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HP Analysis Research to Improve the Busan Port Ship Supplies Industry

부산항 선용품산업의 개선을 위한 AHP 분석 연구

  • Ei Mon Khaing ;
  • Cho, Ye-hee ;
  • Ha, Myoung-shin
  • 이 몬 카잉 (부경대학교 국제통상학부 ) ;
  • 조예희 (부산외국어대학교 탄뎀창업교육센터 ) ;
  • 하명신 (부경대학교 국제통상학부 )
  • Received : 2024.04.11
  • Accepted : 2024.06.28
  • Published : 2024.06.30

Abstract

The current situation of ports and related industries is transitioning from quantitative growth in increased cargo volume and expansion of port facilities to qualitative growth in the role of ports through the creation of high value-added. Ports are now recognized a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 by generating high value-added, not just by increasing the amount of cargo and expanding port facilities. This study evaluated the importance of factors affecting the improvement of the Busan Port's marine equipment industry by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to derive the priority of improvement measures by factor and evaluate the importance of factors affecting the marine equipment industry. The factors t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selecting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marine equipment industry were selected as four factors: strengthening price competitiveness, increasing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interest, strengthening promotion, and establishing a global network. The main sub-factors were composed of eight detailed evaluation factors by selecting two factors for each layer. The analysis was designed by dividing the factor hierarchy for selecting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marine equipment industry into three levels and creating survey questions for pairwise comparison. The priority of the analysis results using AHP showed that the factor with the highest priority was strengthening price competitiveness, followed by increasing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interest, establishing a global network, and strengthening promo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for the second-level sub-factors, among the factors for strengthening price competitiveness, low distribution costs and storage costs were considered most important, followed by avoiding excessive competition among marine equipment companies. Among the factors for increasing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interest, improving customs procedures and tariff refund procedures were considered most important, followed by strengthening incentives from the government and Busan City. Among the factors for establishing a global network, promoting large-scale marine equipment companies was considered most important, followed by actively participating in international marine equipment-related associations. Among the factors for strengthening promotion, active use of the Internet was considered most important, followed by hold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exhibitions. Based on this study, we hope to help activate Busan Port's market by enhancing its competitiveness through revitalizing its marine equipment industry, generating water traffic, and creating new value-added.

현재 항만 및 관련 산업 상황은 물동량 증가, 항만시설 확충 등 양적 성장에서 고부가가치 창출을 통한 항만 역할의 질적 성장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제 항만은 단순히 물동량을 늘리고 항만시설을 확충하는 것이 아니라, 고부가가치를 창출함으로써 경제성장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HP를 활용하여 요소별 개선방안의 우선순위를 도출하고, 해양기자재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중요도를 평가함으로써 부산항의 해양기자재산업 개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중요성을 평가하였다. 조선기자재산업 개선방안 선정 시 고려해야 할 요소는 가격경쟁력 강화, 정부 및 지자체 관심도 제고, 프로모션 강화,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등 4가지 요소로 선정됐다. 주요 하위요인은 각 계층별로 2개의 요인을 선정하여 8개의 세부 평가요인으로 구성하였다. 분석은 해양기자재산업 개선방안 선정을 위한 요인위계를 3단계로 나누고, 쌍별 비교를 위한 설문 문항을 작성하여 설계하였다. AHP를 활용한 분석결과 우선순위는 가격경쟁력 강화, 정부 및 지자체 관심 증대,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프로모션 강화 순으로 나타났다. 2차 하위요인에 대한 분석 결과, 가격경쟁력 강화요인 중 낮은 유통비용과 보관비용이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조선기자재업체 간 과도한 경쟁 지양이 나타났다. 정부와 지자체의 관심을 높이는 요인으로는 통관절차 개선과 관세환급절차 개선이 가장 중요하게 꼽혔고, 정부와 부산시의 인센티브 강화가 그 뒤를 이었다.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요소로는 대규모 해양 기자재 기업 육성이 가장 중요하게 꼽혔고, 그 다음으로는 국제 해양 기자재 관련 협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꼽혔다. 홍보 강화 요인으로는 인터넷의 적극적인 활용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내 및 해외 전시회 개최가 그 뒤를 이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해양기자재산업 활성화를 통한 경쟁력 제고, 수로교통 창출,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을 통해 부산항 시장 활성화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부경대학교 자율창의학술연구비(2023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강태수(2005), 부산지역 항만서비스산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선용품산업을 중심으로, 부경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 강태호, 조정형(2021), 선용품 및 서비스공급기업 인증 브랜드 색채에 관한 연구, 부경대학교,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3. 구민지(2011), 부산항 선용품산업의 활성화 방안 연구, 동의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 김길수.박병권(2001), 선용품업계에서의 전자상거래 시장규모 예측에 관한 연구, 해양한국, 2001권 7호.
  5. 김상열 외 4명(2015), 항만물류산업이 항만 도시의 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항해양항만학회지 제39권 제3호.
  6. 김영득(2016), 한국 선용품산업의 활성화 방안, 한국해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7. 김성국(2006), 부산항의 부가가치를 위한 선용품공급업 활성화에 관한 연구, 한국마케팅관리학회, 제11권 제3호.
  8. 김유석(2018), 부산지역 선용품 산업 활성화를 위한 업체들의 인식 차이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찬호(2006), 선용품공급업의 활성화 방안 부산항 중심으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통권 제260호.
  10. 류형근.김봉수.이홍걸.양원.이철영(2004), 부산 항만 물류산업의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항만학회지, 제28권 제5호.
  11. 민세홍.최훈도.윤은영.강달원.김율성(2015), 부산항국제선용품유통센터 공동창고를 활용한 선용품 공동물류의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학회지, 제39권 제6호.
  12. 신혁성(2019,) 선용품산업 활성화를 위한 관세행정서비스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3. 이승훈(2014), AHP기법을 활용한 선용품공급업체 선정요인 우선순위 도출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4. 이은규(2013), 울산지역 선용품업체 현황과 육성방안, 부산대학교, 울산발전연구원.
  15. 이철영.문성혁(1998), 항만 관련 문제의 시스템고찰,한국해양항만학회지, 제2권 1호.
  16. 이홍걸(2017), 부산항 국제 선용품 공급업 경쟁력 제고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 33호.
  17. 임재욱(2013), 부산항 선용품공급업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한국무역학화지, 제38관 제3호.
  18. 조원길(2021), 선용품산업과 공급업체의 경쟁력 제고 전략에 관한 연구, 관세학회지, 제22권 제1호.
  19. 하명신(2005), 부산항 선용품 산업의 현황과 과제, 항만산업 활성화 심포지움 발표자료.
  20. 하충현(2021), 선용품 업체 관리 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1. 한국해양수산개발원(2006), 항만물류산업의 클러스터화 및 활성화 방안 연구.
  22. 황성민(2016), 선용품공급업체의 활성화 방안 부산 선용품 산업을 중심으로, 한국해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