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고려대학교에서 지원된 연구비로 수행되었음.
References
- 교육부(2022).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및 각론(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교육부.
- 교육부(2023a. 02. 23).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방안[보도자료]. Retrieved from https://webst.edunet.net/AI디지털교과서/%EB%94%94%EC%A7%80%ED%84%B8%20%EA%B8%B0%EB%B0%98%20%EA%B5%90%EC%9C%A1%ED%98%81%EC%8B%A0%20%EB%B0%A9%EC%95%88.pdf
- 교육부(2023b. 06. 08). AI 디지털교과서 추진방안[보도자료]. Retrieved from https://eiec.kdi.re.kr/policy/materialView.do?num=239513&pg=&pp=20&topic=O
- 김경현(1991). 학교현장의 교육. 대한교과서주식회사.
- 김미량, 조혜경, 한정혜, 한광현(2009). 초등학교 교사의 로봇활용교육프로그램 수용의도에 관한 영향요인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6(1), 427-449. https://doi.org/10.24211/TJKTE.2009.26.1.427
- 김미량, 한광현(2006). 교원의 정보통신기술(ICT) 활용 촉진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3(3), 143-166.
- 김태웅, 오미경, 김미량(2010). 사이버 학습의 지속적 수강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EBS 강좌와 사설 이러닝 강좌 수강학생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6(3), 363-383.
- 김현수(2010). 교육용 게임 콘텐츠 재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2(20), 33-42.
- 김현진(2017). 초등학교 역량기반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연구. 교원교육, 33(4), 95-111.
- 김희정, 김동중, 김소민, 김원, 문제웅, 이기마, 오영석, 곽도경, 김정헌, 최지웅, 김혜인, 소병락, 박윤호, 이진영, 이초희(2023). 중등 수학 AI 디지털교과서 서비스 모델 및 프로토타입 개발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
- 류지헌(2008). 초등학교 수학용 디지털교과서가 성별 및 적용환경에 따라 학업성취와 매체인식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24(3), 53-83.
- 박현주(1996). 교육과정의 재구성과정: 개별적 교육과정. 교육학연구, 34(1), 231-249.
- 방담이, 윤회정(2022). 인공지능기반 에듀테크에 대한 초.중등학교 교사의 신뢰 탐색. 교육연구, 85, 227-247. https://doi.org/10.17253/SWUERI.2022.85..012
- 서수현, 정혜승, 노들(2022). 초등 교사의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인식 - 디지털 역량에 대한 인식과 디지털 교과서 활용 경험을 중심으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6(5), 427-437.
- 손태권(2023). 수학 수업에서 예비교사의 인공지능 프로그램 '똑똑! 수학 탐험대' 사용 의도 이해: 자기효능감과 인공지능 불안, 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62(3), 401-416.
- 송민호(2016). 디지털교과서 및 소프트웨어교육의 도입에 따른 수학교육 관점에서의 공학적 도구 설계 및 활용에 관한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1), 333-352
- 송해덕(2011).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 활용이 초등학교 수학교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초등교육연구, 24(4), 421-437.
- 안성훈(2021). 온라인 콘텐츠 활용 교과서의 개념과 미래형 교과서의 방향 정립을 위한 이론적 고찰. 창의정보문화연구, 7(4), 257-264. https://doi.org/10.32823/JCIC.7.4.202111.257
- 안성훈, 김혜숙, 황준성, 주길홍, 서지훈, 안석훈, 이상현, 이정태(2020). 디지털교과서 현황 분석 및 향후 추진 방안 연구(연구자료 KR 2020-2).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
- 안성훈, 안석훈(2021). 디지털교과서 활용 정책에 대한 국제 비교 연구. 창의정보문화연구, 7(2), 111-118. https://doi.org/10.32823/JCIC.7.2.202105.111
- 윤지훈(2021). 포스트코로나시대의 교과서 개발과 적용의 지향. 한문교육논집, 56, 5-28.
- 윤채림(2024). [인터뷰] AI 디지털교과서는 수학 수업을 어떻게 바꿀 것인가(김희정 수학교육과 교수). Retrieved from https://kuen.korea.ac.kr/news/articleView.html?idxno=789
- 이경순(2012).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교사의 관심 변화 과정 분석. 교육과학연구, 43(2), 23-52.
- 이경하(1993). 교과서 내용과 교사의 인식 차이에 관한 분석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이기마, 이유정, 김희정(2023). 국내 AI 수학 학습 플랫폼의 적응형 학습에 대한 분석. 한국학교수학회 논문집, 26(3), 245-268.
- 이귀윤(1997). 교육과정 연구-과제와 전망. 교육과학사.
- 이상구, 이재화, 박경은(2017). 대화형 수학 디지털교과서 개발과 활용 사례 연구 - 선형대수학을 중심으로 -. 수학교육 논문집, 31(3), 241-255.
- 이주연(2000). 교과서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활용 실태 분석.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이현경, 조영환, 금선영(2022). 학습자 데이터 기반 맞춤형 수업설계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교육공학연구, 38(1), 37-67.
- 이혜숙, 권성룡(2009). 디지털교과서 활용 효과에 관한 영향 - 6학년 수학 쌓긴나무 단원을 중심으로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3(1), 97-114.
- 이혜연(2006). e-Learning의 사용자 및 품질적 특성이 학습성과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 이화영(2023). 개별 맞춤형 학습을 위한 인공지능(AI) 기반 수학 디지털교과서의 학습자 데이터 구축 모델. 초등수학교육, 26(4), 333-348.
- 임병노(2012). 디지털교과서 활용에 대한 현장교사의 인식 및 개선방안 연구. 교육공학연구, 28(2), 317-346.
- 임희정(2021). 미래 초등영어 교과서에 대한 교사 인식 및 요구도 연구. 한국초등교육, 32(1), 107-121. https://doi.org/10.20972/KJEE.32.1.202103.107
- 정화민, 배재권(2009). e-Learning 재이용의도의 영향 요인 분석: TAM과 Flow 이론을 통합한 실증연구. e-비즈니스 연구, 10(3), 203-234. https://doi.org/10.15719/GEBA.10.3.200909.203
- 주정흔(2023).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교육의 실제와 쟁점. 교육비평, 52, 23-63.
- 최미애(2011). 디지털교과서 지속 활용을 위한 영향요인 분석.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 한국교육개발원(2023. 02. 16). AI 기반 맞춤형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경험[KEDI Brief 2024년 1호]. Retrieved from https://www.kedi.re.kr/khome/main/research/selectKediBriefForm.do
-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23). AI 디지털교과서 개발 가이드라인(교육자료 GM 2023-11).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
- 한승현, 류지헌, 김민정(2014). 디지털교과서 활용수업 상호작용 분석연구: 수학과 과학 수업을 중심으로. 교육방법연구, 26(3), 533-560. https://doi.org/10.17927/TKJEMS.2014.26.3.533
- 허남구(2016). 수학과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예비수학교사들의 인식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10), 364-372. https://doi.org/10.5392/JKCA.2016.16.10.364
- 허남구(2017). 예비수학교사들의 수학과 디지털교과서 개발 사례 연구: 기하와 함수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5), 99-120.
- 허남구, 류희찬 (2015). 활동 중심 수학과 디지털교과서의 개발 및 적용. 수학교육학연구, 25(2), 241-261
- Abd Majid, M. Z., & Mafarjaa, N. (2024). Understanding the educational Innovation practice in teaching and learning among economic teacher's in Klang valley. In SHS Web of Conferences (Vol. 182, p. 01005). EDP Sciences.
- Agarwal, R., & Prasad, J. A. (1998). A conceptual and operational definition of personal innovativeness in the domain of information technology.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9(2), 204-215. https://doi.org/10.1287/isre.9.2.204
- Ajzen, I., & Fishbein, M. (1980). Understanding the attitudes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r. Prentice-Hall Inc.
- Basyal, D. & Mainali, B. R. (2023). Mathematics textbook: Motivation, experiences, and didactical aspect from authors' perspectives.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5(3), 323-341. https://doi.org/10.1080/14794802.2022.2086608
- Braun, V., & Clarke, V. (2006).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3(2), 77-101. https://doi.org/10.1191/1478088706qp063oa
- Cho, K. (2017). Analysis of teacher perceptions of digital textbook use in Korea pilot schools. International Journal for Educational Media and Technology, 11(1), 76-81.
- Citrin, A. V., Sprott, D. E., Silverman, S. N., & Stem Jr., D. E. (2000). Adoption of internet shopping: The role of consumer innovativeness. Industrial Management & Data System, 100(7), 1-15.
- Cuban, L. (1986). Teachers and machines: The classroom use of technology since 1920. Teachers College Press.
- Davis, F. D. (1989).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13(3), 319-340. https://doi.org/10.2307/249008
- Davis, F. D., Bagozzi, R. P., & Warshaw, P. R. (1992). Extrinsic and intrinsic motivation to use computers in the workplace.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2, 1111-1132.
- Fullan, M. (2007). The new meaning of educational change (4th Ed.). Teachers College Press, Columbia University.
- Hoyrup, J. (2002). Lengths, widths, surfaces: A portrait of old Babylonian Algebra and its Kin. Springer. http://akira.ruc.dk/~jensh/Publications/2002_LWS.pdf
- Justia. (2022). 2011 Indiana code: Title 20. education. Retrieved July 11, 2022 from https://law.justia.com/codes/indiana/2011/title20/article18/chapter2/
- Kilpatrick, J. (2014). From clay tablet to computer tablet: The evolution of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In K. Jones, C. Bokhove, G. Howson, & L. Fan (Eds.),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thematics Textbook Research and Development 2014 (ICMT-2014) (pp. 3-12). Southampton, University of Southampton. http://eprints.soton.ac.uk/374809
- Kim, Y. W. (2013). A study of primary school teachers' awareness of digital textbooks and their acceptance of digital textbooks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1(2), 9-18. https://doi.org/10.14400/JDPM.2013.11.2.009
- Kim, H. S. (2015). An analysis of classroom ecosystem using digital textbook.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18(3), 109-138. https://doi.org/10.29221/jce.2015.18.3.109
- OECD (2023). Country Digital education ecosystems and governance: A companion to digital education outlook 2023. OECD Publishing. https://doi.org/10.1787/906134d4-en
- Schmidt, W. M., Porter, A. C., Floden, R. E., Freeman, D. J., & Schmille, J. R. (1987). Four patterns of teacher content decision-making.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19(5), 439-455. https://doi.org/10.1080/0022027870190505
- Venkatesh, V. (1999). Creation of favorable user perceptions: Exploring the role of intrinsic motivation. MIS Quarterly, 23(2), 239-260. https://doi.org/10.2307/249753
- Venkatesh, V. & Davis, F. D. (2000). 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ur longitudinal field studies. Management Science, 46(2), 186-204. https://doi.org/10.1287/mnsc.46.2.186.11926
- Webb, M. E., & Cox, M. J. (2004). A review of pedagogy related to ICT. Technology, Pedagogy, and Education, 13(4), 235-285. https://doi.org/10.1080/147593904002001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