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mpirical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of Venture Firm's CSR: Focusing on Slack Resources and Growth Strategy

벤처기업의 사회적책임(CSR)활동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기업의 여유자원과 성장전략을 중심으로

  • Jang, Dong-Hyu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Technology Convergence) ;
  • Yeon, Ju-Ha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Technology Convergence) ;
  • Kim, Chun-Kyu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Technology Convergence)
  • 장동현 (충남대학교 기술실용화융합학과) ;
  • 연주한 (충남대학교 기술실용화융합학과) ;
  • 김천규 (충남대학교 기술실용화융합학과)
  • Received : 2024.05.13
  • Accepted : 2024.06.15
  • Published : 2024.06.30

Abstract

This study empirically derives the factors affecting the practice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of venture firms in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Slack Resource Theory and the company's growth strategy, and provides implications for future expansion of venture firm's CSR activities. In Korea, venture firms have grown into important players in the national economy since the late 1990s through social contributions such as economic value creation, job creation,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As venture companies grow in status, positive relationships with stakeholders and responsibility for environmental and social values are required. Now, CSR is becoming an important strategic choice for SMEs and venture firms. However, until now, CSR-related academic research has mainly focused on large or listed corporations, and there is not much research on SMEs or venture firms. In particular, research on the factors that lead venture companies to make important business decisions of participating in CSR activities is not there yet. This study applied logistic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2023 Survey on Venture Firms'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As a result of this study, operating profit, which is an available resources of venture companies, and government support, which is a potential resource, have a positive impact on venture firms's CSR activities. Also, business relationships with large corporations and expectation for future cooperation also have a positive impact on CSR activities as the determinants. On the other hand, it was analyzed that in venture firms where ownership and management are not separated, the higher the CEO's shareholding ratio, the more negatively it affects CSR activities. This study contributes academically as the first empirical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CSR activities of venture firms in Korea and provides implications that government policy support and collaboration between large corporations and venture firms are important in order to expand CSR activities of venture firms.

본 연구는 벤처기업의 사회적책임(CSR)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여유자원(slack resource)과 기업의 성장전략 측면에서 실증적으로 도출하고 향후 벤처기업 CSR 활동의 발전적 확대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벤처기업은 1990년대 후반부터 경제적 가치 창출과 고용 창출 및 기술 발전과 같은 사회적 기여를 통해 국가 경제의 중요한 주체로 성장하였다. 이런 벤처기업의 위상에 수반되는 것이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조화로운 관계 형성 및 환경과 사회적 가치에 대한 기업의 책임(CSR)이다. 이제 CSR은 중소벤처기업에게 중요한 전략적 선택이 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CSR 관련 연구는 주로 대기업이나 상장기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벤처기업을 포함한 중소벤처기업 관련 연구는 많지 않다. 특히 벤처기업이 CSR 활동 참여라는 중요한 사업적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자 한 연구는 아직 없다. 본 연구는 중소벤처기업부의'2023년 벤처기업정밀실태조사'를 활용하여 로지스틱 다중회귀 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로 벤처기업의 활용가능(available) 여유자원인 영업이익과 잠재적(potential) 여유자원인 정부의 정책지원금이 CSR활동에 긍정적 영향을 주며, 대기업과의 사업관계 및 향후 협력에 대한 기대도 CSR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반면 소유와 경영이 분리되지 않은 경우가 많은 벤처기업에서 대표자의 지분율이 높을수록 CSR 활동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벤처기업의 CSR 활동 영향요인에 관한 최초의 실증연구로서 학술적 의미가 있으며 벤처기업의 CSR 활동의 발전적 확대를 위해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대기업들과 벤처기업간 상생협력이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충남대학교 학술연구비에 의해 지원되었음

References

  1. 고성천.박래수(2011). 기업의 사회적책임활동(CSR) 결정요인과 기업가치. 세무와 회계저널, 12(2), 105-134.
  2. 곽배성.이재혁(2019). 국내 중소기업의 사회적 책임 연구 동향 분석 및 향후 연구 방향 제언. 전략경영연구, 22(3), 21-50. https://doi.org/10.17786/JSM.2019.22.3.002
  3. 김나미.김동수.이종선(2021). 중소기업의 사회책임경영: 사회적 책임 활동 다양성과 성과. 전략경영연구, 24(1), 83-103. https://doi.org/10.17786/JSM.2021.24.1.004
  4. 김나미.김영미(2023). 중소기업의 수출이 사회적 책임활동(CSR)에 미치는 영향: 이해관계자 압력과 성장단계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생산성연구: 국제융합학술지, 37(2), 69-101.
  5. 김선화.이계원(2013).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CSR) 관련 연구들에 대한 검토 및 향후 연구방향. 대한경영학회지, 26(9), 2397-2425.
  6. 김수욱(2010). 글로벌 강소기업의 성공요인 분석.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13(1), 87-114.
  7. 김신영.손성민.조부연(2024). 기업의 잉여자원(Slack)이 연구개발 성과에 미치는 영향: 기업의 기술사업화 역량을 매개로. 한국생산관리학회지, 35(1), 59-75.
  8. 김은혜.김장훈(2020). 내부역량 및 외부자원 활용이 벤처기업의 국제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원준거이론(RBV)의 확장. 전략경영연구, 23(1), 1-23. https://doi.org/10.17786/JSM.2020.23.1.001
  9. 김익성(2006). 한국 중소기업의 국제화 촉진을 위한 CSR평가체계: 경영관리체계 내 통합과 실천방안을 중심으로. 경상논총, 24(3), 113-141.
  10. 김종운(2016). 한국의 벤처기업은 태생적 글로벌기업인가: 벤처기업의 국제화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벤처창업연구, 11(3), 37-48. https://doi.org/10.16972/APJBVE.11.3.201606.37
  11. 김창수(2009).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과 기업가치. 한국증권학회지, 38(4), 507-545.
  12. 김향덕.이철규.(2018). 벤처기업의 외부협력이 기업성장에 미치는 영향: 기술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중소기업연구, 40(3), 77-96.
  13. 나도성.임욱빈.강용수(2011). 국내 중소기업CSR 활동이 재무적성과에 미치는 영향: B2B, B2C 중소기업의 차이분석을 중심. 디지털융복합연구, 9(6), 325-341. https://doi.org/10.14400/JDPM.2011.9.6.325
  14. 나영.홍석훈(2011). 기업규모에 따른 CSR 활동과 기업가치에 대한 실증분석. 회계저널, 20(5), 125-160.
  15. 나진성(2022). ESG 경영시대의 공급망 관리 분야 과제: 텍스트 분석을 활용하여.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27(5), 145-156. https://doi.org/10.9723/JKSIIS.2022.27.5.145
  16. 박다인.박찬희(2018). 벤처기업의 성장단계별 기업경쟁력 및 기업성과 창출 전략. 벤처창업연구, 13(6), 177-189. https://doi.org/10.16972/APJBVE.13.6.201812.177
  17. 박혜진.이지윤.왕박한(2022). 국내 기업의 ESG 위원회 도입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경영컨설팅연구, 22(3), 13-24.
  18. 서주환(2016). 기업가 정신 및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기업의 경영성과 관계.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6(4), 426-433
  19. 신중경.하규수(2013). 창업실패 요인 분류 및 실패 패턴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11(5), 257-265. https://doi.org/10.14400/JDPM.2013.11.5.257
  20. 신진교.조정일(2011). 중소기업의 사회책임경영(CSR)이 경영활동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중소기업연구, 33(1), 103-119.
  21. 신호창.신기하.김경이(2022). 대기업 동반성장 CSR 프로그램이 중소기업 구성원 열의와 기업시민 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포스코를 중심으로. PR연구, 26(2), 69-115.
  22. 오덕교.이기훈.신범철.이의영(2013). 중소, 중견기업의 사회책임경영의 도입 및 실행에 대한 실증분석. 생산성논집(구 생산성연구), 27(1), 385-418.
  23. 오지영.정성광(2023). 기업의 업종 및 소재지에 따른 ESG 이행에 관한 연구. 경영컨설팅연구, 23(4), 153-164.
  24. 오한모.안상봉(2019).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Multinational Service Ventures' Social Responsibility Engagement with Local Allies: A Focus on Propositional Development. 아태비즈니스연구, 10(1), 135-147.
  25. 육근효.최미화(2011). 기업의 사회적 책임, 소유구조, 재무성과 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53(1), 303-331.
  26. 윤상용.이형탁(2018). 중소기업의 사회적 책임 실천전략에 관한 연구. 전문경영인연구, 21(1), 61-81.
  27. 이걸주.이호갑.오덕교.(2017). 기업가치가 사회적 책임 (CSR) 활동에 미치는 영향. 회계와 정책연구, 22(6), 53-76.
  28. 이기은.윤병운(2012). Analysis of Success Factors for Innovation of Global Leading SMEs. 기술혁신학회지, 15(1), 76-104.
  29. 이민화.최선(2015). 1차 벤처붐의 성과에 대한 역사적 고찰과 평가. 중소기업연구, 37(4), 147-179.
  30. 이예림.박종서(2023). 벤처기업의 CSR과 국제화에 대한 연구: 국제통상 환경하의 국제화 촉진요인과 애로요인을 중심으로. 관세학회지, 24(4), 213-233.
  31. 이은지.조영주(2022).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CSR 연구동향. 서비스경영학회지, 23(5), 32-52.
  32. 이인성.강인원(2019).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조직몰입, 조직신뢰,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을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14(2), 235-248 https://doi.org/10.16972/APJBVE.14.2.201904.235
  33. 이채규.양동우(2018a). 중소벤처기업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활동이 조직문화유형에 따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21(34), 77-92.
  34. 이채규.양동우(2018b). 중소벤처기업의 경영전략유형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 연구: 조직문화유형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31(6), 1187-1211.
  35. 이춘우(2005). 벤처기업의 개념적 특성과 본질에 관한 연구. 경영학 연구, 34(2), 315-348.
  36. 이학식.임지훈(2015). SPSS22 매뉴얼, 서울: 집현재
  37. 장성희.마윤주(2014). 장기지향성이 CSR 활동과 사회적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5(5), 2703-2712. https://doi.org/10.5762/KAIS.2014.15.5.2703
  38. 장지인(2011). 공공기관 사회책임 (CSR) 경영의 현황과 발전과제. 공공기관과 국가정책, 2011, 55-86.
  39. 장지인.최헌섭(2010).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과 재무성과와의 관계. 대한경영학회지, 23(2), 633-648.
  40. 정용기(2012).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CSR) 성과요인과 지속성장성 예측. 대한경영학회지, 25(4), 2065-2089.
  41. 정진섭.우시진(2021). 4차 산업혁명과 ESG 경영: 유통산업의 한.중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1(3), 351-366.
  42. 조금제(2018).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중소기업 CSR의 활성화 방안. 벤처혁신연구, 1(1), 67-82. https://doi.org/10.22788/1.1.5
  43. 중소벤처기업부(2023a). 22년기준 중소기업실태조사. 중소벤처기업부, Retrieved from https://mss.go.kr
  44. 중소벤처기업부(2023b). 2023벤처기업정밀실태조사. 중소벤처기업부, Retrieved from https://mdis.kostat.go.kr
  45. 천동필.우청원(2020). CSR 활동이 벤처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기업의 성장단계를 구분하여. 벤처창업연구, 15(1), 225-235. https://doi.org/10.16972/APJBVE.15.1.202002.225
  46. 최아름.구지현(2016). 기업의 국제화와 경영성과: 사회적 책임활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8(2), 839-850.
  47. 최준혁.양동훈.배홍기(2017). CSR 은 기업의 여유자원의 결과인가?: 기업수명주기를 통한 분석. 회계정보연구, 35(3), 333-364.
  48. 최희원.문철우(2012). CEO 특성이 CSR 전략에 미치는 영향. 인사조직연구, 20(4), 103-136.
  49. 황호찬(2007). 중소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연구:기업규모 및 이해관계자의 영향을 중심으로. 중소기업연구, 29(2), 229-244.
  50. Attig, N., Boubakri, N., El Ghoul, S., & Guedhami, O.(2016). Firm internationalization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Journal of Business Ethics, 134, 171-197. https://doi.org/10.1007/s10551-014-2410-6
  51. Barnea, A., & Rubin, A.(2010).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s a conflict between shareholders. Journal of business ethics, 97, 71-86. https://doi.org/10.1007/s10551-010-0496-z
  52. Bode, C., & Singh, J.(2018). Taking a hit to save the world? E mployee participation in a corporate social initiative.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39(4), 1003-1030. https://doi.org/10.1002/smj.2762
  53. Bourgeois, III, L. J.(1981). On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slack.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6(1), 29-39. https://doi.org/10.2307/257138
  54. Bourgeois, L, & Singh V.(1983). Organizational slack and political behavior within top management teams. Acad Manage; 43-7.
  55. Brush, C. G., & Vanderwerf, P. A.(1992). A comparison of methods and sources for obtaining estimates of new venture performance.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7(2), 157-170. https://doi.org/10.1016/0883-9026(92)90010-O
  56. Carlisle, Y. M., & Faulkner, D. O.(2004).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 stages framework. European Business Journal, 16(4), 143-151.
  57. Carroll, A. B.(1991). The pyramid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oward the moral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stakeholders. Business horizons, 34(4), 39-48. https://doi.org/10.1016/0007-6813(91)90005-G
  58. Carroll, A. B.(1999).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Evolution of a definitional construct. Business & society, 38(3), 268-295. https://doi.org/10.1177/000765039903800303
  59. Chen, K., Liu, X., Li, Y., & Linderman, K.(2023). Government support and cross-border innovation: The effect of China's innovative city policy on Chinese firms' patenting in the United States. Production and Operations Management, 32(6), 1793-1811. https://doi.org/10.1111/poms.13941
  60. Daniel, F., Lohrke, F. T., Fornaciari, C. J., & Turner Jr, R. A.(2004). Slack resources and firm performance: a meta-analysi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7(6), 565-574. https://doi.org/10.1016/S0148-2963(02)00439-3
  61. Dimick, D. E., & Murray, V. V.(1978). Correlates of substantive policy decisions in organizations: The case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1(4), 611-623. https://doi.org/10.2307/255703
  62. George, G.(2005). Slack resources and the performance of privately held firm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8(4), 661-676. https://doi.org/10.5465/amj.2005.17843944
  63. Harjoto, M. A., & Jo, H.(2011). Corporate governance and CSR nexus. Journal of business ethics, 100, 45-67. https://doi.org/10.1007/s10551-011-0772-6
  64. Hemmert, M., Cross, A. R., Cheng, Y., Kim, J. J., Kotosaka, M., Waldenberger, F., & Zheng, L. J.(2022). New venture entrepreneurship and context in East Asia: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sian Business & Management, 21(5), 831-865. https://doi.org/10.1057/s41291-021-00163-1
  65. Mazzarol, T., & Reboud, S(2020). Innovation in Small Firms. Entrepreneurship and Innovation, 131-164
  66. Oh, W. Y., Chang, Y. K., & Martynov, A.(2011). The effect of ownership structure 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Empirical evidence from Korea. Journal of business ethics, 104, 283-297. https://doi.org/10.1007/s10551-011-0912-z
  67. Rajeev, A., Pati, R. K., Padhi, S. S., & Govindan, K. (2017). Evolution of sustainability in supply chain management: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162, 299-314. https://doi.org/10.1016/j.jclepro.2017.05.026
  68. Shepherd, D. A., Souitaris, V., & Gruber, M.(2021). Creating new ventures: A review and research agenda. Journal of Management, 47(1), 11-42. https://doi.org/10.1177/0149206319900537
  69. Stinchcombe, A.(1965). Organization-creating organizations. Trans-action, 2(2), 34-35. https://doi.org/10.1007/BF03180801
  70. Surroca, J., Tribo, J. A., & Waddock, S.(2010). Corporate responsibility and financial performance: The role of intangible resource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31(5), 463-490. https://doi.org/10.1002/smj.820
  71. Waddock, S. A., & Graves, S. B.(1997). The corporate social performance-financial performance link.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18(4), 303-319. https://doi.org/10.1002/(SICI)1097-0266(199704)18:4<303::AID-SMJ869>3.0.CO;2-G
  72. Wang, T.(2017). Long-term orientation, marketing and technological capabilities, and social responsibility in new ventures. In THE WORLD SCIENTIFIC REFERENCE ON ENTREPRENEURSHIP: Volume 3: Sustainability, Ethics, and Entrepreneurship (pp. 249-273).
  73. Wang, T., & Bansal, P.(2012). Social responsibility in new ventures: profiting from a long-term orientation.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33(10), 1135-1153. https://doi.org/10.1002/smj.1962
  74. Zuo, Y., Jiang, S., & Wei, J.(2022). Ca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mitigate the liability of newness? Evidence from China. Small Business Economics, 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