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이 논문은 2023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3S1A5A2A01078528)
참고문헌
- 강성리, 조현근 (2020). 장애유아의 놀이 참여와 교사의 놀이 지원에 관한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경험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25(5), https://doi.org/405-430. 10.20437/KOAECE25-5-15
- 교육부 (2023). 2023 특수교육통계. 교육부 국립특수교육원.
- 국가법령정보센터 (2024).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https://law.go.kr/법령/장애인등에대한특수교육법에서 2024년 6월 9일 인출.
- 권택환 (2020). 통합교육 환경에서 장애영역 추이 변화에 따른 시사점과 공동체 의식 함양을 위한 과제. 인성교육연구, 5(2), 127-142. https://doi.org/10.46227/JCER.5.2.7
- 김미경, 허계형, 최영해 (2011). 특수유아교육. 교육아카데미.
- 김영태 (2002). 아동 언어 장애의 진단 및 치료. 학지사.
- 김영천 (2006). 질적연구방법론I. 문음사.
- 김태영 (2021). 장애 위험 유아의 부모에 대한 유아교사의 발달 검사 권유 경험. 한국교원교육연구, 38(1), 61-82. https://doi.org/10.24211/tjkte.2021.38.1.61
- 박소현, 김영태 (2008). 통합어린이집에서의 언어치료 지원내용 및 지원방안에 대한 질적 연구. 특수교육학연구, 43(3), 253-273.
- 박창현, 김상림 (2016). 유아의 기관이용시간이 언어, 인지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교사-유아상호작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2(3), 197-210. https://doi.org/10.14698/jkcce.2016.12.03.197
- 방현실 (2020). 2019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교사연수 요구도.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7(1), 67-98. https://doi.org/10.23197/scece.2020.7.1.004
- 배민정 (2020). 장애위험유아에 대한 일반어린이집 교사의 인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9(2), 23-38. https://doi.org/10.23944/Jsers.2020.06.59.2.2
- 서경희, 전홍주 (2016). 어린이집 일반학급에 통합된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또래관계 행동.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0(1), 299-322.
- 서수민 (2023).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화용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언어치료연구, 32(2), 21-34. https://doi.org/10.15724/jslhd.2023.32.2.021
- 손고은, 신동주 (2023). 코로나19 상황에서 마스크 착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유아교육학논집, 27(1), 5-29. https://doi.org/10.32349/ECERR.2023.2.27.1.5
- 안소현, 이병인, 배성현 (2023). 유아교사의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연 유아지도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유아특수교육연구, 23(2), 23-53. https://doi.org/10.21214/kecse.2023.23.2.23
- 원종례, 엄수정 (2007). 장애유아의 성공적인 통합교육 실행을 위해서 필요한 지원에 대한 원장및 교사들의 인식: 통합교육 지원 컨설팅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유아특수교육연구, 7(2), 47-81.
- 윤근호 (2024. 6). [충남일보-대전교육청 공동캠페인] '장애 특성 고려한 맞춤형 지원'... 모두를위한 특수교육 실현. 충남일보, http://www.chungnam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766904에서 2024년 6월 9일 인출.
- 이소현 (2006). 장애영유아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질적 구성 요소-정책적 제도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유아특수교육연구, 6(2), 83-107.
- 이소현 (2011). 개별화교육과정. 학지사.
- 이소현, 윤선아, 안의정, 허수연, 나지희 (2022). '2019 개정 누리과정'운영에 따른 통합유치원 유아특수교사의 특수교육대상유아 지원 경험과 인식. 유아특수교육연구, 22(1), 31-62. https://doi.org/10.21214/kecse.2022.22.1.31
- 이승환 (2002). 의사소통장애개론. 하나의학사.
- 이영철 (2003).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자연적인 언어중재의 고찰. 정신지체연구, 5, 17-34.
- 이윤경 (2011). 언어발달지체 영유아의 언어 및 의사소통 능력과 인지, 운동 및 사회성 발달과의관계. 언어청각장애연구, 2011(16), 1-12.
- 이진경, 조윤경 (2011). 보육교사의 언어발달지연 유아 선별에 따른 지원 실태와 요구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4), 1-26.
- 이효진 (2001). 단순언어장애 아동 대화의 말차례 특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장지영, 조윤경 (2022). 「2019년 개정 누리과정」실행에서 장애통합어린이집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경험 분석: 질적 면담을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8(6), 101-126. https://doi.org/10.14698/jkcce.2022.18.06.101
- 장지은 (2023). 개정 누리과정 운영에 따른 유아교사의 통합교육 실행 경험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30(2), 1-28. https://doi.org/10.22155/JFECE.30.2.1.28
- 조금희 (2007). 아동언어장애와 언어치료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은영, 김은영, 구자연, 조혜주, 정윤경, 심영규 (2022). 코로나19 이후 영유아 발달 및 학습 격차 해소방안 연구(I)(연구보고 2022-24). 서울:육아정책연구소.
- 최은정 (2009). 학령기 말더듬 아동과 일반 아동의 담화능력 비교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표윤희, 김정연, 김시원 (2017). ACC앱을 활용한 중재가 언어발달지체유아의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연구, 16(2), 57-80. https://doi.org/10.18541/ser.2017.05.16.2.57
- 한유리 (2018). 초보연구자를 위한 질적 자료 분석 가이드. 박영story.
- Adams, A. M., & Gathercole, S. E. (1995). Phonological working memory and speech production in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38(2), 403-414. https://doi.org/10.1044/jshr.3802.403
- Hedges, H., & Lee, D. (2010). 'I understood the complexity within diversity': Preparation for partnership with families in early childhood settings. Asia-Pacific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8(4), 257-272. https://doi.org/10.1080/1359866X.2010.515939
- Hatch, J. A. (2018). 교육 상황에서 질적 연구 수행하기(진영은 옮김). 학지사. (원판 2002).
- Lucas, E. V. (1980). Semantic and pragmatic language disorder: Assessment an remediation. Aspen Systems Corp.
- Montgomery, J. W. (2003). Working memory and comprehension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What we know so far.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36(3), 221-231. https://doi.org/10.1016/S0021-9924(03)00021-2
- Morgan, D.L. (1997). Focus groups as Qualitative research(2nd ed.). Sage.
- Owens, R. E. (2001). 언어발달(Language Development: An introduction, 5th ed)(이승복 옮김). 시그마프레스.
- Paul, R. (2007). Language disorder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Mosby.
- Seidman, I. (2009). 질적 연구 방법으로서의 면담 교육학과 사회과학 분야의 연구자들을 위한 안내서(박혜준, 이승연 옮김). 학지사. (원판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