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WHO. (2022). ICD-11 for mortality and morbidity statistics. https://icd.who.int/browse11/l-m/en.
- WHO. (2019).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11th revision). https://www.who.int/classifications/classification-of-diseases.
- 안주연(2021). 내가 뭘 했다고 번아웃일까요. 경기: 창비.
- 고재욱(2013).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관 사회복지사를 중심으로.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9. 65-94.
- 신은혜(2018). 아동보호전문기관 사회복지사의 클라이언트로부터의 폭력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경숙(2019). 노인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직무착근도가 직무소진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한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황순애(2021). 방문요양보호사 소진 경험에 관한 연구. 예명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이병기(2020).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온라인쇼핑몰 콜센터 상담사를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오연희, 손현동, 오익수(2019). 근거이론에 의한 초등학교 교사의 소진과 회복 경험에 관한 연구, 교육문화연구. 25(4), 553-576. https://doi.org/10.24159/JOEC.2019.25.4.553
- 이윤정, 박재연(2019). 정신병원에 종사하는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클라이언트로부터의 폭력피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7(3). 91-119.
- 장일영, 기영화(2020). 교권침해 경험 초등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회복과정. 교육문화연구. 26(3), 239-267. https://doi.org/10.24159/JOEC.2020.26.3.239
- 최혜윤, 김은하(2019) 상담전문가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3(4). 1477-1499.
- 보건복지부(2022). 2022년 장애인복지 시설 일람표.
- 서해정, 장기성, 송기호(2019). 장애인주간보호시설 운영현황 실태조사, 한국장애인개발원.
- 윤민석(2013). 서울시 성인발달장애인의 사회서비스욕구와 정책과제. 서울연구원정책과제연구보고서. 1-137.
- 서울시(2022), 장애인복지시설 사업안내. 270
- 김금낭, 김혜선(2020). 급변하는 시대에 사회복지사의 직업정체성, 서비스의 질 그리고 선제적 행동과의 관계 : 선제적 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0.37 . 55-81.
- 보건복지부(2023).제III권 2021년 장애인복지시설 사업안내.
- 김고은(2021). 장애인복지 종사자 대상 도전적 행동지원교육의 효과성 연구 - 주간보호센터와 생활시설종사자를 중심으로 -. 한국장애인복지학. 53.
- A. R. Hochschild, A. R. (1983).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human feeling.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Kaschka, W. P., Korczak, D., & Broich, K. (2011). Burnout: A fashionable diagnosis. Deutsches Arzteblatt International, 108, 781-787.
- Maslach, C. & Jackson, S.E.(1981).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ccupational Behavior, 2, 91-113. https://doi.org/10.1002/job.4030020205
- 박은아(2014). 성인의 대인외상경험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 낙관성과 관계의 질의 다중매개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Schaefer, J. A., & Moos, R. H. (1992). Life crisis and personal growth, In B. N Carpenter (eds.), Personal coping :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 New York: Praege.
- Chen, C. Y., Yang, C. Y., & Li, C. I. (2012). Spiritual leadership, follower mediators, and organizational outcomes: Evidence from three industries across two major chinese societie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42(4), 890-938. https://doi.org/10.1111/j.1559-1816.2011.00834.x
- Wrzesniewski, A., McCauley, C., Rozin, P., & Schwartz, B. (1997). Jobs, careers, and callings: People's relations to their work.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31(1), 21-33. https://doi.org/10.1006/jrpe.1997.2162
- 최금자(2000). 일과 영성과 리더십. 산업경영 연구. 8(1), 23-51.
- 김한별, 안아라, 허효인(2015). 종교생활의 맥락에서 살펴본 성인의 영성학습 과정: 가톨릭신자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평생교육학연구. 21(2), 1-29.
- Fry, L. W. (2003). Toward a theory of spiritual leadership. The Leadership Quarterly, 14(6), 693-727. https://doi.org/10.1016/j.leaqua.2003.09.001
- 유규창, 서재현, 김종인(2010). Workplace Spirituality의 개념적 정의와 모델, 인사조직연구. 18(4). 153-199.
- Colaizzi, P. F.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phenomenologist views it.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48-71.
-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Newbury Park, CA: sage.
- 박지혜, 최수찬, 이지선, 심세연, 이지혜(2017). 중소기업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우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효과. 융합정보 논문지. 7(1), 1 - 9.
- 한광현(2017). 일터영성, 영적성숙도, 그리고 소진의 관계: 일터영성 측정척도 개발을 바탕으로.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41(2), 81-107.
- 권미영(2020). 특수교육종사자의 번아웃에 대한 영성의 필요성.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9(2). 147-166.
- Skovholt, T. M. (2001). The resilient practitioner: Burnout prevention and self care strategies forcounselors, therapist, teachers, and health professionals. New York, Routledge,
- 김영희(2020). 장애인주간보호시설 사회복지사의 중증발달장애인 돌봄 과정에서의 폭력경험 연구.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고은, 김호신(2019).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이 종사자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종사자 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미래사회복지연구. 10(3). 216-245. https://doi.org/10.22836/KASWPR.2019.10.3.216
- 장승진(2023). 민원담당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산업진흥연구. 8(3), 111-123. https://doi.org/10.21186/IPR.2023.8.3.111
- 김중경, 이선주, 김원종(2020). 간호사의 내부지향적 정책, 사회적지지 및 직무배태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3), 89-95. https://doi.org/10.5762/KAIS.2020.21.3.89
- 김연수, 박미하(2022).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과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외상 후 성장의 매개효과: 대리외상을 경험한 자살위기 전화상담자를 대상으로. 인문사회 21. 13(6), 77-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