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ffect of ESG Activity of Automobile Parts Manufacturing Company on the Job Satisfaction of Organizational Members

자동차 부품 제조기업의 ESG 활동이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Jeong, Soo-Cheol (Department of Start-up Management,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 정수철 (창원대학교 창업학과)
  • Received : 2024.03.09
  • Accepted : 2024.05.02
  • Published : 2024.06.30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s of ESG management activities of auto parts manufacturers on organizational trust, organizational immersion, and job satisfaction, and to examine the intermediate effects of organizati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immersion between ESG management activities and job satisfaction. Research models and hypotheses were established by referring to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empirical analysis of the preceding studies, and 221 questionnaires were secured for members of Busan and Gyeongnam-based auto parts manufacturers C, E, G, and S for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nergy saving, regional cluster construction, and compliance ethics manage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SG management activities and organizational trust. Second, in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ESG management activities on organizational immersion, compliance ethics management showed significant results (+). Third,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trust and job 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result of affection (+). Fourth, organizational immersion has been analyzed to have an effect on Jung (+) that is significant for job satisfaction. Finally, the analysis of the parameters of organizati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immersion showed that both variables had a medium effect. In conclusion, it was an opportunity for auto parts makers to recognize that they can increase their members' job satisfaction by making efforts to increase trust and immersion in the organization through ESG activities.

본 연구는 자동차 부품 제조기업의 ESG 경영 활동이 조직신뢰와 조직몰입 그리고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ESG 경영 활동과 직무만족 사이에서 조직신뢰와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들의 이론적 배경과 실증분석 결과들을 참고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실증분석을 위하여 부산·경남소재 자동차 부품 제조기업인 C사와 E사, G사 그리고 S사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221부의 설문지를 확보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ESG 경영 활동과 조직신뢰와의 관계 규명에서 에너지절감, 지역클러스터구축, 준법윤리경영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ESG 경영 활동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분석에서 준법윤리경영이 유의한 정(+)의 성과를 보였다. 셋째, 조직신뢰와 직무만족과의 관계 분석에서 유의한 정(+)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넷째, 조직몰입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조직신뢰와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분석에서 두 변수 모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자동차 부품 제조기업들은 ESG 활동을 통하여 조직에 대한 신뢰와 몰입을 높이려는 노력을 기울임으로써 구성원들의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수정(2005). 사회복지인력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공.사부분 종사자의 비교. 박사학위 논문, 영남대학교.
  2. 강인주(2015).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고용가능성과 경력학습 및 경력동기의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8(1), 1-25.
  3. 김남현.박봉규.송경수(1999). 조직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과 개인특성, 직무특성 및 태도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조직과인사관리연구, 23(1), 51-88.
  4. 김성대(2017). 호텔기업 환경전략이 조직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신뢰의 매개효과. 관광경영연구, 21(5), 39-62.
  5. 김성모.박남태(2024). 성과주의 조직문화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직무자율성과 직무중요성의 매개효과 비교 연구.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8(1), 1-18.
  6. 김성식.이영면(2020). CSR활동 추진동기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Korea Business Review, 24(4), 117-140.
  7. 김성엽.이지안.유정환.박성민(2023). 서번트리더십과 조직공정성이 MZ세대 공무원의 직무몰입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공공봉사동기 매개효과와 세대 간 다중집단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조직학회보, 20(3), 1-37.
  8. 김현수(2021). ESG 경영 성과에 대한 연구의 현황과 발전 방향: 한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한중사회과학연구, 60, 64-83.
  9. 민소라.나소정(2022). ESG 경영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호텔 기업을 중심으로. 글로벌경영학회, 19(4), 156-177.
  10. 민재형.김범석(2019). 기업의 ESG 노력은 지속가능경영의 당위적 명제인가? 기업의 재무상태에 따른 비재무적 책임 향상 노력의 차별적 효과. 경영과학, 36(1), 17-35.
  11. 박아영(2022). 카지노 기업의 ESG활동에 대한 종업원의 인식이 조직몰입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12. 박재현.한향원(2023). 중소기업의 ESG 평가지표 활용 방안: ESG 평가지표와 기업가치의 관계를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18(6), 87-104.
  13. 박판정(2023). 조직공정성과 직무몰입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산광역시 지방세 공무원 MZ세대를 대상으로. 박사학위논문. 부경대학교.
  14. 배영준.도성정.박현정.박상혁(2023). 국내 IT 기업 내 리더십 유형이 기업의 혁신저항에 미치는 영향: 조직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18(4), 103-116.
  15. 백규리(2022). 국내 호텔을 대상으로 한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척도개발: 소비자 관점.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16. 서유정(2023). 뷰티서비스 종사자의 조직지원인식이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직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17. 서귀동.전상길(2023). 사회적 경제기업의 사회적책임활동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직 신뢰, 조직몰입 매개효과로. 혁신기업연구, 8(1), 177-194.
  18. 송경수.박봉규.허갑수(1999). 직무특성과 자발적 조직행동 간의 관계. 경영과정보연구, 3, 353-398.
  19. 신동식(2010). 서비스 기업에서 내부마케팅 요인이 조직신뢰 및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여행사 직원을 중심으로-. 관광연구, 25(2), 293-316.
  20. 심미영.박인아.김하니(2023). 저비용 항공사(LCC) 종사자가 인식한 ESG 경영의 속성이 ESG의 진정성과 조직몰입, 조직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학연구, 47(7), 47-67.
  21. 안소영(2020). 호텔 직원의 CSR 동기가 진정성, 조직신뢰,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관광연구저널, 34(8), 159-175.
  22. 안용준(2021). 기업의 ESG 활동이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IT 플랫폼 기업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23. 안용준.이영숙(2021). 지역특성콘텐츠 활성화를 위한 애니메이션 캐릭터 연구.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24(3), 508-517.
  24. 안혜금.조태준(2022). 조직 신뢰와 직무만족 간 관계에 대한 조직공정성의 매개효과 연구: 다면평가 참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보, 21(1), 221-245.
  25. 유승현.김준성(2023). 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채용유형에 따른 목표모호성, 역할모호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조직학회보, 20(2), 79-120.
  26. 유종해(1994). 직무만족/불만족의 이원적 이론과 이에 대한 세가지 비판적 관점. 사회과학논총, 25, 111-150.
  27. 윤경만(2023). 외식기업의 ESG 경영이 기업명성, 기업신뢰,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동의대학교.
  28. 이경호(2010). 조직신뢰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직후원 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29. 이나경.임수영(2022). 기업 ESG활동이 내부종사원의 조직결속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유통경영학회지, 25(5), 77-91.
  30. 이선미.박종철(2022). 기업의 ESG 활동이 기업평판에 미치는 영향: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영컨설팅연구, 22(1), 257-267.
  31. 이예하(2023). 카지노 기업의 ESG 경영이 직원의 조직동일시, 자아존중감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K 카지노와 P 카지노를 대상으로.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32. 이용탁.주규하(2014). 사회적기업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직시민행동의 매개효과. 인적자원관리 연구, 21(3), 341-356.
  33. 이외승.신은철(2023).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 직무요구가 조직잔류에 미치는 영향 연구: 적응유연성을 매개효과로. 사회복지경영연구, 10(1), 163-187.
  34. 이정기.이재혁(2020). 지속가능경영 연구의 현황 및 발전방향: ESG 평가지표를 중심으로. 전략경영연구, 23(2), 65-92.
  35. 이준우.박선경.강윤지(2022). 중견.중소기업 종사원의 ESG 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래성장연구, 8(1), 59-83.
  36. 자본시장연구원(2020). 글로벌 ESG 투자의 최근 동향과 주요 논점. Retrieved from http://www.kcmi.re.kr/publications/pub_detail_view?syear=2020&zcd=002001016&zno=1514&cno=5409.
  37. 장석인(2023). 중소기업 조직구성원의 ESG 경영활동이 조직신뢰와 사내기업가정신을 매개로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충남.세종지역의 전기.전자 산업을 중심으로. 혁신기업연구, 8(4), 329-358.
  38. 장필식(2023). 외식산업 종사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종합적 연구: 혼합적 연구방법론의 적용.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39. 정선교.정기주.박남구(2020). 정부기관콜센터 상담사의 신뢰가 직무만족과 조직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기업경영리뷰, 11(3), 103-125.
  40. 최동주.이묘숙(2010). 서번트 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조직몰입과 조직신뢰의 매개효과 검증: 외식기업을 중심으로. 산업혁신연구. 26(1), 133-166.
  41. 최정윤.유두호.(2021). 지방정부 신뢰의 결정요인: 지역변화와 사회적경제 활설화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학연구, 40(2), 35-71.
  42. 황동연.배귀희(2019). 지방의회 위상정립과 지방의원 역량강화 방안: 서울시 의회를 중심으로. 국가정책연구, 23(2), 263-287.
  43. 황동연(2019). 공공조직에서 조직정치지각과 조직후원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조직신뢰와 직무만족의 매개변수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44. Argyle, M.(1989). The social psychology of work. London: Penguin Books.
  45. Aziri, B.(2011). Job satisfaction: A literature review. Management research & practice, 3(4).
  46. Becker, H. S.(1960). Notes on the concept of commitment.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66, 32-42.
  47. Carroll, A. B., & Shabana, K. M.(2010). The business case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 review of concepts, research and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management reviews, 12(1), 85-105.
  48. Collins English Dictionary & Thesaurus Online(2022a). job, Retrieved (2024.04.02) from https://www.collinsdictionary.com/dictionary/english/job.
  49. Collins English Dictionary & Thesaurus Online(2022b). satisfaction. Retrieved (2024.04.02.) from https://www.collinsdictionary.com/dictionary/english/satisfaction.
  50. Elkington, J.(1997). Cannibals with Forks: The Triple Bottom Line of Twentieth Century Business. US: Capstone Publishing.
  51. Fornell, C., & Larcker, D. F.(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39-50.
  52. Herzberg, F.(2017). Motivation to work. London: Routledge.
  53. Jex, S. M., & Britt, T. W.(2014). Organizational Psychology: A Scientist-Practitioner Approach.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54. Kuhlen, R. G.(1963). Needs, perceived need satisfaction opportunities, and satisfaction with occup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47, 56-64.
  55. Mazutis, D. D., & Slawinski, N.(2015). Reconnecting Business and Society: Perceptions of Authenticity i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Journal of Business Ethics, 131(1), 137-150.
  56. Moorman, C., Deshpande, R., & Zaltman, G.(1993). Factors affecting trust in market research relationships. The Journal of Marketing, 81-101.
  57. Morrow, P.(1983). Concept redundancy in organizational research: The case of work commitmen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8, 486-500.
  58. Morgan, R. M., & Hunt, S. D.(1994). The commitment-trust theory of relationship marketing. The Journal of Marketing, 20-38.
  59. Mowday, R. T., Porter, L. W., & Steer, R. M.(1982). Employee-organization linkages: The Psychology of commitment, absenteeism, and turnover. New York: Academic Press.
  60. Pagell, M. & Shevchenko, A.(2010). The Effects of Supply Chain Management Practices on Sustainable Perform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on Economics, 127(2), 238-248.
  61. Robbins & Judge(2018). Organizational Behavior 16e. London: Pearson.
  62. Rotter, J.(1966). Generalized expectancies for internal versus external control of reinforcement. Psychological Monographs, 80(1), 1-28.
  63. Shrout, P. E., & Bolger, N.(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 422-445.
  64. Weiss, H. M.(2002). Deconstructing Job Satisfaction: Separating Evaluations, Beliefs and Affective Experiences.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12(2), 173-1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