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Cognitive Behavior Therapy Program to reduce child gambling game behavior

아동 도박성게임 행동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Received : 2024.06.24
  • Accepted : 2024.07.16
  • Published : 2024.07.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gram to prevent recurrence, focusing on cognitive and behavioral factors to reduce gambling game behavior in children,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to analyze basic data necessary for prevention education. Eight children in the 4th to 6th grades of male students were selected, an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were formed, and the effectiveness was verified only after 3 months after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nducted once a week. First, irrational gambling beliefs, the level of gambling problems, automatic thinking for children, and the level of gambling problems were reduced through cognitive behavior therapy programs to reduce gambling game behavior in children. Changes in maladaptive thinking that directly affect gambling game behavior instilled awareness of gambling game behavior. Second, self-control and impulsiveness, the behavioral variable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but decreased in the overall average. Changes in cognitive variables influenced behavioral variables. Third, it was found to continue even 3 months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Changes in cognitive and behavioral variables later reduced children's gambling game behavior and helped school life and peer relationships through adaptive thinking.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 도박성 게임 행동 감소를 위한 인지적·행동적 요소에 중점을 두고 재발 방지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여 예방 교육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분석하였다. 남학생 4~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8명을 선별하여 실험, 통제집단을 구성하여 주 1회 프로그램을 진행 후 실험집단에 한하여 3개월 후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첫째, 아동 도박성 게임행동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비합리적 도박신념, 도박문제 수준, 아동용 자동적 사고, 도박문제수준이 감소되었다. 도박성 게임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부적응적 사고의 변화는 도박성 게임행동에 대한 경각심을 심어주었다. 둘째, 행동적 변인인 자기통제력, 충동성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전체 평균에서는 감소하였다. 인지적 변인의 변화가 행동적 변인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프로그램 종료 후 3개월 후에도 지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적, 행동적 변인의 변화는 추후 아동의 도박성 게임행동을 감소시키고 적응적인 사고를 통해 학교생활과 또래 관계에 도움이 되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선중.김교헌.최지욱(2006). 아동의 성인도박 인식실태와 도박성 게임행동 예측요인. 한국심리학회지:건강, 11(1), pp. 147-163..
  2. 권선중.김교헌.성한기.이민규.강성군(2007). 성인과 남자 청소년의 불법 인터넷 도박 문제와 위험요인 그리고 예방전략.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1), pp. 1-19.
  3. 권선중(2018). 청소년 도박문제를 예측하는 비합리적 신념의 탐색: 우울과 불안의 촉진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중독, 3(2). pp. 27-38. https://doi.org/10.23147/ADDICTPSY.PUB.3.2.27
  4. 김현숙(2011). 생태체계적 관점에 따른 아동,청소년의 신체적, 사회정서적, 인지적 발달 영향요인 - 여성한부모와 양부모 자녀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3(4), pp. 175-201.
  5. 남현미.옥선화(2001). 가족의 심리적 환경과 청소년의 자기 통제력 및 친구특성이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9(7), pp. 37-58.
  6. 신준섭.이충환(2017). 인터넷 음란물 경험과 자기 통제력이 청소년의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24(5), pp.1-29.
  7. 양정남.최은정.이명호.소영(2011). 청소년의 우울, 충동성, 가족의 전반적인 건강성이 청소년의 비합리적 도박신념과 도박행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 연구. 18(5), pp. 357-383.
  8. 이민경(2017). 청소년의 가족갈등과 학교환경 요인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충동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한영대학원대학교 박사논문.
  9. 이은희(2007). 초등학생의 컴퓨터 게임 몰입 정도와 충동성 및 공격성과의 관계.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주식(2002). 초등학생의 컴퓨터게임 몰입 및 현실 지각수준에 따른 인성 특성의 차이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1. 이재경.이래혁.장혜림(2020). 청소년의 돈내기 게임 접촉방식과 문제 도박의 관계: 온라인과 오프라인 방식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20(7), pp. 39-148.
  12. 이해경.임동훈.김혜원(2014). 남녀 청소년들의 도박 행동에 대한 충동성, 스트레스, 도박신념 및 부모애착의 영향력 차이. 청소년복지연구, 16(3), pp. 257-285.
  13. 이흥표(2003). 비합리적 도박신념이 병적도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2(2), pp. 415-434.
  14. 장정연(2011). 청소년 사행성 게임행동에 관한 연구: 선별도구(SOGS-RA)평가와 영향요인.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 (2015). 2015 청소년 도박 문제 실태조사, pp. 27-192
  16. 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 (2018). 2018 청소년 도박 문제 실태조사, pp. 30-120
  17. 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 (2022), 2022 청소년 도박 문제 실태조사, pp. 26-121
  18. 황여정.이정민.김수혜(2020). 위기청소년 현황 및 실태조사 기초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pp. 1-246.
  19. 한영근.김주일.이영글(2018).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 이용이 도박경험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연구, 57(2), pp. 363-390.
  20. Beck, A. T., Rush, A. J., Shaw, B. F., & Emery, G. (1979). Cognitive therapy of depression. New York: Guilford Press.
  21. Eysenck, S. B. G., Eysenck, H. J., & Barrett, P. (1985). A revised version of the psychoticism scal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6,21-29. https://doi.org/10.1016/0191-8869(85)90026-1
  22. Gottfredson, M.,& Hirschi, T.(1990). A general theory of cirme. Stanford California: Standford Uinersity of Press.
  23. Kendall, P. C & Wilcox, L. E. (1979). Self-control in Children: Development of a Rating scale. Journal of consulting & Clinical Psychology. 47, pp. 1020-1029. https://doi.org/10.1037/0022-006X.47.6.1020
  24. Schniering, RM Rapee.(200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easure of children's automatic thoughts:the children's automati thoughts scale.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0 (9), 1091-1109. https://doi.org/10.1016/S0005-7967(02)00022-0
  25. Steinberga, L., Tremblaya, A., Zacka, M., Bustoa, U. E., &, Zawertailoa, L. A. (2011). Effects of stress and alcohol cues in men with and without problem gambling and alcohol use disorder. Drug and Alcohol Dependence, 119(1-2), 46-55. https://doi.org/10.1016/j.drugalcdep.2011.05.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