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주민공동이용시설의 운영실태와 지속가능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청춘조치원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Operation Status and Sustainable Operation Method of Community Facilities - Focusing on the Youth Jochiwon Project -

  • 지남석 (대전세종연구원) ;
  • 이다은 (중앙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 Ji Nam-Seok ;
  • Lee Da-Eun
  • 투고 : 2024.02.01
  • 심사 : 2024.03.21
  • 발행 : 2024.06.30

초록

이 연구는 사례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청춘조치원 프로젝트의 주민공동이용시설의 현황과 운영실태를 파악하여 지속적인 운영을 위한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현황 및 운영실태를 살펴보면, 첫째, 조치원읍에는 2025년까지 13개의 시설이 조성예정이지만, 상당수의 시설은 아직 구체적인 운영방안이 마련되지 않고 있다. 둘째, 다른 시설과의 연계를 통한 일자리 및 수익 창출 가능, 유료화 시스템 도입 등을 근거로 지속운영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셋째, 다양한 측면에서 행정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예산의 한계로 아쉬움이 존재하였다. 지속가능한 운영을 위해 보건복지와 여가문화 기능을 강화하고, 행정지원 측면에서의 지원이 필요하며, 도시재생지원센터 활용하여 지원 및 관리 기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ttempted to derive a plan for sustainable operate by identifying the status and operation condition of the community facilities of the Youth Jochiwon Project through case studies and interviews. Examining at the status and operation condition, 13 facilities are scheduled to be built in Jochiwon by 2025, but many facilities have not yet been prepared for specific operation plans. Second, the possibility of sustainable operation is positively evaluated based on creating jobs and profits through connection with other facilities and the introduction of paid system. Third, administrative support is being provided in various aspects, but there was a regret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budget. It is expected that the function of health/welfare and leisure/culture can be strengthened for sustainable operation, support in term of administrative support is needed, and support and management function can be strengthened by utilizing the urban registration support center.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영환, 2020, 도시재생사업에서 도시재생 어울림센터의 조성과 운영 -충북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적정보학회지」, 22(2), 111-123.
  2. 김윤소.유재우, 2021, 도시재생뉴딜사업 수익형 공동이용시설 활성화 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37(8), 83-92.
  3. 노현준.전용석, 2021, 도시재생 거점시설 계획 및 프로그램에 대한 기초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6(1), 59-68.
  4. 박성은, 2020, 도시재생 거점시설 운영진단을 통한 효율적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시 거점시설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55(3), 5-16.
  5. 이나영.안재섭, 2016, 근린재생형 도시재생에 관한 사례 연구-서울 창신, 숭인 도시재생 선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6(2), 111-126.
  6. 이석현.조문경, 2021, 앵커시설의 지역 커뮤니티를 위한 거점공간 활성화 사례-성내 2동 도시재생 사업 중심으로, 「도시디자인저널」, 3(1), 21-27.
  7. 이현진.김영화.이상홍, 2018, 마을 공동체 거점공간으로 활용되는 커뮤니티 센터 및 이용현황 분석 연구 - 대구광역시 커뮤니티 센터를 중심으로,「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34(9), 31-42.
  8. 장권현.오광석, 2017,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한 주민역량강화 사업의 개선 산복도로 르네상스사업의 거점시설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춘계종합학술대회.
  9. 장민영.서수정.임보영.변은주, 2021, 근린재생 활성화를 위한 거점시설 운영방안, 건축공간연구원.
  10. 정유상.우신구, 2019, 도시재생사업을 위한 민간전문가 제도 활성화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 도시재생사업의 거점시설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39(2), 272-275.
  11. 지남석.임병호.이범규.정경석.이자은.임성빈, 2022, 주민공동이용시설을 활용한 조치원 공간정비전략, 대전세종연구원.
  12. 한승욱.이재수, 2021, 도시재생사업 활성화를 위한 공공시설의 지역자산화 방안, 부산광역시 사례, 「주택도시연구」, 11(1), 81-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