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부모의 육아종합지원센터와 유아교육진흥원의 가정양육지원 서비스 제공에 대한 적합성 인식

Parent's Perception of the Suitability of the Childcare Support Center and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motion Institute for the Providing Home Childcare Support Services

  • 정슬기 (경기도북부육아종합지원센터) ;
  • 강정원 (한국성서대학교 영유아보육학과)
  • Seulgi Jung ;
  • Jeongwon Kang
  • 투고 : 2024.06.24
  • 심사 : 2024.07.25
  • 발행 : 2024.07.31

초록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analyze parents' perception of the suitability of the 'Childcare Support Center (C.S.C.)' and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motion Institute(E.C.E.P.I)' as home care support service providers. Methods: The goals and content of the home parenting support service offered by the C.S.C. and E.C.E.P.I. were analyzes based on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ir websites, publications, and various promotional materials. There were categories into 18 services across 5 categories. Responses of 421 parents, gathered through a questionnaire developed with reference to previous studi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Results: Parents reported high degree of suitability for the organizations they used. Those familiar with both institutions found E.C.E.P.I. more suitable overall. However the C.S.C. was considered particularity suitable by parents of children aged 0-2 years and by those with no prior experience with either institution. The perceived suitability of the two institutions varied by service, depending on factors such as the age group of the children, whether the parents lived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whether they were part of a double-income household. Conclusion/Implications: These findings ha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of integrated policie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which should take into account parents' perceptions of the functions of institution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민정 (2015). 기관 미이용 영아기 자녀의 어머니를 위한 지역중심 자녀양육지원 프로그램 개발. 유아교육연구, 35(5), 281-300. doi:10.18023/KJECE.2015.35.5.013
  2. 고연경 (2019). 원가족 경험과 핵가족 내 양육태도 및 가족적응의 관계에서 자기분화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고재경 (2019). 부모소모임에 참여하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중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교육부 (2024. 6). 국민이 믿고 편안히 아이를 맡길 수 있도록 유보통합 실행계획 마련, 보도자료,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294&boardSeq=99230&lev=0&search Type=null&statusYN=W&page=1&s=moe&m=020402&opType=N 에서 2024년 6월 27일 인출
  5. 국가법령정보센터 (2024a). 영유아보육법시행령. https://www.law.go.kr/법령/영유아보육법 시행령에서 2024년 7월 21일 인출
  6. 국가법령정보센터 (2024b). 영유아보육법. https://www.law.go.kr/법령/영유아보육법에서 2024년 7월 21일 인출
  7. 권미경, 박원순, 엄지원 (2016). 가정 내 양육 내실화 방안 연구(연구보고 2016-08).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https://www.kicce.re.kr/main/index.do에서 2024년 6월 28일 인출
  8. 권종애 (2024). 시간제 보육 제공기관 담당자의 생각과 경험 연구: 어린이집 및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6(1), 35-52.
  9. 김경미 (2019). 델파이조사를 활용한 육아종합지원센터 양육지원 사업 평가지표 개발. 한국영유아보육학, 0(119), 27-51. doi:/10.37918/kce.2019.11.119.27
  10. 김미정, 이지선 (2024). 유보통합 추진에 따른 경기도 광역 육아종합지원센터의 발전 방향(현안보고서 2024-05). 수원: 경기도여성가족재단.https://www.gwff.kr/base/board/read?boardManagementNo=1&boardNo=6668&menuLevel=3&menuNo=26에서 2024년 6월 28일 인출
  11. 김민재 (2017). 장난감 도서관을 이용하는 부모들의 이용 현황 및 만족도, 개선 요구 조사 : 성남아이사랑놀이터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설아 (2015). 시간제 보육서비스에 대한 영유아 부모의 이용 실태와 인식도.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수정, 이유미 (2021).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육아자조모임 활동이 부모효능감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교육연구, 13(3), 231-250. doi:10.36431/JPE.13.3.11
  14. 김아름, 최윤경, 심현기, 박유경 (2023). 관리체계 일원화를 위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 관련 지방 단위 업무 분석(연구보고 2023-01).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https://www.nkis.re.kr/subject_view1.do?otpId=OTP_0000000000012423&otpSeq=0&popup=P에서 2024년 6월 30일 인출
  15. 김인희 (2021). 유치원 교사의 유아교육진흥원체험시설 및 이용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인천광역시 유아교육진흥원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도미향 (2013). 육아지원 전달체계로서의 시군구보육정보센터의 역할과 개선방안. 한국가족복지학, 18(4), 681-700. doi:10.13049/kfwa.2013.18.4.681
  17. 문희선 (2018). 서울유아교육진흥원의 학부모 연수 운영방법 개선을 위한 수강생의 만족도 조사.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3(2), 31-59. doi:10.20926/ETPIYC.2018.3.2.2
  18. 박선경 (2017). 영아 부모의 장난감도서관 이용과 놀이감 선택에 대한 연구. 한국성서대학교 보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박창현, 김근진, 최윤경 (2018). 2018 유아교육 발전을 위한 서울특별시교육청유아교육진흥원의 역할 재구조화 - 서울특별시교육청유아교육진흥원의 10년의 성과와 과제(연구보고 2018-01). 서울: 서울특별시교육청유아교육진흥원, https://nl.go.kr/seoji/contents/S80100000000.do?schM=intgr_detail_view_isbn&isbn=9791185540115#open에서 2024년 6월 30일에 인출
  20. 손경화 (2017). 가정양육지원사업에 대한 부모의 만족도와 요구수준 분석.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엄문영 (2024, 4). 유보통합 시행을 위한 조직 및 관리 체계 개편 방안. 한국유아교육학회 2024 춘계정기학술대회 발표논문, 충남.
  22. 엄민정 (2021). 영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의 양육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여경하 (2014).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서비스에 대한 보육교직원과 부모의 이용현황 및 요구.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육길나, 강은진 (2016). 육아종합지원센터 내 그림책육아 부모소모임 교육에 관한 실행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4), 269-293. doi:10.22154/JCLE.17.4.12
  25. 윤경미 (2023).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역할 및 기능 탐색: 유보통합에 관한 보육전문요원과 센터장의 심층 면담을 중심으로. 에듀테인먼트연구, 5(4), 141-153. doi:10.36237/koedus.5.4.141
  26. 윤덕우 (2011). 저출산 사회에서의 확대가족 유용성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이도은 (2021). 육아종합지원센터 가정양육지원사업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및 요구 조사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이봉선 (2017). 육아종합지원센터 서비스에 대한 보육교직원과 부모의 중요도와 만족도 비교 연구. 우석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이신경 (2014). 유아체험 교육기관의 실태 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운영방안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이자형, 김성순 (2020). 부산광역시육아종합지원센터 기능 및 역할 재정립 방안(연구보고서 2020-11),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0501459에서 2024년 6월 19일 인출
  31. 이혜정, 이인회, 이지혜 (2015). 유아교육진흥원 역할과 운영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 견해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6(10), 6743-6750. doi:10.5762/KAIS.2015.16.10.6743
  32. 이희은 (2016). 전북지역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지역사회 자원 연계 실태와 요구 분석. 우석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 (2015. 12). 2015 전국 육아종합지원센터 사업보고대회. http://central.childcare.go.kr/ccef/community/data/DataSl.jsp?BBSGB=50&flag=Sl&BID=54957에서 2024년 06월 30일 인출
  34.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2024. 6). 저출생 추세를 반전시키기 위한 3대 핵심분야 총력 지원 + 사회인식 변화 노력 강화, 보도자료.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36646&pWise=mSub&pWiseSub=C2#pressRelease에서 2024년 6월 19일 인출
  35. 전효정 (2024). 저출생 문제해결을 위한 한자녀 기혼여성의 후속 출산의향 예측: 머신러닝 방법의 적용. 한국보육지원학회지, 20(2), 127-143. doi:10.14698/jkcce.2024.20.02.127
  36. 정미라, 김경숙, 이방실 (2013).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경험하는 양육지원에 대한 질적연구. 유아교육연구, 33(2), 163-189. doi:10.18023/kjece.2013.33.2.008
  37. 정현심 (2023).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접근성 현황 분석: 서울시 25개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1), 773-786. doi:10.22251/jlcci.2023.23.11.773
  38. 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 (n.d.) 가정양육지원, https://central.childcare.go.kr/lcentral/d1_40000/d1_600061/600221.jsp에서 2024년 7월 9일 인출
  39. 진경선, 김고은 (2020). 후속 출산을 포기한 한 자녀 어머니들의 임신.출산 및 양육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6(4), 1-29. doi:10.14698/jkcce.2020.16.04.001
  40. 최미란, 장경은 (2017).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와 후속 출산의도의 관계: 직업만족도의 조절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3(4), 53-73. doi:10.14698/jkcce.2017. 13.04.053
  41. 최명희 (2016). 육아종합지원센터 부모교육의 시대적 변화 추이.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2. 최세나 (2018). 장난감도서관을 이용하는 부모들의 이용 경험과 대여 장난감 활용 실태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최수정 (2015). 유아교육진흥원(체험교육원)의 유아 체험교육 프로그램 운영실태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최은영 (2015). 유아교육진흥원 발전 방안(2015 이슈페이퍼),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https://www.nkis.re.kr/subject_view1.do?otpId=KICCE00032968&otpSeq=0&popup=P에서 2024년 6월 30일 인출
  45. 최혜미 (2015). 장난감도서관을 이용하는 어머니들의 경험과 요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최효미, 김태우 (2023). 유보통합을 위한 재원분석과 이관 방안(연구보고 2023-02),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5470에서 2024년 6월 30일 인출
  47. 통계청 (2023. 3). 2022 한국의 사회지표. https://www.kostat.go.kr/unifSearch/search.es에서 2024년 6월 30일 인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