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loring of Elementary Teachers' Learning of Responsive Teaching

반응적 교수(Responsive Teaching)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학습 과정 탐색

  • Received : 2024.02.16
  • Accepted : 2024.03.15
  • Published : 2024.04.30

Abstract

Meaningful learning occurs through an active process of engaging with the content in a lively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 In this study, we explored teachers' learning, challenges, and changes as they learned and practiced responsive teaching (RT), a practice that supports students to put their ideas at the center of their lessons. As a result, we found that teachers initially embraced RT from different perspectives and struggled to implement it in ways they understood. We then explored RT more deeply by focusing on the case of a teacher who was teaching science herself, and found that her experience was both rewarding and confusing. However, by the end of the learning process, the teachers were able to define RT in their own ways, which strengthened their commitment to implementing RT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Based on this teacher learning process, it was suggested that teachers should be viewed as curriculum experts, that they should learn and explore collaboratively through a community of teachers, and that they should be researchers who continue to explore various practices in the field.

의미 있는 배움은 교사와 학생의 활발한 상호작용 속에 교육 내용과 관계 맺는 능동적인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이 학생들의 생각을 수업의 중심에 두도록 지원하는 반응적 교수(responsive teaching, RT)를 학습하고 실천하는 과정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고, 그들의 배움과 어려움, 변화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교사들은 초기에 서로 다른 관점으로 RT를 받아들였고 자신들이 이해한 방식으로 실천하는 과정에서 좌충우돌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후 과학을 직접 지도하는 교사의 사례에 집중하여 RT에 대해 더 깊이 탐색하였고, 해당 교사는 보람과 혼란스러움을 함께 겪기도 했다. 하지만 교사들은 학습 과정을 마무리하며 자신만의 방식대로 RT를 정의할 수 있었고, 이를 토대로 초등 과학교육 현장에서 RT의 실천 의지를 다졌다. 이러한 교사 학습 과정을 바탕으로 교육과정 전문가로서 교사를 바라보아야 하고, 교사 공동체를 통해 협력적으로 배우고 탐구하는 자세가 요구되며, 현장의 다양한 실천 사례들을 계속 탐구하는 연구자적 자세가 필요하다는 것을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2015).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2015-74 [issue 9].
  2. 교육부(2022).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2022-33 [issue 9].
  3. 권성기, 김동렬, 임청환(2014a). 초등교사를 위한 과학교육. 서울: 북스힐.
  4. 김봉준, 김희백(2019). 소집단 과학 논변 활동에서 초임 교사의 반응적 교수 실행의 특징과 한계 탐색 -프레이밍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6), 739-753. https://doi.org/10.14697/JKASE.2019.39.6.739
  5. 김영천(1997). 네 학교 이야기. 서울: 문음사.
  6. 김정수(2022). 과학 교사들의 반응적 교수 역량 향상을 위한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현경, 나지연(2017).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적용에 대한 초⋅중학교 교사의 인식과 요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1), 103-112.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1.0103
  8. 김희백, 하희수, 이영미, 이신영(2019). 과학 논변활동을 위한 반응적 교수. 서울: 북스힐.
  9. 박수정, 방효비(2019). 교사학습공동체와 민주적, 협력적 학교문화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 623-639.
  10. 박지영, 김희백(2012). 사회 속 과학 쟁점에 대한 소집단논변 상호작용 분석을 위한 방법론 고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4), 604-624.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4.604
  11. 박지영, 김희백(2018). 논변 활동 중심 과학 수업에서 교사의 반응적 교수 실행 탐색 -논변의 구조적.대화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1), 69-85.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1.69
  12. 서경혜(2009).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대안적 접근으로서 교사학습공동체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교원교육연구, 26(2), 243-276. https://doi.org/10.24211/TJKTE.2009.26.2.243
  13. 서근원(2018). 수업 이해하기, 교육과정과 교사의 딜레마 경기: 교육과학사.
  14. 소경희(2009). 교사학습 이해를 위한 이론적 기초 탐색. 교육과정연구, 27(3), 107-126. https://doi.org/10.15708/KSCS.27.3.200909.005005
  15. 오지언, 오필석(2017). 초등 과학 수업에서 '반응적 교수'의 실현가능성 탐색. 초등과학교육, 36(3), 227-245.
  16. 오필석(2014). 초등 과학 교사들의 교사 공동체 내에서의 학습의 특징과 인식적 믿음의 변화. 초등과학교육, 33(4), 683-699.
  17. 오필석(2015). 대안적 인지 이론으로서 '자원 기반 관점'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시험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6), 971-984.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6.0971
  18. 원정애, 김영희, 백성혜(2010). 초등 과학 교과 전담 교사제 운영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초등과학교육, 29(1), 56-68.
  19. 이선경(2012). 과학 교사의 수업 전문성, 연구와 실행. 경기: 교육과학사.
  20. 이선경, 신명경(2023). 학교과학교육담론. 서울: 북스힐.
  21. 이종아, 소경희(2017). 중학교 교사들의 '학생 참여형 수업'에 대한 이해. 교육과학연구, 48(2), 141-165.
  22. 이지현(2017). 예비 수학 교사의 교사 담화에 대한 인식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0(4), 465-494. https://doi.org/10.30807/KSMS.2017.20.4.007
  23. 이혁규(2013). 수업, 누구나 경험하지만 누구도 잘 모르는. 서울: 교육공동체벗.
  24. 이혁규(2018). 수업 비평가의 시선. 서울: 교육공동체벗.
  25. 정용교, 백승대(2007). 반성적 실천가로서의 사회과 교실자질 함양: 실행연구의 관점에서. 중등교육연구, 55(3), 225-245. https://doi.org/10.25152/SER.2007.55.3.225
  26. 조나연, 백성혜(2020). 예비과학교사들의 반응적 교수 유형 및 실행의 제약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0(2), 177-189. https://doi.org/10.14697/JKASE.2020.40.2.177
  27. 하희수, 김희백(2017). 소집단 논변 활동에서 반응적 교수법이 학생들의 인식론적 프레이밍에 미치는 영향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1), 63-75.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1.0063
  28. 하희수, 이영미, 김희백(2018). 소집단 논변 활동 후 전체 논의에서 이루어진 교사의 반응적 교수 실행과 인식론적 프레이밍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1), 11-26.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1.11
  29. 한문현, 오필석(2022). 한 초등 과학 교사의 정서적 반응적 교수의 실천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2(2), 227-238. https://doi.org/10.14697/JKASE.2022.42.2.227
  30. Colley, C. & Windschitl, M. (2016). Rigor in elementary science students' discourse: The role of responsiveness and supportive conditions for talk. Science Education, 100(6), 1009-1038.
  31. Duffee, L. & Aikenhead, G. (1992). Curriculum Change, Student Evaluation, and Teacher Practical Knowledge. Science Education, 76(5), 493-506.
  32. Hammer, D., Elby, A., Scherr, R. E., & Redish, E, F. (2005). Resources, framing, and transfer. In J. Mestre (Ed), Transfer of learning from a modern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pp. 89-120). Greenwich, CT: Information Age Publishing.
  33. Hammer, D., Goldberg, F., & Fargason, S. (2012). Responsive teaching and the beginnings of energy in a third grade classroom. Review of Science, Mathematics and ICT Education, 6(1), 51-72.
  34. Hammer, D., & van Zee, E. (2006). Seeing the science in children's thinking. University of Maryland, Heinemann.
  35. Levin, D, M., Hammer, D., Elby, A. & Coffey, J, E. (2013). Becoming a responsive science teacher: Focusing on student thinking in secondary science. Arlington, VA: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Press.
  36. Lineback, J. E. (2015). The redirection: An indicator of how teachers respond to student thinking.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 24(3), 419-460. https://doi.org/10.1080/10508406.2014.930707
  37. Maskiewicz, A. C. & Winters, V. A. (2012). Understanding the co-construction of inquiry practices: A case study of a responsive teaching environ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9(4), 429-464.
  38. Mehan, H. (1979). Learning lessons: Social organization in the classroom.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39. National Research Council(NRC)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National Academic Press.
  40. Newmann, F. M., & Wehlage, G. G. (1993). Five standards of authentic instruction. Educational Leadership, 50(7), 8-12.
  41. Richards, J. & Robertson, A. D. (2016). A review of the research on responsive teaching in science and mathematics. In Robertson, A. D., Scherr, R. E. & Hammer, D. (Eds.), Responsive teaching in science and mathematics (pp. 36-55). New York, NY: Routledge.
  42. Robertson, A. D., Scherr, R. E. & Hammer, D. (2016). Responsive teaching in science and mathematics. New York, NY: Routledge.
  43. Robertson, A. D. & Elliot A. (2020). Truth, success, and faith: Novice teachers' perceptions of what's at risk in responsive teaching in science. Science Education, 104 (4), 736-761.
  44. Wendell, K. B & Matson, D. & Gallegos, H. & Chiesa, L. (2019). Work in progress: Learning assistant "Noticing" in an undergraduate engineering science course. Paper presented at 2019 ASEE Annual Conference & Exposition, Tampa, Florida.
  45. Zyngier, D. (2008). (Re)conceptualising student engagement: Doing education not doing time.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4(7), 1765-1776. https://doi.org/10.1016/j.tate.2007.09.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