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Daesoon Jinrihoe's View of Time (II): Focusing on Re-calibrated and Governed Time

대순진리회의 시간관 연구 (II) - 재조정되고 통치되는 시간을 중심으로 -

  • Cha Seon-keun (Department of Daesoon Studies, Daejin University)
  • Received : 2024.04.18
  • Accepted : 2024.06.25
  • Published : 2024.06.30

Abstract

One notable characteristic of Daesoon Jinrihoe's view of time, is its perception of time as a passive entity. This signifies that, in the context of Daesoon Jinrihoe, time is subject to influence through experience, specifically undergoing re-calibration or governance. The summary of this perspective is as follows: Firstly, Daesoon Jinrihoe's understanding of time incorporates a historical viewpoint characterized by the law of entropy, which posits that disorder increases as time progresses. Secondly, within the world established by Daesoon Jinrihoe, time experiences transformation before and after the Great Opening. Prior to this event, time follows a helical model characterized by increasing chaotic disorder, whereas in the Later World, the helical model reflects only Mutual Beneficence, symbolizing progress and development in the era. Thirdly, the Great Opening re-calibrates time, serving as the criterion for determining human life. Prior to the Great Opening, time recorded human life in a manner marked by Mutual Contention, whereas afterward, it will record human life as being characterized by Mutual Beneficence. This re-calibration of time leads precisely to directional (spatial) re-calibration. Fourthly, the Great Opening re-calibrates the order of time and space. In the Former World, space held precedence over time. However, the Great Opening changes this dynamic, with time assuming precedence over space in the Later World. In this context, the integration of time and space establishes a worldview. Fifthly, in the worldview of Daesoon Jinrihoe, time serves as a vehicle for the governance of the Supreme God. The Supreme God governs all things by controlling time, orchestrating changes spanning birth (saeng, 生), growth (jang, 長), harvest (yeom, 斂), and storage (jang, 藏), much like how problems are resolved through natural progress without requiring deliberate action. Lastly, time functions as a medium through which entities that strive to achieve unification with the Dao come to govern all things. For this reason, achieving unification with the Dao in Daesoon Jinrihoe specifically refers to the governance of time.

대순진리회 시간관의 특징 가운데 하나는 시간을 수동형으로 본다는 사실이다. 이 말은 시간이 경험자로부터 영향을 받는다는 뜻이다. 즉, 대순진리회에서 시간은 재조정되기도 하고 다스려지기도 한다. 그 내용을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순진리회 시간관은 시간의 흐름과 함께 무질서가 증가한다는 엔트로피 법칙의 역사관을 포함한다. 둘째, 대순진리회가 구축하는 세계에서 시간은 개벽 전후로 그 성격이 바뀐다. 개벽 이전은 상극시대의 무질서 증가 나선형 시간, 후천은 상생만 존재하는 시대의 진보와 발전 나선형 시간이다. 셋째, 개벽은 시간을 재조정한다. 시간은 인간 삶을 결정하는 표준으로 기능하는데, 개벽 이전의 시간은 인간 삶을 상극으로, 개벽 이후의 시간은 인간 삶을 상생으로 기록하기 때문이다. 시간의 재조정은 곧 방위(공간)의 재조정으로 이어진다. 넷째, 개벽은 시간과 공간의 순서를 재조정한다. 선천에는 공간이 시간을 앞섰고, 개벽은 그것을 뒤집어 후천에 시간이 공간을 앞서도록 만든다. 이로써 시공간 통합의 세계관이 구축된다. 다섯째, 대순진리회 세계에서 시간은 최고신이 다스림을 펴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다. 최고신은 생장염장(生長斂藏)의 변화를 일으키는 시간 통치로써 만물을 무위이화로 다스린다. 여섯째, 시간은 후천에 도통이라는 목표에 도달한 존재들이 만물을 통치하는 데 활용하는 도구로 기능한다. 이 때문에 대순진리회의 도통은 곧 시간을 다스림을 의미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대순진리회 교무부, 「전경」 13판,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2. 대순진리회 교무부, 「대순진리회요람」, 서울: 대순진리회 교무부, 1969.
  3. 대순진리회 교무부, 「대순지침」 2판,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2.
  4. 대순종교문화연구소, 「도전 훈시」, 미발행 자료.
  5. 「管子」
  6. 「東經大全」
  7. 「三國史記」
  8. 「性理大全」 卷二十七 「理氣二.天文.四時」.
  9. 「尸子」
  10. 「易學啟蒙」
  11. 「袁天綱」
  12. 「六韜」
  13. 「周易」
  14. 「周易本意」
  15. 「春秋繁露」
  16. 「黃帝內經.素問」
  17. 「淮南子」
  18. 강돈구, 「한국 신종교의 역사관」, 「현대 한국종교의 역사 이해」,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19. 김욱동, 「대화적 상상력」, 서울: 문학과 지성사, 1988.
  20. 김육, 「유원총보역주1」, 허성도.김창환.강성위 옮김,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09.
  21.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편), 「漢韓大辭典」 3, 서울: 단국대학교 출판부, 2000.
  22.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편), 「漢韓大辭典」 10, 서울: 단국대학교 출판부, 2008.
  23. 대순종교문화연구소, 「구세제민(救世濟民)의 주문」, 「대순회보」 180,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6.
  24. 데이비드 하비, 「포스트 모더니티의 조건」, 구동회.박영민 옮김, 서울: 한울, 2005[1989].
  25. M. 엘리아데, 「우주와 역사: 영혼 회귀의 신화」, 정진홍 옮김, 서울: 현대사상사, 1976[1954].
  26. 요아힘 바하, 「비교종교학」, 김종서 옮김, 서울: 민음사, 1988[1958].
  27. 윤창열, 「문왕팔괘에 관한 연구」,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13-2, 2000.
  28. 이봉호, 「「태극도통감」의 도상을 통해 본 대순사상의 '선.후천' 개념」, 「대순사상논총」 47, 2023. https://doi.org/10.25050/jdaos.2023.47.0.65
  29. 이재원, 「대순사상의 우주관 연구: 시간관과 공간관을 중심으로」, 「대순종학」 2, 2022. https://doi.org/10.23209/jods.2022.2.85
  30. 장병길, 「대순종교사상」, 서울: 대순진리회 출판부, 1989.
  31. 장병길, 「천지공사론」, 서울: 대순진리회 출판부, 1989.
  32. 제레미 리프킨, 「엔트로피」, 이창희 옮김, 서울: 세종연구원, 2006[1980].
  33. 잔스촹, 「대순 「전경」의 '공사(公事)' 개념에 대한 고찰」, 「대순사상논총」 23, 2014. https://doi.org/10.25050/jdaos.2014.23.0.37
  34. 차선근, 「<전교> 통회의 연대와 그 관련 역사」, 대순진리회 교무부(편), 「상생의 길」 3,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05.
  35. 차선근, 「「현무경」 '익자삼우 손자삼우'의 역학적 의미」, 「대순회보」 183,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6.
  36. 차선근, 「종교언어로서의 '원시반본(原始返本)' 개념 재검토」, 「대순사상논총」 29, 2017. http://doi.org/10.25050/jdaos.2017.29.0.171
  37. 차선근, 「대순진리회에서 신정론 문제」, 「대순사상논총」 33, 2019. http://doi.org/10.25050/jdaos.2019.33.0.257
  38. 차선근, 「신축년에 천지대도를 열으시고-상」, 「대순회보」 240,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21.
  39. 차선근, 「현대종교학과 대순사상: 비교연구 방법과 적용」, 서울: 박문사, 2023.
  40. 차선근, 「대순진리회의 시간관 연구(I)」, 「대순사상논총」 48, 2024. https://doi.org/10.25050/jdaos.2024.48.0.1
  41. 中文大辭典編纂委員會, 「中文大辭典」, 臺北: 中國文化大學出版社, 1973.
  42. Anthony F. Aveni, "Time," in Critical Terms for Religious Studies, ed. Mark C. Taylor,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8.
  43. Dan Styer, "Entropy as Disorder: History of a Misconception," The Physics Teacher 57:7, 2019. https://doi.org/10.1119/1.5126822
  44. Hillel Schwartz, "Sacred Time," in chief ed. Lindsay Jones, Encyclopedia of Religion, Vol 12, Detroit: Macmillan Reference USA, 2005.
  45. Jonathan Z. Smith, Imagining Religion: from Babylon to Jonestow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2.
  46. Thomas Fuchs, "The Cyclical Time of the Body and its Relation to Linear Time," Journal of Consciousness Studies 25-7-8, 2018.
  47. <> https://baike.baidu.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