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교육부(2015).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2015-74 [issue 9].
- 교육부(2022).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2022-33 [issue 9].
- 권성기, 김동렬, 임청환(2014a). 초등교사를 위한 과학교육. 서울: 북스힐.
- 김봉준, 김희백(2019). 소집단 과학 논변 활동에서 초임 교사의 반응적 교수 실행의 특징과 한계 탐색 -프레이밍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6), 739-753. https://doi.org/10.14697/JKASE.2019.39.6.739
- 김영천(1997). 네 학교 이야기. 서울: 문음사.
- 김정수(2022). 과학 교사들의 반응적 교수 역량 향상을 위한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현경, 나지연(2017).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적용에 대한 초⋅중학교 교사의 인식과 요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1), 103-112.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1.0103
- 김희백, 하희수, 이영미, 이신영(2019). 과학 논변활동을 위한 반응적 교수. 서울: 북스힐.
- 박수정, 방효비(2019). 교사학습공동체와 민주적, 협력적 학교문화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 623-639.
- 박지영, 김희백(2012). 사회 속 과학 쟁점에 대한 소집단논변 상호작용 분석을 위한 방법론 고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4), 604-624.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4.604
- 박지영, 김희백(2018). 논변 활동 중심 과학 수업에서 교사의 반응적 교수 실행 탐색 -논변의 구조적.대화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1), 69-85.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1.69
- 서경혜(2009).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대안적 접근으로서 교사학습공동체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교원교육연구, 26(2), 243-276. https://doi.org/10.24211/TJKTE.2009.26.2.243
- 서근원(2018). 수업 이해하기, 교육과정과 교사의 딜레마 경기: 교육과학사.
- 소경희(2009). 교사학습 이해를 위한 이론적 기초 탐색. 교육과정연구, 27(3), 107-126. https://doi.org/10.15708/KSCS.27.3.200909.005005
- 오지언, 오필석(2017). 초등 과학 수업에서 '반응적 교수'의 실현가능성 탐색. 초등과학교육, 36(3), 227-245.
- 오필석(2014). 초등 과학 교사들의 교사 공동체 내에서의 학습의 특징과 인식적 믿음의 변화. 초등과학교육, 33(4), 683-699.
- 오필석(2015). 대안적 인지 이론으로서 '자원 기반 관점'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시험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6), 971-984.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6.0971
- 원정애, 김영희, 백성혜(2010). 초등 과학 교과 전담 교사제 운영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초등과학교육, 29(1), 56-68.
- 이선경(2012). 과학 교사의 수업 전문성, 연구와 실행. 경기: 교육과학사.
- 이선경, 신명경(2023). 학교과학교육담론. 서울: 북스힐.
- 이종아, 소경희(2017). 중학교 교사들의 '학생 참여형 수업'에 대한 이해. 교육과학연구, 48(2), 141-165.
- 이지현(2017). 예비 수학 교사의 교사 담화에 대한 인식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0(4), 465-494. https://doi.org/10.30807/KSMS.2017.20.4.007
- 이혁규(2013). 수업, 누구나 경험하지만 누구도 잘 모르는. 서울: 교육공동체벗.
- 이혁규(2018). 수업 비평가의 시선. 서울: 교육공동체벗.
- 정용교, 백승대(2007). 반성적 실천가로서의 사회과 교실자질 함양: 실행연구의 관점에서. 중등교육연구, 55(3), 225-245. https://doi.org/10.25152/SER.2007.55.3.225
- 조나연, 백성혜(2020). 예비과학교사들의 반응적 교수 유형 및 실행의 제약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0(2), 177-189. https://doi.org/10.14697/JKASE.2020.40.2.177
- 하희수, 김희백(2017). 소집단 논변 활동에서 반응적 교수법이 학생들의 인식론적 프레이밍에 미치는 영향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1), 63-75.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1.0063
- 하희수, 이영미, 김희백(2018). 소집단 논변 활동 후 전체 논의에서 이루어진 교사의 반응적 교수 실행과 인식론적 프레이밍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1), 11-26.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1.11
- 한문현, 오필석(2022). 한 초등 과학 교사의 정서적 반응적 교수의 실천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2(2), 227-238. https://doi.org/10.14697/JKASE.2022.42.2.227
- Colley, C. & Windschitl, M. (2016). Rigor in elementary science students' discourse: The role of responsiveness and supportive conditions for talk. Science Education, 100(6), 1009-1038.
- Duffee, L. & Aikenhead, G. (1992). Curriculum Change, Student Evaluation, and Teacher Practical Knowledge. Science Education, 76(5), 493-506.
- Hammer, D., Elby, A., Scherr, R. E., & Redish, E, F. (2005). Resources, framing, and transfer. In J. Mestre (Ed), Transfer of learning from a modern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pp. 89-120). Greenwich, CT: Information Age Publishing.
- Hammer, D., Goldberg, F., & Fargason, S. (2012). Responsive teaching and the beginnings of energy in a third grade classroom. Review of Science, Mathematics and ICT Education, 6(1), 51-72.
- Hammer, D., & van Zee, E. (2006). Seeing the science in children's thinking. University of Maryland, Heinemann.
- Levin, D, M., Hammer, D., Elby, A. & Coffey, J, E. (2013). Becoming a responsive science teacher: Focusing on student thinking in secondary science. Arlington, VA: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Press.
- Lineback, J. E. (2015). The redirection: An indicator of how teachers respond to student thinking.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 24(3), 419-460. https://doi.org/10.1080/10508406.2014.930707
- Maskiewicz, A. C. & Winters, V. A. (2012). Understanding the co-construction of inquiry practices: A case study of a responsive teaching environ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9(4), 429-464.
- Mehan, H. (1979). Learning lessons: Social organization in the classroom.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 National Research Council(NRC)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National Academic Press.
- Newmann, F. M., & Wehlage, G. G. (1993). Five standards of authentic instruction. Educational Leadership, 50(7), 8-12.
- Richards, J. & Robertson, A. D. (2016). A review of the research on responsive teaching in science and mathematics. In Robertson, A. D., Scherr, R. E. & Hammer, D. (Eds.), Responsive teaching in science and mathematics (pp. 36-55). New York, NY: Routledge.
- Robertson, A. D., Scherr, R. E. & Hammer, D. (2016). Responsive teaching in science and mathematics. New York, NY: Routledge.
- Robertson, A. D. & Elliot A. (2020). Truth, success, and faith: Novice teachers' perceptions of what's at risk in responsive teaching in science. Science Education, 104 (4), 736-761.
- Wendell, K. B & Matson, D. & Gallegos, H. & Chiesa, L. (2019). Work in progress: Learning assistant "Noticing" in an undergraduate engineering science course. Paper presented at 2019 ASEE Annual Conference & Exposition, Tampa, Florida.
- Zyngier, D. (2008). (Re)conceptualising student engagement: Doing education not doing time.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4(7), 1765-1776. https://doi.org/10.1016/j.tate.2007.09.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