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examination of the Latest Dates of the Brick Chamber Tombs in the Western Region of North Korea: A Focus on Dated Inscribed Bricks

서북한 지역 전축분(塼築墳) 연대의 하한 재검토 -기년명전(紀年銘塼)을 중심으로

  • Jang Byungjin (History Education Department at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장병진 (경상국립대학교 역사교육과)
  • Received : 2024.03.27
  • Accepted : 2024.05.17
  • Published : 2024.06.20

Abstract

Some inscribed bricks excavated from the western region of North Korea have been found bearing an era name used after 314 when the Nangnang and Daebang Commanderies had been completely ousted from the region. Others have been found with an era name used in the early fifth century. This indicates that the tradition of constructing brick chamber tombs was sustained for a century after the disappearance of the two commanderies. However, brick chamber tombs were never adopted as a burial system for the ruling class of the Goguryeo Kingdom. The Tomb of Jang Mui built in 348 and the Tomb of Dongni built in 353 both departed from the typical brick chamber tomb style of the region, and elements associated with stone chamber tombs were added to them. The Tomb of Dongsu (Anak Tomb No. 3), which is similar to the other two tombs in that its occupant is of Chinese descent, was constructed in 357 not as a brick chamber tomb, but as an earthen mound tomb with a stone chamber. Still, the continuation of brick chamber tomb tradition in the next half century has been somewhat puzzling. Although dated inscribed bricks have served as important evidence for understanding the continuation of the brick chamber tomb tradition, there has been a problem of continually repeating previous studies. It has also been pointed out that there was an error in the interpretation of era names in some of the dated inscribed bricks that had been believed to have been produced in or after 357. For example, "second year of Taean" (Taian in Chinese), which had been understood to correspond to 386 (during the Former Qin Dynasty), in fact refers to 303 (during the reign of Emperor Hui of the Western Jin Dynasty). In the case of "first year of Geonsi" (Jianshi in Chinese), which had been believed to indicate 407 (during the Later Yan Dynasty), it actually refers to 301. "Geonsi" is the era name used during the period when Sima Yun ousted Emperor Hui of the Western Jin Dynasty and briefly occupied imperial throne. Outside these two cases, the remaining dated inscribed bricks thought to have been produced in or after 357 are those dated to the "third year of Wonheung" (Yuanxing in Chinese). However, a reexamination of these bricks reveals that what is really "Yeongheung" (Yongxing in Chinese) has been misread as "Wonheung." The third year of Yeongheung corresponds to either 306 during the Western Jin Dynasty or 352 during the Later Zhao Dynasty, but it is highly probable that it refers to 306. This means that there is no conclusive evidence to support the hypothesis that brick chamber tombs were built in the area until the late fourth century and even into the early fifth. Accordingly, the Tombs of Jang Mui and Dongni should be viewed as the latest known brick chamber tombs to be constructed in the western region of North Korea. Moreover, brick chamber tombs appear to have been no longer built in the area around the time when the Tomb of Dongsu was constructed. These speculations accord with the historical circumstances of the time.

서북한에서 출토된 명문전에서 낙랑·대방군이 완전히 축출된 314년 이후의 연호, 심지어는 5세기 초의 연호가 확인되었다. 2군 소멸 이후에 전축분 조영의 전통이 1세기 동안 이어진 셈인데, 전축분은 고구려 지배층의 묘제로 채택된 바가 없다. 348년 조영된 장무이묘나 353년에 제작된 동리묘는 전형적인 전축분 양식에서 벗어나 석실분의 요소가 가미된 사실이 지적되었고, 장무이나 동리와 비슷한 성격의 존재인 동수의 무덤(안악 3호분)은 357년 석실봉토분으로 조영되었다. 그럼에도 반세기 동안 전축분 조영이 계속되었다는 것은 다소 의문이었다. 기년명전이 중요한 근거가 되었지만, 선행 연구를 반복적으로 재생산했던 문제가 있었다. 357년 이후로 파악했던 일부 기년명전의 경우에는 연호 해석에 오류가 있었음이 지적되기도 했다. 전진 시기인 386년으로 파악했던 '대안(태안) 2년' 명문전은 서진 혜제 시기인 303년으로, 후연 시기인 407년으로 파악한 '건시 원년' 명문전도 301년 서진 혜제를 몰아내고 사마윤이 잠시 제위를 차지했던 시기에 사용한 연호라는 견해였다. 이들 사례를 제외하면 357년 이후에 제작되었다고 알려진 기년명전은 '원흥 3년' 명문전만 남는다. 그런데 명문전을 재검토한 결과 '원흥'은 '영흥'의 오독임을 확인했다. 영흥 3년은 서진대인 306년이나 후조대인 352년에 해당하는데, 306년의 가능성이 크다. 4세기 말, 5세기 초까지 전축분이 조영된 사실을 뒷받침하는 결정적인 근거가 사라진 셈이다. 결국 장무이나 동리의 무덤은 서북한 지역에서 조영된 가장 늦은 시기의 전축분으로 볼 수 있으며, 안악 3호분이 조영될 무렵을 기점으로 서북한 지역에서는 더 이상 전축분의 조영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양상은 당대의 역사적 상황에도 부합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숙, 2013, 「고구려 고분 연구」, 진인진
  2. 강현숙, 2021, 「석실봉토분」, 「고구려 고고-유적 편」, 동북아역사재단
  3. 孔錫龜, 1988, 「安岳 3號墳의 墨書銘에 대한 考察」, 「歷史學報」 121
  4. 국립중앙박물관 편, 2001, 「樂浪」, 솔
  5. 權純弘, 2019, 「고구려 도성 연구」, 성균관대학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6. 權五重, 1992, 「樂浪郡硏究」, 一潮閣
  7. 奇庚良, 2017, 「高句麗 王都 硏究」,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박사학위논문
  8. 김근식.안정준.정화승, 2021, 「樂浪.帶方郡 지역에서 출토된 年度가 기재된 銘文塼」, 「목간과 문자」 27
  9. 김미경, 1996, 「高句麗의 樂浪.帶方地域 進出과 그 支配形態」, 「學林」 17
  10. 김미경, 2007, 「高句麗 前期의 對外關係 硏究」, 연세대학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11. 김병준, 2011, 「낙랑군의 한자 사용과 변용」, 「고대 동아시아의 문자교류와 소통」, 동북아역사재단
  12. 리순진, 1990, 「락랑구역일대의 고구려돌칸흙무덤에 대하여」, 「조선고고연구」 1990-4, 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
  13. 손영종, 1990, 「고구려사 1」,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4. 신광철, 2011, 「황해도 일대의 고구려 관방체계와 남부전선의 변화」, 「先史와 古代」 35
  15. 안정준, 2013, 「高句麗의 樂浪.帶方 故地 영역화 과정과 지배방식」, 「韓國古代史硏究」 69
  16. 안정준, 2016, 「高句麗의 樂浪.帶方郡 故地 지배 연구」, 연세대학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17. 오영찬, 2006, 「낙랑군 연구」, 사계절
  18. 余昊奎, 2009, 「4세기 高句麗의 樂浪.帶方 경영과 中國系 亡命人의 정체성 인식」, 「韓國古代史硏究」 53
  19. 여호규, 2012, 「고구려 國內城 지역의 건물유적과 都城의 공간구조」, 「韓國古代史硏究」 66
  20. 윤용구, 2014, 「「진서」 동이 조공 기사의 재검토」, 「한국 고대사 연구의 자료와 해석」, 사계절
  21. 이나경, 2024, 「장무이묘 출토 명문전의 고고학적 검토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박물관과 연구」 1
  22. 李丙燾, 1985, 「(修訂版)韓國古代史硏究」, 博英社
  23. 이승호, 2012, 「3세기 후반 「晉高句麗率善」印과 高句麗의 對西晉 관계」, 「韓國古代史硏究」 67
  24. 이은진, 2023, 「유금와당박물관 소장 樂浪.帶方塼」, 「한국기와학보」 8
  25. 林起煥, 1995, 「4세기 고구려의 樂浪.帶方地域 경영」, 「歷史學報」 147
  26. 임기환, 2000, 「3세기~4세기초 위(魏).진(晉)의 동방 정책 -낙랑군.대방군을 중심으로-」, 「역사와 현실」 36
  27. 임기환, 2004a, 「고구려 정치사 연구」, 한나래
  28. 임기환, 2004b, 「고구려의 副都 漢城과 지방통치」, 「韓國古代中世 地方制度의 諸問題」, 집문당
  29. 장병진, 2020, 「고구려의 대방 지역 진출과 영역화 과정」, 「高句麗渤海硏究」 68
  30. 정인성, 2010, 「대방태수 張撫夷墓의 재검토」, 「韓國上古史學報」 69
  31. 정인성, 2011, 「樂浪古墳의 특징과 변천」, 「동아시아의 고분문화」, 서경문화사
  32. 千寬宇, 1989, 「灤河下流의 朝鮮」, 「古朝鮮史.三韓史硏究」, 一潮閣
  33. 최창빈, 1985, 「학계소식; 신원에서 고구려 시기의 큰 도시유적의 발견」, 「력사과학」 1985-4
  34. 한인덕, 2003, 「로암리돌천정벽돌무덤에 대하여」, 「조선고고연구」 2003-3
  35. 武田幸男, 1989, 「德興里壁畵古墳被葬者の出自と經歷」, 「朝鮮學報」 13
  36. 三上次男, 1964, 「樂浪郡社會の支配構造」, 「朝鮮學報」 30
  37. 齋藤忠 編著, 1983, 「古代朝鮮.日本金石文資料集成」, 吉川弘文館
  38. 鳥居龍藏, 1914, 「丸都城及び國內城の位置に就きて」, 「史學雜誌」 25-7
  39. 朝鮮總督府, 1933, 「昭和七年度古蹟調査報告 第一冊-永和九年在銘塼出土古墳調査報告」, 朝鮮總督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