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Buddhist Sculptures from Seongbulsa Temple in Hwanghae-do Province as Seen through Gelatin Dry Plates and Archival Materials from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유리건판과 기록자료로 본 황해도 성불사(成佛寺)의 불교조각

  • Heo Hyeonguk (Collection Management Division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허형욱 (국립중앙박물관 유물관리부)
  • Received : 2024.03.27
  • Accepted : 2024.05.02
  • Published : 2024.06.20

Abstract

Gelatin dry plate photographs dating to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official documents from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Museum in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re significant materials documenting cultural heritage in North Korea before it was severely damaged in 1950 during the Korean War.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recent years in studies of Buddhist sculptures in North Korea based on these photographs and documents. This paper presents some new comments on the Buddhist sculptures at Seongbulsa Temple in Hwangju, one of the most famous temples in Hwanghae-do Province, based on the related existing research outcomes. This paper aims to facilitate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Buddhist sculptures at Seongbulsa Temple by chronicling its history based on historical records, examining its current status, and exploring in detail the production dates and backgrounds of the Buddhist sculptures featured on gelatin dry plates. Prior to Korea's liberation from Japan in 1945, Seongbulsa housed at least seven sculptural items: two Bodhisattva statues, four Buddha statues, and a triad. Two items are from the early Goryeo period, one is from the late Goryeo period, three are from the early Joseon period, and one is from the late Joseon period. Among them, two surviving items are noteworthy. One is the early Goryeo-era Stone Seated Bhaishajyaguru Buddha photographed in Eungjinjeon Hall at Seongbulsa Temple. A close examination of a schematic drawing of the sculpture's pedestal made at the time it was photographed reveals that its material accords with the materials used for the headless Stone Seated Bhaishajyaguru Buddha and pedestal currently found in the old Sangwonam Hermitage site in the Inner Geumgang Valley of Jeongbangsan Mountain. This accordance could mean that the statue is a new significant example of early Goryeo Buddhist sculpture in North Korea. The other notable sculpture is the Gilt-bronze Seated Amitabha Buddha Triad created in 1454 (the second year of the reign of King Danjong) and discovered in Geungnakjeon Hall at Seongbulsa. This statue is currently in the collection of the Sariwon History Museum in Hwanghae-do Province. It is an important example of a dated small gilt-bronze Buddhist statue from the early Joseon period found in North Korea. This paper is a case study of Buddhist sculptures in North Korea, focusing on Seongbulsa Temple. Further utiliza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s gelatin dry plates will contribute to developing the study of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t sculpture.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한 일제강점기의 유리건판 사진과 조선총독부박물관 공문서는 1950년 한국전쟁으로 북한 지역 소재 문화유산이 큰 피해를 입기 전의 모습을 알려주는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 이에 최근 유리건판과 총독부박물관 문서를 활용한 북한 지역 불교조각 연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본고에서는 황해도의 대표적 사찰 중 하나인 황주 성불사의 불교조각에 대해 기존 성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새로운 의견을 개진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기록을 토대로 성불사의 연혁을 정리하고 현황을 짚어본 후, 유리건판 속 존상별 제작시기와 조성배경 등을 자세히 살펴봄으로써 성불사 불교조각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자 했다. 1945년 해방 이전 성불사의 불교조각은 보살상 2건, 여래상 4건, 삼존상 1건의 총 7건이 확인된다. 제작시기에서는 고려 전기 2건, 고려 후기 1건, 조선 전기 3건, 조선 후기 1건의 분포를 보인다. 이 가운데 오늘날 실물이 남아있는 2건이 주목된다. 먼저 성불사 응진전에서 촬영되었다는 고려 전기 석조약사여래좌상이다. 이 상의 당시 대좌 실측도를 면밀히 검토한 결과, 현재 정방산 내금강 골짜기의 옛 상원암 터에 전하는 머리없는 석조약사여래좌상 및 대좌 부재와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이 판단이 맞다면 북한 지역에 전하는 고려 전기 불교조각의 작례를 새롭게 확보하는 것으로서 의의가 크다. 다른 하나는 성불사 극락전에서 발견된 조선 1454년(단종2) 작 금동아미타여래삼존좌상이다. 이 상은 현재 사리원력사박물관에 보관 중이며 조선 전기 이북 지역에서 확인되는 소형 금동불의 기년작으로서 중요하다. 본고는 성불사라는 단일 사찰에 초점을 맞추어 북한 지역 불교조각을 고찰한 사례 연구이다. 앞으로 국립중앙박물관 유리건판 자료가 더욱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된다면 우리나라 불교조각사의 연구에 적지 않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문화재연구소, 1998, 「북한문화재해설집」 II-사찰건축편
  2. 국립중앙박물관, 2014, 「유리건판으로 보는 북한의 불교미술」
  3. 국립중앙박물관, 2014,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불교조각 조사보고 1」 佛敎美術硏究 調査報告 第4輯
  4. 국립중앙박물관, 2016,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불교조각 조사보고 2」 佛敎美術硏究 調査報告 第5輯
  5. 국립중앙박물관, 2018,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불교조각 조사보고 3」 佛敎美術硏究 調査報告 第8輯
  6. 權江美, 2021. 6, 「일제강점기 기록으로 보는 成佛寺 鐵造菩薩坐像 연구」, 「미술사연구」 40
  7. 대한불교조계종 민족공동체추진본부, 2011, 「북한의 전통사찰」 7 황해북도, 서울: 양사재
  8. 대한불교진흥원, 2009, 「북한의 사찰」
  9. 文化財管理局 文化財硏究所, 1994, 「小川敬吉調査文化財資料集」
  10. 리기웅, 변룡문, 손은일, 2010, 「성불사」, 평양: 조선문화보존사
  11. 文賢順, 2015. 10, 「1450년~1460년대 紀年銘아미타삼존불에 대한 고찰」, 「불교미술사학」 3
  12. 박은경.정은우 편저, 2010, 「西日本 지역 한국의 불상과 불화」, 부산: 도서출판 민족문화
  13. 寺刹文化硏究院 編著, 1993, 「北韓寺刹硏究」, 社團法人 韓國佛敎宗團協議會
  14. 徐智仁, 2015. 8, 「高麗 末 朝鮮 初의 觀音 및 地藏 遊戲坐像 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고고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15. 송은석, 2019. 10, 「麗末鮮初 補陀落迦山 觀音의 信仰과 美術」, 「불교미술사학」 28
  16. 兪旲昊, 2021. 6, 「조선 전기 도갑사 불상군의 특징과 제작 배경-국립중앙박물관 유리건판 사진을 중심으로-」, 「미술사연구」 40
  17. 유재상, 2020. 10, 「조선 18세기 전반 조각승(彫刻僧) 진열(進悅)의 불상 연구-작풍(作風)의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불교미술사학」 30
  18. 李京柱, 2018. 12, 「북한지역 고려 후기 금동불 연구-중대형 금동불을 중심으로-」, 「미술사연구」 34.35
  19. 이경주, 2023. 3,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유리건판의 고려 1327년 황해도 황주 成佛寺堂主無量壽鑄成願文 연구」, 「불교미술사학」 35
  20. 이능화 저, 조선불교통사역주편찬위원회 역편, 2010, 「역주 조선불교통사」 , 서울: 동국대학교출판부
  21. 李溶振, 2021. 6, 「유리건판으로 보는 북한 지역의 조선 후기 범종과 향로」, 「미술사연구」 40
  22. 임영애, 2017. 12, 「일명 '청와대 불상'의 내력과 의미」, 「美術史學硏究」 296
  23. 鄭炳三, 1996, 「高麗 後期 觀音信仰」, 「丹豪文化硏究」 1
  24. 鄭恩雨, 2001. 3, 「高麗前期 金銅菩薩像 硏究」, 「美術史學硏究」 228.229
  25. 鄭恩雨, 2002. 12, 「高麗 後期 菩薩像 硏究」, 「美術史學硏究」 236
  26. 鄭恩雨, 2009. 10, 「고려시대의 관음신앙과 도상」, 「불교미술사학」 8
  27. 정은우.신은제 지음, 2017, 「고려의 성물, 불복장」, 파주: 景仁文化社
  28. 정창현, 2012년 10월호, 「황해북도 정방산과 숭덕산: 고즈넉한 성불사와 귀진사. 온 백성이 쌓은 정방산성을 만나다」, 「민족21」
  29. 정태혁.신법타, 1990, 「북한의 절과 불교」, 서울: 民族社
  30. 鄭泰爀, 1978년 12월호(통권84호), 「北韓寺庵紙上巡禮記: 黃海道 黃州 成佛寺를 찾아서」, 「北韓」(정태혁.신법타, 1990, 「북한의 절과 불교」, 서울: 民族社에 재수록됨)
  31. 주강현, 2000년 11월호, 「북한의 문화 유산 관리 실태」, 「통일경제」
  32. 진형용, 1993년 8월호(통권260호), 「북한의 성터순례: 成佛寺를 창건할 때 쌓은 正方山城」, 「北韓」
  33. 최선일, 2003, 「용주사 대웅보전 목조석가삼존불좌상과 조각승-戒初비구를 중심으로-」, 「東岳美術史學」 4
  34. 최선일, 2015, 「18세기 후반 조각승 계심의 활동과 불상 연구」, 「東岳美術史學」 17
  35. 최선일, 2021. 3, 「북한 소재 조선후기 불교조각 연구」, 「보조사상」 59
  36. 崔聖銀, 2013. 12, 「불교문화재의 對北교류에 관한 고찰-불교조각과 석조문화재를 중심으로-」, 「講座 美術史」 41
  37. 최성은, 2013, 「고려시대 불교조각 연구」, 서울: 일조각
  38. 최성은, 2021. 12, 「북한 소재 고려시대 불교조각의 연구현황」, 「인문과학연구」 32
  39. 韓國佛敎硏究院 著, 1978, 「北韓의 寺刹」, 서울: 一志社
  40. 許亨旭, 2021. 6, 「국립중앙박물관 유리건판 사진에 보이는 북한 소재 불교조각의 고찰」, 「미술사연구」 40
  41. 黃海道敎育會 編纂, 1937, 「黃海道鄕土誌」
  42. 黃海道誌編纂委員會, 1982, 「黃海道誌」
  43. 山口縣立美術館, 1997, 「高麗.李朝の佛敎美術展」
  44. 스기야마 노부조(杉山信三) 編, 1996, 「韓國古建築の保存-浮石寺.成佛寺修理工事報告-」, 京都:韓國古建築の保存刊行會
  45. 朝鮮總督府, 1911, 「增補校正 朝鮮寺刹史料」 下(中央文化出版社 影印本, 1968)
  46. 朝鮮總督府社會敎育課, 1937, 「朝鮮寶物古蹟名勝天然記念物要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