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고경민 (2015). '난민' 대상 한국어 교육과정의 설계 및 교재 개발 연구. 우리말교육현장연구, 9(2), 164-192. https://doi.org/10.23109/fsikle.2015.9.2.006
- 교육부 (2022).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 교육부, 보건복지부 (2020). 2019 개정누리과정 해설서. 보건복지부.
- 권미성, 문혁준 (2013).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전문성 수준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4), 277-296. https://doi.org/10.14698/jkcce.2013.9.4.277
- 권지윤 (2018). 한국 내 예멘 난민이슈에 대한 이해. Muslim-Christian Encounter, 11(2), 81-112. https://doi.org/10.30532/mce.2018.11.2.81
- 권한용 (2016). 난민문제에 대한 국제적 논의와 한국난민정책에 대한 시사점. 아주법학, 10(1), 213-249. https://doi.org/10.21589/AJLAW.2016.10.1.213
- 길벗어린이 (2020. 6). 도망치는 아이. https://www.youtube.com/watch?v=QF4lffZVn_s에서 2023년 8월 3일 인출
- 김영미, 김현주 (2015). 그림책을 활용한 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1), 231-247.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231
- 김영옥 (2002). 유아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모델 개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6(2), 5-38.
- 김유아 (2023). 글로벌 역량 기반의 중학교 선택과목용 세계시민교육(GCED) 교육과정기준 개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https://doi.org/10.23186/KOREA.000000276429.11009.0000141
- 김은혜, 김경철 (2020). 유아 지속가능발전 인식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유아교육연구, 40(2), 65-95. https://doi.org/10.18023/KJECE.2020.40.2.003
- 김은희 (2019). 난민 대상 한국어교육을 위한 능력 중심 교육과정 설계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태주, 신나리 (2013). 통합적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6), 289-307. https://doi.org/10.14698/jkcce.2013.9.6.289
- 박미숙 (2019). 난민의 한국사회 정착과정에 관한 연구. 다문화사회연구, 12(2), 217-251. https://doi.org/10.14431/jms.2019.06.12.2.217
- 박상희 (2022). 한국의 난민 통합 현황과 정책적 함의: 에이거와 스트랭(Ager & Strang)의 통합 분석틀을중심으로. 현대사회와다문화, 12(3), 105-148. https://doi.org/10.35281/cms.2022.08.12.3.105
- 박종일, 이태정, 유승무, 박수호, 신종화 (2013). 난민의 발생과 국민국가의 대응: 난민수용 논란을 통해 본 한국의 이주자정책. 민주주의와 인권, 13(1), 199-235.
- 안라리 (2008). 유아의 개인변인 및 어머니의 정서성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6(2), 1-12.
- 유네스코 (2015). 세계시민교육: 학습 주제 및 학습 목표. 유네스코. https://doi.org/10.979.11956142/26
- 유네스코 (2017). 유네스코 인문, 사회, 자연과학분야 지속가능발전목표 국내 이행 방안 연구. 유네스코.
- 유엔난민기구 (2022. 6). 전 세계 강제 실향 사태...10년째 증가해 또 사상 최고 기록. https://www.unhcr.or.kr/unhcr/program/board/detail.jsp?boardTypeID=10&boardID=33035&menuID=에서 2023년 1월 10일 인출
- 이긍연 (2017). 한국 공교육 내 세계시민교육 정책과 실행. Journal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12(3), 39-62. https://doi.org/10.34225/jidc.2017.3.39
- 이선혜, 김선아 (2021).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그림책 활용 미술활동 중심의 세계시민교육 방안-초등학교 1학년 대상으로. 미술교육연구논총, 67, 247-280. https://doi.org/10.35657/jae.2021.67..009
- 임정인 (2012). 접종처치가 다문화가정에 대한 편견 형성 저항에 미치는 효과 연구-초등학교 4, 5학년학생들을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https://doi.org/10.23170/SNU.000000005461.11032.0000355
- 최예린 (2022). 그림책에 나타난 아동이 난민화되는 과정과 피란 후 난민 아동의 삶.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3(2), 25-47. https://doi.org/10.22154/jcle.23.2.2
- 최준호 (2016).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교수.학습과정안 사례연구: 난민문제 수업을 중심으로. 교육혁신연구, 26(3), 239-266. https://doi.org/10.21024/pnuedi.26.3.201612.239
- Braun, V., & Clarke, V. (2006).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3(2), 77-101. https://doi.org/10.1191/1478088706qp063oa
- Creswell, J. W. (2007).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2nd ed.). Sage Publications, Inc.
- Croce, K. A. J. (2018). Refugee students arrive at a school: what happens next?. Global Education Review, 5(4), 7-16.
- Dolan, A. M. (2014). Intercultural education picturebooks and refugees: approaches for language teachers. Children's literature in English Language Education, 2(1). 92-109.
- Duraisingh, L. D., Sheya, S., & Kane, E. (2018). When youth dialogue: a pedagogic framework for changing the conversation about migration. Global Education Review, 5(4), 211-235.
- Kemmis, S., & McTaggart, R. (1988). The action research planner. Springer.
- Kendall, F. E. (1996). Diversity in the classroom: new approaches to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2nd ed.). Teachers College Press.
- Pim, P. H., & Aaron, D. (2020). 도망치는 아이(김경희 옮김). 길벗어린이. (원판 2017).
- Richardson, E. (2018). Teachers of refuge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Education Development Trust.
- UNHCR. (2021a). Teaching about refugees 2021 - guide for teachers. UNHCR.
- UNHCR. (2021b). Teaching about refugees ages 6~9. main curriculum. UNHCR.
- UNHCR. (n.d.). Teaching about refugees. Retrieved January 16, 2023 form https://www.unhcr.org/teaching-about-refugees.html
- Vaismoradi, M., Turunen, H., & Snelgrove, S. (2016). Theme in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nd thematic analysis. Forum Qualitative Social Research, 20(3), 1-14. https://doi.org/10.5430/jnep.v6n5p100
- Zlatkin, T, O., Happ, R., Nell, M, S., Deribo, T., Reinhardt, F., & Toepper, M. (2018). Successful integration of refugee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Insights from entry diagnostics in an online study program. Global Education Review, 5(4), 158-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