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PA 분석을 활용한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

A study on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of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using IPA analysis

  • Kim Yunmin (Chi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Ryu Hyunah (Chi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Kim Chan-Gyun (Chi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투고 : 2024.02.07
  • 심사 : 2024.02.29
  • 발행 : 2024.02.29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erceptions toward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regarding the revised 2015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The aim i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of the revised curriculum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curriculum improvement in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using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IPA).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perceived that the areas of the revised 2015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that require particular focus are number and operations and data and probability. Secondly, they identified the specific elements within these areas that demand dedicated attention as follows: numbers up to four digits in number and operations, mixed calculations with natural numbers, shapes of solid figures, spatial sense of solid figures, comparison of quantities in measurement, etc. These findings can inform the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in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연선, IPA 기법을 활용한 한옥마을 선택속성의 중요도-만족도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7), 2020, 585-593.
  2. 김지효, 김주섭, IPA를 활용한 대학생 진로적응성 프로그램의 교육요구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3), 2023, 549-568.
  3. 김진영, 정혜인, 만 5세 누리과정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IPA를 통한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7), 2019, 769-787.
  4. 노진형, 손환희, IPA 기법을 통한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중요도-실행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9), 2021, 403-420.
  5. 박경미 외,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II, 교육부, 2015.
  6. 박창현, 박찬옥, 유아교육기관장의 운영능력, 유아교사의 역량, 교육과정 실행 간의 구조적 관계, 유아교육연구, 16(3), 2012, 245-270.
  7. 유정오, IPA를 활용한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중요도 실행도 분석: 5.6학년군 언어기능 영역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4), 2021, 1031-1060.
  8. 이경화 외 44인,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최종안) 개발 정책연구, 교육부, 2022.
  9. 이미나, 박성희, 영재교육 담당교원의 핵심역량 인식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IPA) 분석, 영재교육연구, 25(6), 2015, 927-949.
  10. 조진호, 수산계열 고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NCS 기반 교육과정 중요도 실행도 (IPA) 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32(1), 2020, 80-90.
  11. 최유현, 예비 기술교사들의 2015 개정 기술 교육과정 내용요소에 대한 중요도 및 수행도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6(1), 2016. 56-76.
  12. 황윤한, 예비교사들의 특성을 반영한 양질의 초등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정 방안 연구: 광주교대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3(4), 2015, 115-143.
  13. Cooper, J. M., & Alvarado, A., Preparation, recruitment, and retention of teachers, Paris, France: The International Institute for Educational Planning, 2006.
  14. Datnow, A., Hubbard, L., & Mehan, H., Extending school reform: From one school to many, New York: Routledge Falmer, 2002.
  15. Fennema, E., & Franke, M., Teachers' Knowledge and Its Impact. In D. A. Grouws (E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pp. 147-164). NY: Macmillan, 1992.
  16. Martilla, J. A., & James, J. C.,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41(1), 1977, 77-79.
  17. Siniscalchi, J. M., Beale, E. K., & Fortuna, A., Using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to evaluate training, Performance Improvement, 47(10), 2008, 30-35.