-302.  https://doi.org/10.1016/j.juro.2009.12.059
  27. Jarvelin MR, Vikevainen-Tervonen L, Moilanen I, Huttunen NP. Enuresis in seven-year-old children. Acta Paediatr Scand. 1988;77:148-53.  https://doi.org/10.1111/j.1651-2227.1988.tb10614.x
  28. Bower WF, Moore KH, Shepherd RB, Adams RD. The epidemiology of childhood enuresis in Australia. Br J Urol. 1996;78:602-6.  https://doi.org/10.1046/j.1464-410X.1996.13618.x
  29. Forsythe WI, Redmond A. Enuresis and spontaneous cure rate: study of 1129 enuretics. Arch Dis Child. 1974;49:259-63.  https://doi.org/10.1136/adc.49.4.259
  30. Schulpen T. The burden of nocturnal enuresis. Acta Paediatr. 1997;86:981-4.  https://doi.org/10.1111/j.1651-2227.1997.tb15183.x
  31. Elbahnasawy HT, Elnagar MA. Psychological impact of nocturnal enuresis on self-esteem of school children. AJNR. 2015;3:14-20.  https://doi.org/10.12691/ajnr-3-1-4
  32. Zaffanello M, Giacomello L, Brugnara M, Fanos V. Therapeutic options in childhood nocturnal enuresis. Minerva Urol Nefrol. 2007;59:199-205. 
  33. Glazener CM, Evans JH. Tricyclic and related drugs for nocturnal enuresis in children. Cochrane Database Syst Rev [Internet]. 2016 Jan 20 [cited 2024 April 16]; 2016;2016:CD002117. Available from: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8741207/ 
  34. Ha SH. Total sling medicine, 1st ed. Paju: Koonja Publishing Inc. 202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