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the Materials on Officials Composing Response Poems to the King's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in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영조대 갱진(賡進) 자료 연구

  • Heo Moonhaeng (Jinju National Museum)
  • 허문행 (국립진주박물관)
  • Received : 2024.03.27
  • Accepted : 2024.05.02
  • Published : 2024.06.20

Abstract

Kings of the Joseon Dynasty composed poems exploring their thinking about the governance of the country or personal feelings. Kings Taejong (r. 1400-1418), Seongjong (r. 1469-1494), Yeongjo (r. 1724-1776), and other kings bestowed poems upon their officials and had them compose response poems using rhyming words. Such literary exchanges between sovereign and subject were called gaengjin. The vast body of surviving materials related to gaengjin includes chronological materials recording the words and acts of kings, Yeolseong oeje compiling writings by Joseon kings, the so-called gaengjin albums that kings specially produced to commemorate officials' composition of response poems, and literary collections by officials who took part in the composition of response poems. Gaengjin albums were produced immediately after the king's bestowal of a poem and the officials' composition of response poems. They provide diverse information about the background, content, and participants of literary exchanges. Many of these albums are held in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Gyujanggak Archive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Jangseogak Archives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A majority of the extant gaengjin albums were produced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This paper analyzed chronological materials on the gaengjin literary exchanges that were officially conducted 200 times during the fifty-two-year reign of King Yeongjo. It also explored the drastic increase in gaengjin literary exchanges between 1769 (the forty-fifth year of the reign of King Yeongjo) and 1776 (the fifty-second year of the reign of King Yeongjo), the period corresponding to King Yeongjo's latter years. The paper introduced sixteen items (albums, books, hanging boards, and folding screens) related to the gaengjin literary exchanges held in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from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mong them, it shed light on the production backgrounds,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eight gaengjin albums produced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The materials related to the gaengjin literary exchanges created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are valuable in that they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various aspects of the respective period, including joyous events of the state (or royal court), the administration of state affairs, and literary activities among the sovereign and subjects.

선의 국왕은 나라를 경영하거나 개인적으로 느낀 바를 시(詩)로 남기곤 했다. 태종(太宗, 재위 1400-1418)·성종(成宗, 재위 1469-1494)·영조(英祖, 재위 1724-1776) 등 국왕은 신하들에게 직접 지은 시를 내리고 운자(韻字)를 맞추어 화답하도록 했는데, 이러한 군신 간의 문학적 교유를 갱진(賡進)이라 한다. 갱진과 관련한 자료는 국왕들의 언행을 기록한 연대기자료, 역대 국왕들이 지은 글을 모은 『열성어제(列聖御製)』, 국왕이 갱진을 기념하기 위해 특별히 제작한 《갱진첩(賡進帖)》, 갱진에 참여한 신하들의 문집 등에 다수 남아 있다. 이 중 《갱진첩》은 국왕과 신하의 갱진 직후에 제작된 것으로, 갱진의 배경과 내용 그리고 참석자 등 다양한 정보를 살펴볼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갱진첩》은 국립중앙박물관·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등에 다수 소장되어 있는데, 현전하는 갱진첩 가운데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는 것은 영조대 제작된 것이다. 이 글에서는 먼저 연대기자료를 통해 영조가 52년의 즉위 기간 내 공식적으로 200여 차례가 넘는 갱진을 시행했음을 분석하고, 영조의 노년기에 해당하는 1769년(영조 45)부터 1776년(영조 52)까지 갱진이 대폭 증가하는 양상을 살폈다. 또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18~19세기 갱진 관련 자료 첩(帖)·책(冊)·현판(懸板)·병풍(屛風) 16건을 소개하고, 그중 영조대 제작된 《갱진첩》 8건을 중심으로 제작 배경과 내용 그리고 해당 작품의 특징에 대해 정리했다. 영조 연간 제작된 갱진 자료는 국가(또는 왕실)의 경사, 국정 운영, 군신 간의 문학 활동 등 당대를 다양한 측면에서 바라볼 수 있는 자료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승정원일기」
  2. 「조선왕조실록」
  3. 「열성어제」
  4. 국립고궁박물관, 2021, 「조선왕실의 현판」 II, 서울
  5. 국립중앙박물관, 2010, 「조선시대 궁중행사도」 I, 서울
  6. 국립중앙박물관, 2011, 「조선시대 궁중행사도」II, 서울
  7. 국립중앙박물관, 2021,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현판」, 서울
  8. 국립중앙박물관, 2023, 「탕탕평평-글과 그림의 힘」, 서울
  9. 김남기, 2006, 「조선시대 군신의 창화와 그 의미」, 「한국한문학연구」 50
  10. 김문식, 2010, 「1740년 국왕 영조의 개성 행차」, 「조선시대사학보」 52
  11. 김현영, 2022, 「문안편지 한 장으로 족합니다」, 고양, 역사비평사
  12. 노혜경, 2006, 「영조어제첩에 나타난 영조노년의 정신세계와 대응」, 「장서각」 16
  13. 박문열, 2012, 「太學享官廳小識幷詩帖」, 「서지학연구」 51
  14. 박용만, 2006, 「영조 어제책의 자료적 성격」, 「장서각」 16
  15. 수원박물관, 2014, 「영조어필」, 화성
  16. 안장리, 2021, 「조선 국왕 영조 문학 연구」, 성남, 세창출판사
  17. 이재준, 2023, 「장서각 소장 영조 賡進帖의 서지적 연구」, 「장서각」 50
  18. 이종묵, 2008, 「조선시대 어제시의 창작 양상과 그 의미」, 「장서각」 19
  19. 임부연, 2022, 「유교 군왕의 '기로(耆老)' 정치: 영조(英祖)의 전략적인 실천들을 중심으로」, 「종교와 문화」 43
  20. 한국고전번역원, 2012, 「국역 사직서의궤」, 서울
  21. 허문행, 2022, 「1741년 作 《景賢堂賡載帖》 연구」, 「미술자료」 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