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New Religious Materials Preserved at Gobulseonwon Monastery

고불선원 신종교 관련 자료 연구

  • Park Byoung-hoon (Institute for Northeast Asian Humanities&Social Sciences, Wonkawng University)
  • 박병훈 (원광대학교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 Received : 2024.04.24
  • Accepted : 2024.06.25
  • Published : 2024.06.30

Abstract

The abbot of Gobulseonwon Monastery (古佛禪院) in Chungju has disclosed his monastery's possession of materials such as an allegedly handwritten copy of Daesoon Jeongyeong (The Canonical Scripture of the Great Itineration) and Cheonsimgyeong (The Scripture of the Heavenly Mind), gasa (Lyric) collection books, and old letters, and subsequently, investigative research reports and monographs were also published. According to Gobulseonwon Monastery, their copy of Daesoon Jeongyeong was reported to have been written in 1910. In addition, they consider their copies of Cheonsimgyeong, gasa collection books, and old letters to be closely related to Jeungsan (甑山), with the possibility that their copy of Cheonsimgyeong was directly written by Jeungsan. For context, the object of faith in the gasa collection books is Jeungsan, and the old letters describe situation that were contemporary during Jeungsan's time. However, the gasa collection book, To be Learned with True Spirit, is a collection of nearly 20 songs that encourage enlightenment, and Cheonsimgyeong is likely to have come from the Jeondoju (Transmitted Dao-Incantations) used in ritual practices, rather than having been handwritten by Jeungsan. The 36 examples of old letters contain ordinary events in daily life. As such, these materials are not specifically related to Jeungsan. The copy of Daesoon Jeongyeong kept by the monastery was transcribed by Lee Yang-Seop, who resided in Jangseong, Jeonnam, in 1957, and it is significant as it includes various religious gasa such as Chaeyakga and Jeseshinyakga. The materials of unknown origin are especially worthy of attention. The materials preserved in Gobulseonwon Monastery are valuable materials related to various Korean new religions such as Gyeongjeongyudo and various Jeungsan-inspired religions. It is necessary to find the true nature of these materials, and this line of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study of Korean new religions.

충북 충주시 고불선원(古佛禪院)의 선원장(禪院長)이 소위 '육필 대순전경'과 '천심경', 가사집, 간찰 등을 언론에 공개한 바 있고, 이후 관련한 조사연구보고서와 단행본이 발간되었다. 해당 자료는 고불선원 측에서는 대순전경 필사본의 경우 1910년에 작성되었다고 보고 있다. 이외에 『천심경』, 가사집, 간찰 역시 증산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는데, 『천심경』을 증산이 직접 쓴 것으로 보거나, 『참 정신(情神)으로 배울 일』 가사집에서의 신앙의 대상을 증산으로 여기거나, 간찰 등이 증산 당대의 시대상황을 담고 있는 것으로 소개되었다. 그러나 『참 정신으로 배울 일』은 20편에 가까운 갱정유도의 가사들을 모은 가사집이고, 『천심경』은 증산의 자필로 작성된 것이 아닌, 기문둔갑에서 사용하는 '전도주(傳道咒)'에서 왔을 개연성이 크다. 간찰 36종은 일상 생활에서의 비근한 일들을 담아낸 평범한 간찰이다. 곧 이들 자료들은 증산과 관련이 없다. 『대순전경』 필사본은 전남 장성에 거주했던 이양섭이 『대순전경』 초판을 1957년에 필사한 것으로, 뒤에 「채약가」, 「제세신약가」 등 여러 종교가사를 비롯한 자료들을 함께 수록함으로써 그 의미가 크다. 특히 아직 출전 미상으로 남아 있는 자료들에 대해 보다 더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들 고불선원에서 소장한 자료들은 갱정유도, 증산교단 등의 여러 한국 신종교와 관련한 가치가 높은 자료들이다. 이들 자료의 온전한 성격을 찾아줄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이며, 이 역시 신종교 연구에 있어 일조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7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7S1A6A3A02079082).

References

  1. 「대순전경」
  2. 「부응경」 上.下, 남원: 갱정유도성당, 1980.
  3. 「만민해원경」, 남원: 갱정유도성당, 1980.
  4. 「부응경」 1-5(판권지 미상)
  5. 만법현무, 「만법전」, 대구: 삼영불교출판사, 1994,
  6. 李載規, 「無師自解奇門遁甲藏身法: 付秘傳陽宅立門法」, 京城: 大成書林, 1930.
  7. 강희준, 「대순전경과 천심경」, 서울: 뱅크북, 2017.
  8. 강희준, 「증산 강일순 상제의 성해는」, 서울: 뱅크북, 2019.
  9. 김탁, 「만법전(萬法典) 에 실린 가사의 내용과 의의」, 「대순사상논총」 47, 2023. https://doi.org/10.25050/jdaos.2023.47.0.241
  10. 김탁, 「증산교의 교리체계화과정」, 「동학사상연구자료집」 68, 2004.
  11. 박병훈, 「궁을가 연구」, 「종교학연구」 37, 2019.
  12. 박병훈, 「한국 비결가사 연구: 비결에서 비결가사로의 전환과 전개」, 「종교와 문화」 41, 2021. https://doi.org/10.46263/RC.41.1.
  13.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근.현대문화유산 종교(민족종교)분야 목록화 조사연구 보고서」, 대전: 문화재청, 2016.
  14. 차선근, 「기문둔갑, 그리고 강증산의 종교적 세계」, 「종교연구」 77-3, 2017. https://doi.org/10.21457/kars.77.3.201712.193
  15. 한재훈, 「경전의 성립과정으로 본 갱정유도사」, 「신종교연구」 17, 2007.
  16. 김충열, 「증산계 교단 중요사료 '대순전경, 천심경' 육필진품 공개」 《브레이크뉴스》 2018. 1. 17.
  17. 「미공개 내용 담고 있는 '육필 대순전경' 파장-기존 경전의 수정과 첨부 불가피, 혼란 예상」 《매일종교신문》 2012. 5. 16.
  18. 「대순전경 유일 필사본과 강증산 친필 추정 천심경 발견」 《매일종교신문》 2012. 3. 14.
  19. 《국사편찬위원회》 http://archive.history.go.kr
  20.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
  21. 《한국가사문학》 DB http://www.gasa.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