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data and chance task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Focusing on Korea, the U.S., and Australia

한국, 미국, 호주 초등 수학 교과서의 자료와 가능성 영역에 제시된 과제 비교 분석: 인지적 요구 수준과 발문을 중심으로

  • Park, Mimi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Lee, Eunjung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Received : 2024.04.19
  • Accepted : 2024.05.30
  • Published : 2024.07.31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levels of cognitive demand and questioning types in tasks of 'Data and Chance' presented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in Korea, the United States, and Australia. The levels of cognitive demand of textbook task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knowledge and process and thinking types required in the tasks. The tasks were also analyzed for questioning types, answer types, and response types. As a result, in terms of knowledge and process and thinking types in tasks, all three countries had something in common: the percentage of tasks requiring 'representation' and process was the highest, and the percentage of tasks requiring 'basic application of skill/concept' was also the highest. From a thinking types perspective,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extbook tasks in the three countries in graph and chance learning. The results of analyzing questioning types showed that in all three textbooks, the percentage of observational reasoning questions was highest, followed by the percentage of factual questions. The propor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ng questions included in the U.S. and Australian textbooks differed from those in the Korean textbook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esents implications for constructing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 tasks in 'Data and Chance.'

이 연구에서는 한국, 미국, 호주 초등 수학 교과서의 자료와 가능성 영역에 제시된 과제의 인지적 요구 수준과 발문 유형을 비교·분석하였다. 과제의 인지적 요구 수준은 과제에서 요구하는 지식과 과정 및 사고 유형을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과제의 발문 유형과 더불어 과제의 정답 유형과 응답 유형을 분석하였다. 과제의 인지적 요구수준을 분석한 결과, 세 나라 모두 과제의 지식과 과정의 측면에서는 '표현'이, 사고 유형의 측면에서는 '개념/기능적용'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이 외에도 사고 유형의 측면에서 그래프 학습과 가능성 학습에 있어 세 나라 교과서 과제의 차이점을 발견하였다. 발문 유형을 분석한 결과, 세 나라 모두 '관찰 추론 발문'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사실 발문'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구성 발문'의 경우, 미국과 호주 교과서 과제와 우리나라 교과서 과제에 제시된 특징이 다르게 나타났다. 분석 결과에 비추어 초등학교 자료와 가능성 영역에서의 교과서 과제 구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은성(2020). 한국과 호주의 초등수학교과서 비교 연구-자료와 가능성 영역을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31(2), 213-227.
  2. 고은성, 탁병주(2022).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에서 가능성 지도에 대한 고찰과 개선 방안 탐색. 수학 교육, 61(1), 29-45.
  3. 교육부(2021a). 수학 1-1, 비상 교육.
  4. 교육부(2021b). 수학 1-2, 비상 교육.
  5. 교육부(2021c). 수학 2-1, 비상 교육.
  6. 교육부(2021d). 수학 2-2, 비상 교육.
  7. 교육부(2021e). 수학 3-1, 비상 교육.
  8. 교육부(2021f). 수학 3-2, 비상 교육.
  9. 교육부(2021g). 수학 4-1, 비상 교육.
  10. 교육부(2021h). 수학 4-2, 비상 교육.
  11. 교육부(2021i). 수학 5-1, 비상 교육.
  12. 교육부(2021j). 수학 5-2, 비상 교육.
  13. 교육부(2021k). 수학 6-1, 비상 교육.
  14. 교육부(2021l). 수학 6-2, 비상 교육.
  15. 교육부(2022).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16. 구미영, 이광호(2015). 인지적 요구 수준 및 사고수준의 발달방향에 따른 초등학교 길이 측정 단원의 수학과제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9(3), 387-408.
  17. 권하나, 김구연(2021). 한국과 미국 중학교 교과서의 기하영역 수학과제 비교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3), 1531-1557.
  18. 김서영(2020). 통계적 소양의 관점에서 한국, 미국, 싱가포르의 통계 단원 관련 초등 수학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분석.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나귀수, 권혁상, 김소영, 최현민, 김동원(2023).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나타난 수학적 추론 양상 탐색: 3~4학년 도형 관련 단원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33(4), 1137-1159.
  20. 도주원(2021a). 초등수학 교과서의 자료와 가능성 영역에 제시된 발문의 유형과 기능 분석. 수학교육, 60(3), 265-279.
  21. 도주원(2021b). 초등수학의 규칙성 영역 단원에 제시된 발문의 특성 분석. 초등수학교육, 24(4), 189-202.
  22. 도주원(2022a). 초등수학 교과서의 도형 및 측정 영역에 제시된 발문의 특성. 초등수학교육, 25(4), 313-328.
  23. 도주원(2022b). 초등수학 교과서의 수와 연산 영역 단원에 제시된 발문 특성 연구. 수학교육 논문집, 36(1), 89-105.
  24. 박상욱, 박교식, 김지원(2014). 미국 초등학교 수학교과서 'Everyday Mathematics'의 확률 영역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8(3), 475-492.
  25. 우정호(2017). 학교수학의 교육적 기초.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6. 유현주, 조영미, 나귀수, 고은성, 고정화, 이동환(2019). 초등수학 교재연구와 지도. 동명사.
  27. 이경화 외 44인(2022).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최종안) 개발 정책연구(11-B552111-000034-01). 한국과학창의재단 보고서.
  28. 이은정(2022). 5-6학년군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과제의 인지적 노력 수준과 발문 유형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24), 275-290.
  29. 이자미, 고은성(2019).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들의 그래프 이해 능력 조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3, 169-192.
  30. 장혜원, 김민회, 박찬혜, 이연주, 표주은(2021). 수학교과서의 비교 분석을 통한 '가능성' 지도 방안 탐색. 학교수학, 23(1), 101-121.
  31. 정영옥, 장경윤, 탁병주, 강현영, 서동엽, 박선화, 남진영, 김구연, 고호경, 김진호, 권나영(2016). 수학교육과정 국제 비교 분석 연구 - 미국, 싱가포르, 영국, 일본, 호주의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6(3), 371-402.
  32. 조가은, 박만구(2021). 한국과 미국 초등수학교과서의 도형 영역 발문 유형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5(3), 315-336.
  33. 탁병주(2020).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통계 그래프의 틀에 대한 교육적 고찰. 초등수학교육, 23(4), 157-173.
  34. 탁병주, 고은성(2022). 통계적 문제해결 교육의 관점에 따른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자료 수집 지도 방식 분석: 3~4학년군을 중심으로. 초등수학교육, 25(4), 329-341.
  35. 한국통계진흥원(2017). 2017 고교 실용통계 교수.학습자료 개발. 한국통계진흥원.
  36. 황현미, 방정숙(2007).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그래프 이해 능력 실태 조사. 학교수학, 9(1), 45-64.
  37. Ben-Zvi, D., & Gil, E. (2010). The role of context i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informal inferential reasoning. In C. Reading (Ed.), Proceedings of the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eaching Statistics (ICOTS8, July, 2010), Ljubljana, Slovenia.
  38. Curcio, F. R. (1987). Comprehension of mathematical relations hips expressed in graph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8(5), 382-393. https://doi.org/10.2307/749086
  39. Dixon, J. K., Burger, E. B., Leinwand, S. J., Larson, M. R., & Sandoval-Martinez, M. E. (2015a). Go math!-K (Student edition). Houghton Mifflin Harcourt.
  40. Dixon, J. K., Burger, E. B., Leinwand, S. J., Larson, M. R., & Sandoval-Martinez, M. E. (2015b). Go math!-1 (Student edition). Houghton Mifflin Harcourt.
  41. Dixon, J. K., Burger, E. B., Leinwand, S. J., Larson, M. R., & Sandoval-Martinez, M. E. (2015c). Go math!-2 (Student edition). Houghton Mifflin Harcourt.
  42. Dixon, J. K., Burger, E. B., Leinwand, S. J., Larson, M. R., & Sandoval-Martinez, M. E. (2015d). Go math!-3 (Student edition). Houghton Mifflin Harcourt.
  43. Dixon, J. K., Burger, E. B., Leinwand, S. J., Larson, M. R., & Sandoval-Martinez, M. E. (2015e). Go math!-4 (Student edition). Houghton Mifflin Harcourt.
  44. Dixon, J. K., Burger, E. B., Leinwand, S. J., Larson, M. R., & Sandoval-Martinez, M. E. (2015f). Go math!-5 (Student edition). Houghton Mifflin Harcourt.
  45. McSeveny, A., Parker, A., McSeveny-Foster, D., McSeveny, R., Johnson, E., Collard, B. (2018a). Australian signpost maths F (Student book). Pearson.
  46. McSeveny, A., Parker, A., McSeveny-Foster, D., McSeveny, R., Johnson, E., Collard, B. (2018b). Australian signpost maths F (Student book). Pearson.
  47. McSeveny, A., Parker, A., McSeveny-Foster, D., McSeveny, R., Johnson, E., Collard, B. (2018c). Australian signpost maths 1 (Student book). Pearson.
  48. McSeveny, A., Parker, A., McSeveny-Foster, D., McSeveny, R., Johnson, E., Collard, B. (2018d). Australian signpost maths 2 (Student book). Pearson.
  49. McSeveny, A., Parker, A., McSeveny-Foster, D., McSeveny, R., Johnson, E., Collard, B. (2018e). Australian signpost maths 3 (Student book). Pearson.
  50. McSeveny, A., Parker, A., McSeveny-Foster, D., McSeveny, R., Johnson, E., Collard, B. (2018f). Australian signpost maths 4 (Student book). Pearson.
  51. McSeveny, A., Parker, A., McSeveny-Foster, D., McSeveny, R., Johnson, E., Collard, B. (2018g). Australian signpost maths 5 (Student book). Pearson.
  52. McSeveny, A., Parker, A., McSeveny-Foster, D., McSeveny, R., Johnson, E., Collard, B. (2018h). Australian signpost maths 6 (Student book). Pearson.
  53. Moyer, S., & Milewicz, E. (2002). Learning to questions: Categories of questioning used by preservice teachers during diagnostic mathematics interviews.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5, 293-315.
  54. Sahin, A., & Kulm, G. (2008). Sixth grade mathematics teachers' intentions and use of probing, guiding, and factual questions.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1(3), 221-242. https://doi.org/10.1007/s10857-008-9071-2
  55. Sahm, C. U. (2015). Curriculum counts: NYC public schools and the Common Core. Civic Report. Retrieved from https://www.manhattaninstitute.org/html/curriculum-counts-nyc-publicschools-and-common-core-6360.html
  56. Son, J.-W. (2012). A cross-national comparison of reform curricula in Korea and the US in terms of cognitive complexity: The case of fraction addition and subtraction. ZDM, 44(2), 161-174. https://doi.org/10.1007/s11858-012-0386-1
  57. Stein, M. K., Smith, M. S., Henningsen, M., & Silver, E. (2000). Implementing standards-based mathematics instruction: A case book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Teachers College Press.
  58. Vacc, N. N. (1993). Implementing the "Professional standards for teaching mathematics": Questioning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The Arithmetic Teacher, 41(2), 88-91. https://doi.org/10.5951/AT.41.2.00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