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조경가 정영선의 조경설계론 연구

A Study of Landscape Architect YoungSun Jung's Theory of Landscape Architecture

  • 안명준 (조경시공연구소 느티)
  • Ahn, Myung June (nTi Landscaping)
  • 투고 : 2024.03.01
  • 심사 : 2024.04.04
  • 발행 : 2024.06.30

초록

본 연구는 한국 조경을 살펴보기 위해 조경가 정영선에 집중하였다. 이를 위해 2014년까지의 작가의 사고, 정영선과 서안 작품, 관련 담론(조경가, 조경작품, 조경담론) 등을 대상으로, 조경설계안, 조경작품, 조경가의 사고 및 그것의 조경이론화 과정, 조경작품과 조경가의 설계사고 사이의 관계 등을 살펴보고 인터뷰(정영선 및 관련 인사), 문헌조사, 설계작품 분석 등의 방법으로 접근하였다. 자료를 종합한 결과 정영선 조경을 구분하여 볼 때, 조경을 처음 접하고 이를 수련하며 실무에 뛰어든 시기부터 독립 사무실을 운영하며 설계의 경향과 설계사고의 깊이를 달리하며 보이는 네 가지의 변곡 지점이 나타난다. 이 과정에서 초기 조경에 대한 학습기를 제외하면 정영선 조경의 범주는 현대 조경, 정원, 전통 조경의 세 가지로 나타났다. 이 세 가지 범주의 조경 활동을 통해 현대 조경의 수입과 내재화(현대조경론), 독자적 정원론의 성립과 그 실천(정원론), 전통 컴플렉스의 극복과 창의적 계승(전통조경론) 등의 세 가지 성취를 보여준다. 종합적으로 볼 때 정영선 조경은 지역주의적 사고와 작가주의적 사고의 실천이라 요약할 수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landscape architect Jung YoungSun to examine Korean landscaping. To do so, the research focuses on the artist's thoughts, her and Seoan's works, and related discourse (landscape architects, landscape works, and landscape discourse) up to 2014.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interviews (with Jung and related people), a literature survey, and the analysis of design works. As a result, four inflection points of Jung's landscape architecture career emerged, from the time she was introduced to landscape architecture, trained in it, and entered into practice, to the time she operated an independent office, showing different design trends and the depth of design thinking. In this process, excluding the early learning period, Jung's landscap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categories: contemporary landscapes, gardens, and traditional landscapes. Through these three categories of landscaping activities, Jung's achievements include the importation and internalization of modern landscapes (modern landscape theory), the establishment of her own garden theory and its practice (garden theory), and overcoming of tradition complexes and creative succession (traditional landscape theory). In sum, Jung's landscapes can be summarized as the practice of regionalists and auteurist thinking.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정삼(2012) 이안 맥하그의 조경관.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남기준(2008) 조경가 리뷰에 앞서 - 조경가 6인의 작품집과 저술에 대한 메모를 중심으로. 봄, 디자인 경쟁시대의 조경. 도서출판 조경. 
  3. 박승진(2013) 조경설계(design service)를 둘러싼 현실. 조경헌장 세미나 한국조경의 리얼리티 자료집. 한국조경학회. 
  4. 방경란, 최기수(1998) 영국 풍경식 정원가 'Capability Brown'의 스타일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6(3): 267-277. 
  5. 배정한(2003) 박정희의 조경관. 한국조경학회지 31(4): 13-24. 
  6. 백정희(2012) 한국 현대조경 정착기와 이후 발전에 관한 연구: 조경가 오휘영의 활동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서영애, 최정민, 조경진(2007) 이교원 조경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5(2): 13-24. 
  8. 승효상, 홍동원(2012) 모용공간. 글씨미디어. 
  9. 안명준, 박은영(2024) 근현대 자연주의 정원(Naturalistic Garden)의 전개와 한국적 자연주의 정원 고찰. 2024 한국조경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10. 양호정(2000) 프레드릭 로 옴스테드의 조경미학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우대준(2012) 작품으로서의 조경: 싹 트는 작가정신, 장인으로서의 조경가. 한국조경학회 40주년 기념집. 한국조경학회. 
  12. 이교원(1999) 작가가 되는 길, 그 멀고도 험한 여정(2). 월간 환경과 조경 1999년
  13. 이종건(2013) 건축 없는 국가. SPACETIME. 
  14. 인터뷰이A(2014) 2014년 6월 3일 인터뷰. 
  15. 인터뷰이B(2014) 2014년 6월 4일 인터뷰. 
  16. 인터뷰이C(2014a) 2014년 4월 28일 1차 인터뷰. 
  17. 인터뷰이C(2014b) 2014년 6월 11일 2차 인터뷰. 
  18. 정영선(1979) 서양조경사. 명보문화사. 
  19. 정영선(1982) 인간/자연, 교섭과 융화의 장소, 정자. 월간 조경 1982년 창간호. 
  20. 정영선(1987) 빌딩조경의 현황과 문제점. 월간 환경과 조경 1987년 5-6월호. 
  21. 정영선(1993) 호텔신라 전정조경과 환경조각물. 환경과 조경 1993년 8월호. 
  22. 정영선(1998a) 조경과의 조우, 그리고 나를 있게 한 소중한 것들. 월간 환경과 조경 1998년 1월호. 
  23. 정영선(1998b) 가야 할 길과 가보지 못한 길(나의길 나의작품 연재 중). 월간 환경과조경 1998년 7월호. 
  24. 정영선(1998c) 넘지 못한 그러나 넘어야 할 장벽들(나의길 나의작품 연재 중). 월간 환경과조경 1998년 9월호. 
  25. 정영선(1998d) 한송이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나의길 나의작품 연재 중). 월간 환경과조경 1998년 10월호. 
  26. 정영선(1998e) 길 속의 길 속의(나의길 나의작품 연재 중). 월간 환경과조경 1998년 11월호 
  27. 정영선(1999) 조각공원의 새로운 가능성에 거는 기대. 월간 환경과조경 1999년 9월호. 
  28. 정영선(2001) '들풀'에서 찾는 행복. 월간 환경과조경 2001년 7월호. 
  29. 정영선(2002) 되돌아 본 한국 조경의 30년. 한국의 조경 1972-2002: 한국조경학회 창립 30주년 기념집. 한국조경학회. 
  30. 정영선(2003) 알로에마임 비전빌리지 - 만드는 이와 쓰는 이의 기쁨이 함께 머무는 곳. 월간 환경과조경 2003년 6월호. 
  31. 정영선(2004a) 건축과 자연의 경계에서 관계 맺기. 월간 플러스 2004년 2월호. 
  32. 정영선(2004b) 우리 정원에 스며있는 미학. 밝고 환한 정원 희원. 삼성문화재단. 
  33. 정영선(2007) 동백리 정원. 주택정원. 월간 환경과조경 편집부 엮음(개정판). 도서출판 조경. 
  34. 정영선(2010a) 가슴 뛰게 하는 정원들을 꿈꾸며 - 선유도공원을 중심으로. 도시 정원을 꿈꾸다 국제심포지엄 자료집. 국립중앙박물관. 
  35. 정영선(2010b) 2010년 10월 1일 서울대 특강(1강) 녹취. 
  36. 정영선(2010c) 2010년 11월 25일 서울대 특강(2강) 녹취. 
  37. 정영선(2011a) 2011년 3월 25일 서울대 특강(3강) 녹취. 
  38. 정영선(2011b) 2011년 4월 22일 서울대 특강(4강) 녹취. 
  39. 정영선(2011c) 2011년 10월 7일 서울대 특강(5강) 녹취. 
  40. 정영선(2011d) 2011년 11월 25일 서울대 특강(6강) 녹취. 
  41. 정영선(2014a) 조경이란 무엇인가?. 2014 시민조경아카데미 강의 자료 2014년 5월 13일. 
  42. 정영선(2014b) 2014년 5월 8일 서울대 건축과 특강. 
  43. 정영선(2014c) 2014년 6월 5일 인터뷰. 
  44. 조경설계서안(2014) 회사소개 브로셔.(http://www.satla.co.kr) 
  45. 조경진(2003) 프레드릭 로 옴스테드의 도시공원관에 대한 재해석. 한국조경학회지 30(6): 26-37. 
  46. 최정민(1993) 옴스테드 양식이 한국현대조경 작품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7. 한국조경학회 편(1992) 현대 한국조경 작품집 1963-1992. 도서출판 조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