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소비자행동 측면에서의 마이데이터 제도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and the Improvement of the MyData System from a Consumer Behavior Perspective

  • 이영종 (고려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
  • 이성엽 (고려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 Young-Jong Lee (Graduate School of Management of Technology, Korea University) ;
  • Seong-Yeob Lee (Graduate School of Management of Technology, Korea University)
  • 투고 : 2024.06.25
  • 심사 : 2024.07.16
  • 발행 : 2024.07.31

초록

마이데이터는 '개인정보이동권'을 통해 개인정보에 관한 정보주체의 권리를 강화하고 본인정보를 활용하여 초개인화 맞춤형 서비스를 가능케 하는 데이터 활용의 새로운 패러다임이다. 우리나라 마이데이터 제도는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을 '개인정보 전송요구권'이라는 제도로 구체화하였고, 이를 통해 새로운 마이데이터 산업을 창출하고 있다는 점에서 세계적으로 선도적인 제도로 평가된다. 이에 본 연구는 제도 시행 3년 차인 우리 마이데이터 제도를 소비자행동 관점에서 분석·평가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규제정책과 소비자행동 관련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서 소비자행동 관점에서의 제도 분석 및 평가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마이데이터 관련 소비자행동 연구들에서 마이데이터 이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선별하여 소비자행동 관점에서 제도를 분석하기 위한 항목으로 채택하였다. 소비자행동 관점에서 제도를 분석한 결과, 우리 마이데이터 제도는 소비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들을 비교적 잘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이용 편리성과 개인정보 보호와 같이 양면적 가치가 있는 경우에는 규제적 성격이 좀 더 우선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마이데이터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소비자 권리가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시장 친화적으로 제도 개선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실증적 소비자행동 연구와 규제정책 연구를 융합하여 마이데이터 제도 개선방안 도출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들과 차별성을 가진다.

MyData is a new entity that strengthens the rights of information subjects through the 'right to data portability' and utilizes data to enable hyper-personalized services using personal information. Korea's MyData system is recognized globally as an outstanding system in that it is creating a new MyData industry by granting the right to information self-determination through the 'right to request data transmission'. Now in its third year, this study evaluates Korea's MyData system from a consumer behavior perspective and identifies issues for improvement. To this end, this study reviewed previous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gulatory policy and consumer behavior to determine the applicability of a consumer behavior perspective in institutional evaluation. In addition, in a study on consumer behavior related to MyData, variables that affect the use of MyData were investigated and evaluation items from a consumer behavior perspective were derived. As a result of evaluating Korea's MyData system from a consumer behavior perspective,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considered important by consumers were appropriately reflected in the system. However, in cases where there are dual values of ease of use an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regulatory aspects tend to take priority. Therefore, in order to revitalize the MyData industry, it is essential to implement market-friendly system improvements without compromising consumer rights.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studies in that it attempted to derive a plan for system improvement by combining empirical consumer behavior research and regulatory policy research.

키워드

참고문헌

  1. 4차산업혁명위원회(2021), 마이데이터 발전 종합정책, 제23차 회의 심의안건, 12.
  2.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2022), 마이데이터 가이드북. https://www.kdata.or.kr/mydata/www/board/guide_01/boardView.do?bbsIdx=8# (검색일, 2024.6.5.)
  3. 오세진, 이재준(2021), 마이데이터 국내외 현황 및 주요 해외 사례, 산은조사월보, 제784호, 10.
  4. 이성엽, 조성은, 정원준, 계인국, 정용찬, 강현정, 고환경, 윤주호(2022), 「마이데이터와 법」, 박영사, 212.
  5. 금융위원회(2024), "마이데이터 2.0 추진 방안", 1.
  6. 구혜경, 나종연(2014), 소비자중심적 금융상품 정보에 대한 평가 : 변액보험 상품리플렛을 대상으로, 소비자학연구, 25(2), 158-161.
  7. Lunn, P.(2014), Regulatory Policy and Behavioural Economics, OECD, 61-64.
  8. Sunstein, Cass R.(2011), Empirically Informed Regulation, University of Chicago Law Review, 78(4), 1365-1366.
  9. 배순영(2019), 행동경제학의 소비자정책 적용 사례 및 시사점 : Oecd 소비자정책위원회에서의 논의를 바탕으로, 소비자정책동향, 293-315.
  10. 이윤식(2018), 「정책평가론」, 서울: 대영문화, 17-18.
  11. 노화준(2015), 「정책평가론」, 파주: 법문사, 36-37.
  12. 정인숙(2008), 디지털전환 정책에 대한 형성평가 분석, 한국방송학보, 22(5), 287-322.
  13. 신열(2019), 정책분석평가 실제에서의 평가이론 적용.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9(4), 317-342.
  14. 이민호, 심우현(2020), 행동경제학 기반의 규제혁신체계 구축 방안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연구보고서 2020, 182.
  15. 장우영, 송경재, 임정빈(2011), 온라인 공공서비스와 정책거버넌스, 한국인사행정학회보, 10(1), 139-161.
  16. F.D. Davis. (1989),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13(3), 319-340.
  17. 김진유, 강명수, 이정훈(2022), 마이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인식이 만족도 및 금융서비스 전환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관광, 항공산업에 대한 함의, 한국항공경영학회지, 20(5), 89.
  18. Davis, F., Bagozzi, R. and Warshaw, P.(1989), User Acceptance of Computer Technology: A Comparison of Two Theoretical Models, Management Science, Vol.35, No.8, 985.
  19. Kim, H.-W., Chan, H. C., & Gupta, S.(2007), Value-based adoption of Mobile Internet: An empirical investigation, Decision Support Systems, 43(1), 111-126.
  20. 김영대, 윤혜정, 김상진, 신용태(2021), 지각된 가치와 신뢰가 마이데이터 서비스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IT정책경영학회 논문지, 13(4), 2579-2585.
  21. 손창용, 박현선, 김상현(2022), 금융 마이데이터 서비스 특성과 수용의도의 관계: 개인혁신성과 기술적 보안성의 조절효과. 지식경영연구, 23(4), 133-157.
  22. 정인구, 손조기, 윤성준(2020), 혁신제품 수용의향에 관한 연구: 통합기술수용이론, 기술준비도와 가치기반수용모델을 중심으로. 마케팅관리연구, 25(4), 91-93.
  23. Venkatesh, V., Morris, M. G., Davis, G. B., and Davis, F. D.(2003),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Toward a unified view, MIS Quarterly, 27(3), 447.
  24. Ram, S.(1987), A model of innovation resistance. AdVAMces in Consumer Research, 14(1), 208-212.
  25. 성행남, 이태원(2022), 마이데이터서비스 이용자의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혁신저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22(6), 321-337.
  26. Parasuraman, A., Zeithaml, V. A., and Berry(1988), SERVQUAL: A Multiple 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Retailing, 64(1), 12-40.
  27. 송균석, 남윤형, 권혁찬(2007), 정책연구 : 중소기업지원정책 품질에 대한 수혜자 만족도 분석: 서브퀄(Servqual) 요인을 중심으로, 중소기업연구 / Asia Pacific Journal of SamallBusiness, 29(2), 271-293.
  28. 장철영(2007), e-서브퀄(e-SERVQUAL) 요인을 이용한 전자정부 e-행정서비스 질 평가 :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19(2), 367-404.
  29. 강신배, 이철규(2023), 금융기관 이용자의 지각된 서비스 품질이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국내 금융분야 마이데이터를 중심으로, 한국경영공학회지, 28(2), 81-95.
  30. 김수현(2022), 마이데이터서비스 속성이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2(10), 271-278.
  31. 이정우, 김철민, 송영규, 박현지(2022), 마이데이터서비스 수용 의도와 요인에 대한 사용자와 금융사직원의 인식 비교 연구: Q 방법론을 활용하여. 한국IT서비스학회지, 21(3), 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